“이탈리아서 선보인 K-맛과 기록문화”
K-팝의 화려한 무대와 독창적 상상력은 사실 한국 전통문화와 깊은 뿌리를 공유하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통문화를 모티브로 캐릭터를 구현하며 이를 보여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K-Heritage in Italy: 기록과 미식의 만남’은 이러한 사실을 생생히 드러내며, 한국 기록유산과 식문화를 세계 무대에서 새롭게 조명했다. 이번 행사를 총괄한 한국국학진흥원 최은주 국학기반본부장은 “한국과 이탈리아가 각각 지닌 기록문화를 통해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지혜와 기억을 되새기고자 했다”며 “강연, 전시, 체험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관람객이 기록문화를 몸소 체감하도록 구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맛’과 ‘기억’을 매개로 기록문화를 풀어낸 점을 강조했다. “음식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언어이기 때문에, 한국의 가장 오래된 조리서 중 하나인 ‘수운잡방’을 전시하고 전통 레시피를 시연과 시식으로 이어 관람객이 기록을 맛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행사는 나폴리 중심부의 세계문화유산 산 로렌초 마조레 성당에서 열려 의미를 더했다. 이곳은 역사 지구의 중심에 위치해 일일 방문객이 많은 장소로, 한국의 기록유산과 미식을 세계 관광객에게 직접 선보이는 무대가 됐다. 또한 라우라 리에토 부시장, 마시모 페페 도시개발정책 의장 등 현지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한국 문화가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성당 내부 전시는 ‘K-팝 판타지의 원천’, ‘손글씨로 남긴 역사’, ‘목판에 새긴 기록’, ‘편액에 깃든 글씨의 예술’, ‘그림 속 소망과 상징’ 등 다섯 섹션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K-팝 판타지의 원천’은 전통 민화와 설화를 통해 현대 K-팝의 상상력과 스토리텔링의 뿌리를 탐구하며 관람객의 큰 호응을 얻었다. 최 본부장은 “전통 조리서를 단순한 요리법이 아닌, 시대의 삶과 지혜, 기억을 담은 기록으로 알린 것이 이번 행사의 가장 큰 성과”라며 “세계적인 미식의 도시 나폴리에서 음식을 통해 기록문화를 전달한 시도가 현지인의 공감을 얻었다”고 평가했다. 예산과 언어 장벽 등 준비 과정에서의 어려움도 있었지만, 서울대 이기철 교수의 협력으로 한국 전통문화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었다. 현장 반응은 뜨거워 서예·목판 체험과 전통 음식 시식 코너에는 긴 줄이 이어졌고, 강연 후 질의응답 시간에도 질문이 쏟아졌다. 최 본부장은 “이번 행사가 도시와 국가 간의 교류로 확장돼 한국의 기록유산이 세계 각지의 문화와 만나 더 넓은 대화를 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긴 추석… 코레일 접속 폭주 수십만 명 대기 행렬 ‘큰 불편’
추석 연휴 승차권 예매가 시작된 17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공식 앱과 웹사이트 접속이 폭주하면서 지연 현상이 발생해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날 오전 7시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예매가 시작됐지만 이용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수십만 명에 달하는 대기 행렬이 이어졌다. 앱과 웹사이트에는 ‘명절 예매 화면으로 이동 중입니다’라는 문구만 뜬 채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았다. 수차례 시도 끝에 진입하더라도 대기자가 몇 만, 몇 십만 명에 달했다. 좌석 선택 단계에서는 지연이 발생하거나, 3분 안에 결제를 완료하지 못해 자동 로그아웃되는 불편도 잇따랐다. 오후 시간대로 가면서 대기자 수가 점차 줄어 수천 명이 대기했다. 민혜성씨(39)는 “십 년 넘게 명절 예약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접속이 안 된 건 처음”이라며 “오전 7시 정각에 접속을 시도했지만 모바일에서는 홈페이지 진입조차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장소윤씨(31)는 “출발지, 도착지, 시간 버튼을 누를 때 마다 대기 시간이 길어 3분 안에 예매를 끝낼 수 없어 자꾸 로그아웃 됐다”며 “추석 때 고향에 가지 말까 고민될 정도”라고 토로했다. 논란이 커지자 코레일은 이날 추석 열차 예매 시간을 오후 3시에서 4시까지로 한 시간 연장했다. 코레일 측은 접속 지연 원인에 대해 “이번 추석 연휴가 평소보다 길어 예매객이 두 배가량 늘면서 시스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동일한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철저히 점검·보완해 안정적인 예매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글·사진/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