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은 사라지지 않는다’… 예술로 기록되는 경북 산불의 흔적
2025년 봄 경북을 덮친 대규모 산불의 흔적이 예술로 기록된다. ‘검은 봄 – 2025 경북산불사진기록’ 전시가 오는 28일까지 대구 하빈PMZ평화예술센터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제10회 대구사진비엔날레 프린지 포토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산불 피해 현장의 생생한 기록과 예술적 재해석을 통해 재난의 기억을 되새긴다. 전시는 2025년 3월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안동·청송·영양·영덕으로 확산된 산불의 흔적을 담았다. 검게 타버린 숲, 살아남은 나무, 초록으로 되살아나는 자연의 모습 등 23점의 사진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시된다. 박창모 작가를 비롯해, 대구·경북 언론사 사진기자 공정식(뉴스1), 김영진(매일신문), 김진홍(대구일보), 이용선(경북매일)과 대구·경북 소방관, 그리고 피해 지역 주민이 직접 촬영한 사진 작품들은 재난의 물리적 피해와 정서적 충격을 다층적으로 보여준다. 전시를 기획한 박창모 사진작가(계명대학교 대외홍보팀)는 “재난은 예고 없이 찾아와 물리적·정서적 단절을 낳는다”며 “예술은 이를 구원하지 못하지만, 관객이 작품 앞에서 잠시 멈춰 서서 기억의 의미를 되새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전시는 말하기보다 듣는 방식에 가까운 작업이다. 관객이 각자의 방식으로 재난의 흔적을 마주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전시 관람은 무료이며,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된다. 일요일은 휴관한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가을빛 물든 ‘영양 자작나무숲’ 가족·연인 힐링 발길 이어진다
국제밤하늘공원으로 이름난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의 ‘영양 자작나무숲’이 단풍빛으로 물들며 깊어가는 가을 정취를 자아내고 있다. 하얀 자작나무 줄기 사이로 붉고 노란 낙엽이 내려앉아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한 고요한 풍경이 펼쳐진다. 자작나무숲은 해발 800m 검마산 자락에 1993년 인공 조림돼 현재 축구장 40개 규모인 34ha에 이른다. 지난해 ‘국유림 명품 숲’으로 선정된 이후 전국적인 생태 트레킹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영양 자작나무숲은 1코스(1.49㎞)와 2코스(1.52㎞)로 구성돼 있다. 경사가 완만해 초보 산악인이나 가족 단위 탐방객에게 인기가 높다. 숲길을 따라 약 40분 정도 오르면 전망대가 나타나고,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하얀 숲의 전경이 압도적이다. 서울에서 온 강건욱씨(55)는 “아이들과 함께 걷기 딱 좋은 코스였다”며 “하얀 나무 사이로 비치는 단풍빛이 정말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대구에서 방문한 김병철씨(43)는 “사진으로만 보던 풍경을 실제로 보니 또다른 감동이 있다”며 “도심 속 피로가 단번에 풀리는 기분이다”는 소감을 전했다. 하얀 자작나무 수피와 단풍잎이 어우러지는 10월 말부터 11월 초순은 숲이 가장 아름다운 시기이다. 햇살에 반짝이는 자작나무 줄기와 낙엽길을 밟는 산책은 그 자체로 치유의 시간이다. 영양군은 ‘별빛 트레킹’, ‘자연 속 명상길’ 등 체험형 관광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무장애 탐방로와 포토존·쉼터 등 편의시설도 단계적으로 보완할 계획이다. 오도창 영양군수는 “자작나무숲은 영양지역 대표 생태 관광자원인 만큼 탐방 인프라 개선과 숲 해설 프로그램을 확충해 탐방객들이 다시 찾고 싶은 명품 숲으로 만들겠다”면서 “숙박·체류형 관광과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도 꾀하겠다”고 밝혔다. /장유수기자 jang7775@kbmaeil.com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