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연료전지 공장 첫 삽… 동해안 수소산업 확장 본격화
포항시가 추진하는 청정에너지 산업 육성에 다시 한 번 속도가 붙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고온수전해(SOE) 기술을 보유한 ㈜에프씨아이(FCI)가 14일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에서 ‘포항 제1공장 제1동’ 착공식을 열고 대규모 연료전지 생산시설 조성에 착수했다. 포항에서 SOFC·SOE 완제품 생산공장이 들어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착공식에는 이태원 FCI 대표를 비롯해 이강덕 포항시장, 김일만 시의회의장,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 포항TP 관계자, 사우디·유럽 투자사 및 파트너사 경영진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해외 협력사 CEO들도 참석하면서 포항이 글로벌 수소 공급망의 거점으로 거듭나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FCI가 조성하는 포항 제1공장은 지난 2021년 포항시와 SOFC 산업육성 MOU 체결이 결실을 거둔 것으로 대지 4만8556㎡ 규모로, 제1동은 2026년 하반기 준공 예정이다. 완공되면 25MW급 대형 SOFC·SOE 생산라인이 구축되며 고용도 투자 단계별로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포항에 완제품을 만드는 제조기업의 진입은 산업적 상징성이 크다”며 “경북도 내에서 연료–부품–부품 소재–완제품까지 이어지는 유일한 수소산업 밸류체인이 구축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FCI가 입주하는 포항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는 포항시가 수소·이차전지·전력기기 등 미래 제조업 중심지로 육성하는 곳이다. 최근 블루밸리 내에는 배터리 소재 기업, IT·전력기기 제조업체, 수소 관련 장비기업 등이 잇따라 입주하고 있다. 특히 포항시는 2025년을 기점으로 동해안 수소경제권 조성, 블루밸리 내 청정수소 산업 클러스터, 가속기 기반 소재·에너지 융합 프로젝트 등을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어 이번 투자와의 정합성이 매우 높다는 분석이다. FCI는 이미 사우디 ACWA Power, 유럽 에너지기업 등과 SOE·SOFC 공동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소형 SOE 개발, 태양광 연계 수전해 실증, 사우디 현지 시험 등 사업 영역도 확대되는 중이다. 포항 공장은 이러한 글로벌 프로젝트의 실증·생산 기지 역할을 병행해 수출형 산업 구조를 만드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FCI는 현재 1.5kW급 SOFC를 상용화했으며, 45kW·240kW급 대형 모델 개발을 진행 중이다. 향후 2단계(제2동·스택 생산), 3단계(SOE 조립공장)를 거쳐 SOFC–SOE 완제품 일괄 생산체계를 갖추면 지역 내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연계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FCI의 포항공장 착공은 포항 지역경제에 많은 의미를 지닌다. 포항 산업 구조의 다변화를 알리는 신호다. 철강 중심에서 청정에너지·수소 중심의 첨단 제조업이 추가되며 포항의 포트폴리오가 확대되는 것이다. 또 공장이 완공되면 초기 고용은 30명 정도겠지만 후속 단계 투자가 뒤따를 수록 추가 고용이 예상되고, 정밀가공·소재업체가 가세하게 되면 고용 및 공급망 확장 효과도 기대된다. 포항의 가속기-철강-이차전지라는 삼각형의 소재중심 산업구조에 수소가 가세해 미래형 산업 융합 생태계의 사각형을 잇는 마지막 단추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포항은 국내에서 독보적인 에너지·소재·장비의 연구–제조 복합 도시로 발돋움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우재준 의원 “안경산업, K-컬처 동반성장 품목”… 내년 초 한류연관산업 포함 성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2026년도 비경제부처 예산안 부별심사에서 ‘K-아이웨어’가 한류연관산업 지정·고시에 포함되는 성과가 공식화됐다. 국민의힘 우재준(대구 북갑) 의원이 최근 문화체육관광부 질의를 통해 내년 초 발표될 한류연관산업 지정·고시에 안경 산업이 포함될 것이라는 정부 답변을 이끌어냈다. 우 의원은 이날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K-컬처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대표 한류연관 품목으로 ‘K-아이웨어’가 있다”며 국가 차원의 정책적‧전략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123대 국정과제를 통해 ‘K-콘텐츠 및 뷰티 등 한류 연관산업 동반 성장으로 K-컬처 300조원 시대 개막’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면서 “K-아이웨어의 부가가치율은 39.8%로, 제조업 평균 27.0%, 생활소비재 평균 23.6%보다 10% 이상 앞서는 고부가가치 융합 산업”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이어 “K-아이웨어로 통칭되는 안경산업은 K-컬처와 함께 한류 소비재로 부상할 잠재력이 충분하다”며 “특히 지방에 집적된 안경산업에 정부가 보다 많은 관심과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최 장관은 “안경산업이 한류연관산업으로서 전략적으로 육성돼야 한다는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내년 초 고시되는 한류연관산업 지정·고시에 ‘패션산업’ 분야에 안경(K-아이웨어)을 포함시키겠다”고 답했다. 우 의원은 이번 성과에 대해 “K-아이웨어가 한류와 함께 세계무대로 뻗어나 갈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것”이라며 “국내 산업의 위상 강화는 물론 제2, 제3의 젠틀몬스터 탄생을 예고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K-아이웨어처럼 국가가 전략적으로 키워야 할 산업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한 지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논의를 통해 K-아이웨어가 한류연관산업 지정·고시 기회를 확보함에 따라, 안경산업은 공식적인 K-컬처 산업 지위를 얻을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12월 ‘한류산업진흥 기본법’의 ‘한류 연관사업 지정‧고시 기본계획’에 안경을 포함하는 안을 발표하고, 해당 계획에 따라 2026년 초 안경(K-아이웨어)을 한류연관산업으로 공식 지정·고시할 예정이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