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7일) 포항제철소를 방문하는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대한 정부지원과 관련, 어떤 방안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최 부총리 방문에는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도 동행한다. 최 부총리 일행은 포항제철소에서 철강경기 등을 점검한 후, 수소환원제철소가 들어설 부지도 둘러본다.
포스코는 제철소와 접해 있는 영일만 공유 수면을 매립해 135만㎡(41만평) 규모의 수소환원제철소 용지를 확보할 계획이며, 현재 포항시와 경북도, 국토부, 산업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올해내로 공유수면 매립허가(해양수산부)에 이어 행정절차의 마지막 단계인 산업단지 계획심의(국토부)까지 끝낸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그동안 정부가 수소환원제철사업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해 왔다. 정부는 현재 수소환원제철사업을 패스트 트랙으로 분류해 두고 있으며, 지난 1월에는 수소환원제철기술(하이렉스)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했다.
지금까지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은 소극적이라는 느낌이 든다.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하이렉스 프로젝트에 들어가는 비용이 2050년까지 약 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지만, 현재까지 정부가 이 사업에 투자한 예산은 269억원에 불과하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주요국의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대한 투자동향도 거론됐다. 지난해부터 일본은 수소환원제철 기술 연구개발에 2조3706억원, 미국은 저탄소 철강생산프로젝트에 최대 1조3400억원, 독일은 석탄기반 고로 6기를 저탄소 설비로 대체하는데 10조2000억원을 정부가 지원한다.
우리나라의 철강제품 수출량은 지난해 기준 세계 3위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저탄소 철강생산 요구가 증대되면서 서서히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오늘 포항제철소 현장을 방문하는 최 부총리 일행이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가 왜 시급한지를 꼭 인식하길 바란다.
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