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재명 대표 위증교사 혐의 1심 무죄선고가 나온 25일, 여권은 ‘온라인 당원 게시판’ 논란으로 친윤(윤석열)계와 친한(한동훈)계가 정면으로 충돌했다.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후 가라앉았던 양측 갈등이 더 격화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지난 주말 한 대표와 그의 가족 명의로 작성된 온라인 당원 게시판 글 전체(1068개)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윤 대통령 부부에 대한 수위 높은 욕설·비방은 12건 정도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한다. 한 대표 측은 이를 ‘동명이인’의 글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한 대표 아내·딸·모친·장인·장모 등과 같은 이름으로 게시된 글 907건 중에는 ‘단순 정치적 견해 표명’으로 볼 글이 463건으로 가장 많았고, ‘언론사 사설·기사’가 250건, ‘격려성 글’이 194건이었다고 한다. 한 대표 가족과 같은 이름으로 작성된 글 대부분이 명예훼손이나 모욕 등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게 밝혀진 셈이다.
친윤계는 이 조사에 대해 “무의미한 변명”이라고 일축했다. 한 대표 측이 당 조직을 동원해 사안을 ‘마사지’하려는 의도라고 거칠게 비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비난 대열에는 주로 대통령실 출신 정치인이 앞장서고 있다. 홍보수석을 지낸 김은혜 의원과 시민사회수석 출신인 강승규 의원을 비롯해 윤 대통령 지원으로 대표를 역임한 김기현 의원, 그저께는 나경원·김민전 의원이 한 대표 공격에 가세했다.
한 대표는 25일 그동안의 침묵을 깨며 논란에 직접 뛰어들었다. “익명 당원 게시판은 당이 익명으로 글을 쓰라고 연 공간이고, 거기에선 당연히 대통령이든 당 대표든 강도 높게 비판할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 “대통령을 비판한 글을 누가 썼는지 밝히라, 색출하라고 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정당에서 할 수 없는 발상이고, 그 자체가 황당한 소리”라고 반박했다.
여권의 내분을 지켜보는 보수지지층의 마음은 착잡하다. 정국은 요동치고 있는데, 누구에게도 덕 될 것 없는 ‘자해 성’ 게시판 논란으로 마치 서로 원수처럼 충돌하는 모습은 그야말로 가관이다.
앞으로 민주당은 윤 대통령 부부에 대한 공세를 더 강화할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 주말에는 서울 도심에서 내일(28일) 재표결이 이루어질 ‘김건희 여사 특검법’ 수용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네 번째 주말 집회다.
민주당은 “특검을 또다시 거부한다면, 국민이 대통령을 해고할 것”이라며 공격수위를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대학가에서 윤 대통령 퇴진과 김 여사에 대한 특별검사 수사를 요구하는 교수 시국선언문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대통령이 수여하는 훈장을 거부하는 교수도 있다. 심각한 위기 국면이다.
여권이 국면전환과 함께 국정동력 에너지를 얻으려면 이제 민심에 기댈 수밖에 없다. 민심을 수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여권이 더 잘 알 것이다. 지난 7일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때 국민에게 약속한 후속조치(대통령실과 정부 인적 쇄신, 김 여사 위험 해소 등)를 하루빨리 취해야 한다. 친한·친윤 갈등이 다시 불붙으면 양쪽 다 공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