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노조가 파업강행 수순을 밟자, 포항지역사회에서 파업자제를 요청하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포스코 경영여건이 악화하는 가운데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포항지역 협력사들이 연쇄 타격을 받고 지역 경제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노조는 올들어 사용자 측과 11차례 임금협상을 벌이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다음 달 2일과 3일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각각 파업출정식을 열기로 했다. 포스코는 1968년 창립 이후 56년간 단 한 번의 파업도 없었다. 포스코노조는 지난해에도 쟁의행위를 가결했지만, 막바지 타결로 파업 위기를 넘겼다.
포스코노조가 날짜까지 못박으며 파업 초읽기에 들어가자 포스코 연관기업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포항철강산업단지에 집중된 파트너사들은 노조파업으로 포항제철소 가동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협력사에도 매출감소와 함께 심각한 고용불안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며 우려하고 있다. 포항제철소 파트너사 협회는 그저께(27일) “포스코노조의 쟁의행위는 포스코와 함께하는 협력사 및 용역사들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린다. 쟁의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제하길 바란다”는 호소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포항제철소 파트너사들은 지난해 냉천범람으로 인한 포항제철소 가동중단과 포스코그룹 전체의 실적악화, 잇따른 제철소 화재 등의 여파로 최근들어 극한의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특히 올들어 단행된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과 1선재공장 폐쇄는 파트너사들의 생존문제까지 위협하고 있다. 포스코 파트너사들이 호소문에서 밝혔듯이, 포스코 노사는 사회적 책임을 깊이 인식하고, 쟁의행위에 들어가기 전 밤샘협상을 해서라도 파업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