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무라 마스오라는 아름다운 다리

등록일 2025-07-08 18:38 게재일 2025-07-09 17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오무라 마스오 선생의 묘.

2025년 6월 15일은 아침부터 비가 부슬부슬 내렸습니다. 이 날은 2023년 1월 15일 별세한 오무라 마스오 선생(1933-2023)이 살았던 집과 유택(幽宅)을 방문하는 날이었는데요. 저는 한국에서 온 S대학의 K교수, H대학의 Y교수 부부와 함께 선생의 댁이 있는 치바로 향했습니다. 이치가와오노에키(市川大野駅) 역에서 내려 15분 정도를 걸어가자, 생전의 선생처럼 단아하고 품위 있는 2층 단독집이 모습을 드러냈는데요.  

 

오무라 아키코 여사의 안내를 받아, 먼저 선생의 영정이 모셔진 불단을 둘러본 우리는 이후 선생이 4년간이나 투병하셨던 방에서 오무라 아키코 여사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여사는 재일한인 2세로서 양가의 반대를 무릅쓰고, 오무라 선생과 결혼하여 평생 동안 문학적 동지로 살아온 분입니다. 재일한인과 일본인의 결혼이 쉽지 않았던 당시에, 두 분의 결혼에는 오무라 선생의 스승이자 루쉰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다케우치 요시미(1910-1977)까지 힘을 보탰다고 합니다. 

 

오무라 선생이 한국인에게 널리 알려진 계기는, 시인 윤동주의 묘소를 발굴한 일이었는데요. 그 역사적 현장에도 아키코 여사는 오무라 선생과 함께 했었습니다. 오무라 선생이 말년에 제주문학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인 이유도, 아키코 여사가 제주 출신 재일동포 2세라는 사실과 결코 무관하지 않을 겁니다. 여사는 본인이 유명한 화가이기도 해서, 작업실에는 직접 그린 유화 작품들이 여러 편 남아 있었습니다. 

 

오무라 마스오 선생처럼 많은 존경을 받는 ‘조선’문학 연구자도 드물 겁니다. 이러한 존경의 이유는 우선 평생에 걸쳐 이룩한 연구업적에서 비롯되는데요. 선생은 한국문학과 북한문학은 물론이고 제주문학과 연변문학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학문적 성과를 남겨 놓았습니다. 그야말로 동아시아적 지평에 서서, 분단과 국경을 넘어 한민족이 남긴 모든 근대문학을 포괄적으로 연구했던 건데요. 

 

더군다나 이러한 ‘조선’문학 연구가 일본에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더욱 놀랍습니다. 선생은 여러 자리에서 “사회적으로도 그렇고 학문적으로 조선문학은 일본 사회 안에서 시민권이 거의 없었”으며, 그렇기에 ‘조선’문학 연구는 일본 사회에서 “뒷길 중의 뒷길”이었다는 표현을 사용하고는 했습니다. ‘뒷길 중의 뒷길’이라 일컬어지는 소수파로서, 선생은 평생 동안 한 눈 팔지 않고 오직 ‘조선’문학 연구에만 매진해 온 것입니다.  

 

특히 일본인이 식민지 시절 ‘조선’문학을 연구한다는 것은 더욱 만만치 않은 일이었을 텐데요. 일본인이 한민족의 대표적 저항 시인인 윤동주의 무덤을 찾고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기에 오히려 수많은 고초를 겪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체험에는 식민지 지배를 했던 나라의 연구자가 식민지 지배를 받은 나라의 문학을 연구하면서 겪어야 하는, ‘지배와 피지배라는 불행한 역사의 문제’가 개입되어 있는 겁니다. 또한 오무라 선생은 오래 전부터 한국문학연구자들과 따뜻한 학문적·인간적 교류를 나누기도 했는데요. 선생의 집을 방문한 이 날도 여사는 선생이 김우종, 김윤식, 임헌영 등의 한국 문인들과 나누었던 수많은 편지들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Second alt text
오무라 아키코 여사와 함께 한 필자.

오무라 선생은 실증적 연구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오직 자료와 현장에만 입각하여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던 ‘조선’문학의 실체를 성실하고 따뜻하게 규명해 온 것인데요. ‘실증적 연구’ 태도는 선생의 체질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지만, 선생이 놓여 있던 역사적 상황도 중요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선생은 일본인이면서 과거 식민지였던 ‘조선’의 문학을 연구하는 독특한 입장에 처해 있었던 것입니다. 

 

더군다나 연구 대상으로 삼는 ‘조선’은 이념에 따라 남북으로 분단된 처지였으며, 선생이 한창 연구를 진행하던 시기에는 일본에서도 이념 투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는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장은 최소화하여 내면화하면서 자료나 증거 등은 전면에 내세우는 ‘실증적 태도’는, 연구를 지속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는지도 모릅니다.     

 

김윤식 평론가는 오무라 선생을 ‘농부’라는 애칭으로 부르고는 했다는데요. 오무라 선생이  늘 김을 매고는 했다는 집 뒤편의 텃밭이 훤히 보이는 방에서, 아키코 여사는 오무라 선생에 대한 사실들을 조금이라도 더 알려주고자 애쓰는 모습이었습니다. 4년간 남편을 간병했던 이야기, 버려진 길고양이 에미짱을 수십년째 길러온 이야기, 자신이 평생 해온 그림 이야기 등을 해주었는데요. 특히 문정희 시인의 ‘물을 만드는 여자’를 낭독해주신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아마도 여성의 숭고한 생명력을 강조한 그 시 속에는 오무라라는 지적 거인과 평생을 함께 걸어온 여사의 삶이 아로새겨져 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Second alt text
이경재 숭실대 교수

아키코 여사는 오무라 선생 사후에 소장자료 2만여 점을 국립한국문학관에 기증하여 세상을 다시 한번 놀라게 했는데요. 이 날 선생의 자택 서고에는 여전히 수많은 자료가 남아 있었습니다. 특히 북한 쪽 자료가 많아서, 전문적인 정리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후 여사의 따뜻한 환대를 받으며 나온 우리 일행은 선생의 유택이 마련된 근처의 사찰(木將寺)에 갔는데요. 하루 종일 흐렸던 날씨가, 그 곳에 도착하자 거짓말처럼 활짝 개어 있었습니다. 오무라 선생의 묘에 꽃을 바치고 돌아서면서 선생이 한반도와 일본 사이에 심어 놓은 ‘조선’문학 연구의 씨앗만은 결코 사라지지 않으리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글·사진=이경재(숭실대 교수)

이경재의 일본을 읽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