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최대 규모 1735억 원 하수처리 민간투자사업 확정…섬 숙원 결실, 하수도 보급률 90%시대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5-08-31 10:29 게재일 2025-09-01 10면
스크랩버튼
울릉군은 울릉공항 지하에 공공하수처리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하수처리장 조감도. /자료사진

기획재정부가 울릉도 주민들의 오랜 숙원이던 하수처리시설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을 최종 승인했다. 그간 정화조에 의존하던 섬 지역의 열악한 하수도 환경 개선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재부는 28일 임기근 2차관 주재로 열린 ‘2025년도 제3회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에서 총 1735억원 규모의 울릉도 하수처리시설 사업을 심의·의결했다.

주요 내용은 울릉읍 내 하루 5000t 처리 규모의 대형 하수처리장과 38.7㎞ 길이의 하수관로 신설로 공사 기간은 약 36개월이며, 준공 이후 20년간 운영된다.

현재 울릉군은 하수도 보급률이 19.1%에 불과해 전국 평균을 크게 밑돈다. 주민 대다수는 개별 정화조에 의존해 생활하수를 처리하며, 이로 인해 미처리 하수의 해양 유입, 정주 여건 악화, 해양 오염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울릉군 공공하수처리시설 민간 투자사업 위치도. /기획재정부 제공

 하지만 섬이라는 지리적 제약과 높은 사업비, 낮은 경제성 탓에 대규모 환경 인프라 확충이 번번이 지연돼 왔지만, 이번에 중앙정부 심의를 통과한 것은 울릉군 입장에서는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사업이 완료되면 울릉군의 하수도 보급률은 90.8%까지 대폭 상승하며, 이는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체계적인 하수처리로 정주 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미처리 하수의 해양 유입을 차단해 청정 해양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특히, 관광객 수요가 급증하는 성수기에도 안정적인 하수처리가 가능해져 울릉도의 관광 브랜드 가치 상승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