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곁에 있고 사람과 차들이 지나가는 모습이 보이는 창가에 이색적인 작품들이 드리워졌다. 마치 커튼처럼 길게 늘어뜨린 현수막 천에 서예와 문인화 또는 캘리그라피 시화작품들이 담기고, 나즈막한 이젤 위에는 한국화 작품들이 올려져 다양한 작품 코너로 채워지면서 넓직한 공간이 금세 갤러리로 변했다. 탁 트인 창 너머 가까이 동빈내항과 송도솔밭이 보이는 ‘동빈문화창고1969’ 2층에서 최근 펼쳐진 풍경들이다.
그곳에는 연오랑세오녀 설화가 글과 그림으로 등장하고, 동해에 깃든 전설이나 유래, 시, 민담이 파도소리로 들리는 듯한 작품들이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었다. 다소 어울리기 힘들 것 같은 테마의 작품들이 다양성의 조화처럼 한국화와 서예·문인화·캘리그라피·시화 등의 저마다 특색 있는 모습으로 전시회 테마의 요건을 갖추는 듯했다. 6월 26~7월 6일까지 10일간 진행된 이번 전시회는 2025 경북문화재단의 예술거점지원사업 시각+문학 3권역(포항·영덕·울진·울릉)으로 포항 꿈틀로사회적협동조합에서 기획한 ‘명불허_어전’ 1회차 테마전시다.
이 같은 기획전시는 흔하지는 않지만,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에 착안한 ‘명불허_어전’ 전시회 타이틀에 걸맞게 다양한 요소를 품고 있다. 즉 “전설은 시간 속에 잠들지 않고, 그 이야기는 우리의 삶에 닿아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전설과 설화를 글과 붓으로 재현한 것은 과거의 시선을 담으면서도 현재의 이 땅과 사람들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이다”며 기획자의 의도를 밝히기도 했었다.
‘거북바위에 오른 태양, 비단에 내려 앉은 달빛’을 부제로 동빈문화창고에서 열린 ‘명불허_어전’이 차분하게 서막을 올렸다면 이번에는 울릉도에까지 가서 테마전시의 ‘진수’를 보일 전망이다. 새로 만든 배를 처음으로 물에 띄워 바다로 내보내기 전 음식과 치성으로 깃발을 달고 술을 뿌리며 풍어와 안녕을 비는 진수식(進水式)을 떠올리며 예술가와 주민, 관광객들이 깃발과 작품에 어우러지는 참여형 퍼포먼스를 펼치게 된다. 이를테면 울릉의 바닷가에서 주민들의 바다를 향한 염원과 경외심, 용기를 깃발이나 사진, 글귀에 담아 바람 결에 세우며 진수식을 재현하고, 생활예술이 마을과 사람과 바다를 다시 잇는 순간을 진지하게 연출해낼 것으로 보인다. 어부들의 염원과 주민들의 희망이 담긴 글귀와 깃발이 마음으로 이어지고, 그 깃발이 모여 바람에 나부끼고 펄럭이며 만선과 풍요를 꿈꾸는 또 하나의 색다른 진수식이 되지 않을까 싶다.
포항문화예술창작지구 꿈틀로 작가들의 공익법인인 꿈틀로사회적협동조합의 참신한 기획력과 꾸준한 추진력이 돋보이는 부분이 아닐 수 없다. 작년의 ‘포구다방’ 프로젝트에 이어 올해의 ‘명불허_어전’ 추진은, 경북 동해안 지역이 처한 현실과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문제, 사라져가고 잊혀져가는 것들에 대한 연민을 문화예술적인 접근으로 일깨우고 활로를 모색한 기획이라 할 수 있다. 역사와 지역성을 살린 문화예술의 거점으로 다각적이고 이색적인 테마를 지역민과 함께 발굴해 문화예술인들이 소통·교류하고, 새로운 기획과 네트워킹으로 체계화·담론화시켜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