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폭탄 발언으로 국내 기업들이 비상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취임일인 내년 1월 20일 첫 행정명령으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또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기존관세에 10%의 세율을 추가하겠다고 했다.
미국 우선주의를 선언한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정책은 이미 예견된 바 있다. 그러나 막상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같이 발표되자 멕시코 등에 현지 공장을 가진 대기업 중심으로 긴장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대미수출 전진기지로 알려진 멕시코 등에는 싼 인건비를 이유로 삼성과 LG 가전공장 그리고 기아의 완성차 공장 등이 상당한 투자와 함께 진출해 있다. 대구와 경북에서도 다수의 자동차부품 기업들이 현지에 자동차부품 가공공장을 둬 대기업이 타격을 입는만큼 지역기업의 타격도 예상된다. 그저께 대구무역회관에서 열린 미국 통상환경 대응 설명회에 참석한 존 레너드 전 미국 무역부 부국장보는 “한국은 미국의 무역 적자국 중 8위를 차지하고 있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인상된 관세율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지역기업도 향후 미국 관세정책에 관심을 갖고 선제대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무역협회 대구경북본부에 의하면 대구지역의 멕시코 수출품목 가운데 자동차 부품과 부품제작에 필요한 철강금속제품이 2,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 최근 중국발 저가 물량공세로 공장가동을 중단한 포스코 등 철강업계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해 걱정이 많다. 미국으로 수출이 막힌 중국산 저가 제품이 추가 덤핑해 국내로 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보편관세를 부과하면 대미 수출이 최대 14%가 준다는 전망도 내놨다. 하지만 트럼프발 폭탄 관세가 위기인 동시에 기회란 전망도 있다. 한미무역의 우호적 관계를 배경으로 협상에 나선다면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지역기업도 급변하는 세계 무역시장의 흐름을 잘 살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