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뉴스

“김천에 특목고 설립해야”

【김천】 박보생 김천시장이 김천혁신도시에 특수목적고등학교를 설치해 달라고 경북도교육청에 요청했다.박 시장은 최근 이영우 경북도교육감을 방문한 자리에서 “김천혁신도시에 이전할 공공기관 임직원들이 특목고가 설립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전하고 “그 가족들을 빨리 이주하도록 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우수한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라면서 특목고설립의 당위성을 설명했다.시민들도 “김천고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어 특목고 설립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이들은 “김천고는 시장이 경북도교육청에 특목고 설립을 요청했다는 사실만으로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갓 출범한 자율형 사립고의 이미지 제고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그러나 김천고는 위상하락을 우려하며 탐탁지 않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영남의 명문이던 김천고가 상당 기간 영락의 길을 걸어오다 그 돌파구로 자율형 사립고로의 전환을 선택했고, 지금은 온 힘을 다해 비상을 시도하기 때문이다.김천고는 지난 2009년 7월 자율형 사립고 지정을 받아 지난해 1기생을 모집했다.김천고는 혁신도시로 이전할 공공기관의 임직원들이 특목고 설립을 희망함으로써 자칫 임직원 자녀를 교육하기에는 미흡한 학교라는 오명을 뒤집어쓰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시청주변에는 김천고가 자율형 사립고로 전환해 변화를 시도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대접을 받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우선 영남의 명문이라는 명성에 안주하면서 보여준 김천고의 행태가 이러한 불신을 자초했고, 자율형 사립고로 전환한 지금까지도 그 불신을 불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상황이 이러함에도, 김천고는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려 하기보다는 특목고 설립에 강하게 저항하는 듯한 태도여서 많은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이종복 김천고 교감은 “(박보생 시장이) 잘못 판단하고 있다. 특목고를 설립하려면 2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해야 하는데 (특목고 설립이) 불가능하다. 그 효과도 의문이어서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면서 특목고 설립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최준경기자 jkchoi@kbmaeil.com

2011-07-28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개설

【김천】 김천대학교 국제어학원이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수도권 이남에서 최초로 온·오프라인 통합과정의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을 개설했다.김천대학교는 최근 이희천 국제어학원장, 박성만 국제교류과장, 강금해 국제어학원 총괄교수, (주)배론 김승환 과장, 제1기 수강생 46명이 참석한 가운데 하버드 홀에서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개강식을 했다.사진한국어교원 양성과정에 대한 운영계획, 교육과정, 자격취득 요건과 활용 등도 설명했다.다음 달 27일까지 온라인은 수업시간의 85%, 오프라인은 100% 수강해야 수료할 수 있는데 국어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5개 영역 24과목(온라인 22과목, 오프라인 2과목)으로 구성돼 있고 총수업시간은 129시간이다.한국어교원은 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을 말한다.김천대학교 관계자는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개설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우수한 교원을 지속적으로 배출하게 됐다”면서 “김천대학교를 찾는 외국인 유학생과 지역사회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교육에 앞장섬으로써 세계 속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최준경기자 jkchoi@kbmaeil.com

2011-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