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경북은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 결과 최근 3년 연속으로 전국 4위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과학벨트연구단, 막스플랑크연구소, 3·4세대 방사광가속기, 양성자가속기 등 미래산업을 주도할 산업과 우수한 과학기술 역량을 갖추고 있다.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돼 지역의 신성장 거점으로 지역균형개발은 물론 국내산업의 미래 먹거리를 선도해 나갈 방침이다.그러나 경북에는 이를 사업화해 일자리 창출과 연계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없고, 대통령 공약사항인 `동해안 첨단과학ㆍ그린에너지 비즈니스 거점 조성사업`의 성과를 사업화로 연계할 중개기관도 없는 실정이다.경북도는 이에 대비해 동해안 발전단이라는 직책을 신설, 환동해권 발전을 위해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쏟아붇고 있다. 현재 대덕, 대구, 광주, 부산 등이 연속적으로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됐으나 경북이 없는 것도 지정 이유의 하나가 되고 있다.동해안 연구개발특구의 지정과 중요성에 대해 경북도와 대구경북연구원의 견해를 들어 본다.막스플랑크연구소·아태물리센터·방사광가속기 갖춰경북, 세계가 인정한 기초과학분야 첨단인프라 집적지로봇·태양광·신소재 등 산업융합형 특구로 정부 지정을□ 연구개발특구는 신성장 거점박근혜정부는 `과학벨트와 연구개발특구 연계로 전주기 RD 지원체계 구축`을 국정과제로 제시하면서 기초과학의 성과를 응용연구 및 사업화까지 일괄 지원하는 자립형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정책을 펼치고 있다.정부는 2005년 7월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이후 대구(2011년), 광주(2011년), 부산(2012년) 지역에 추가로 지정, 지역별 핵심역량에 기반을 둔 특화분야를 중점 육성하고 원천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기업군 형성 촉진에 주력하고 있다.경북은 최근 포항·경주 지역의 우수한 RD 역량을 사업화하고 기술-창업-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 자생적 창조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 지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행 연구개발특구 지정요건은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 등의 유무로 지정하고 있어 RD 역량이 우수하더라도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될 수 없다.이에 따라 경북도는 특구 지정요건에 연구개발 수월성(excellence) 및 민간의 역량 등을 감안하는 방안을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반영하도록 요청해 놓고 있다.□ 특구는 경북형 창조산업 기반경북 포항ㆍ경주 일원에 동해안연구개발특구를 지정하고, 민간 주도의 RD 역량과 대형 연구장비를 바탕으로 지역산업과 연계한 산업맞춤형 융합특구로 특화해야 한다. 과학벨트 연구단과 RD특구를 연계한다는게 경북도의 입장이다.이를 위해 연구개발특구의 추가 지정이 가능하도록 `연구개발특구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안을 `연구개발특구 육성 종합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NIS와 RIS의 접합을 통해 국가-광역경제권-시·도로 이어지는 중층적 허브(Hub)-스포크(Spoke) 연계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경북 RD 역량 전국최고 수준경북은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에서 서울(1위), 경기(2위), 대전(3위) 다음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3곳은 전체 국가연구개발비의 66%가 집중된 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나머지 13개 시·도 중에서 경북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증명됐다.과학벨트 5개 연구단과 노벨상 사관학교로 불리어지는 막스플랑크연구소, 기초과학분야 국내 유일의 국제연구소인 아시아태평양이론 물리센터, 3·4세대 방사광가속기, 양성자가속기 구축으로 가속기 클러스터 형성 등 세계가 인정한 기초과학 잠재력과 우수한 인프라 집적을 자랑하고 있다. 또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영천, 경산, 포항, 구미), 자유무역지역(포항), 외국인 투자지역(포항, 구미) 등 3대 글로벌 투자 환경 조성과 포항철강산업단지와 구미산업단지 등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견인한 주요 국가 기간산업이 집적돼 과학기술의 산업화를 위한 글로벌 여건도 구비됐다.□ 산업융합 RD특구 조성돼야동해안연구개발특구는 민간 주도의 RD 역량과 대형 연구장비를 바탕으로 지역산업과 연계한 산업맞춤형 융합특구의 특성을 부여해 특화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대덕연구개발특구는 정부 주도의 기초·응용 특구이고, 대구·광주·부산은 정부 주도의 산업 견인 특구다.구체적으로는 고출력 레이저산업 상용화 기반 및 가속기 클러스터 구축, 낙동강 태양광 부품·신소재벨트 조성, 동해권 스마트 재난방재 로봇프로젝트 사업 등이다. 단기적으로는 포항·경주 일원이나 중장기적으로 울산지역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확장돼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송경창 경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대학·연구소 혁신기술벤처 육성에 활용하면창조경제 밑거름 될 것“경북도는 창조경제를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우수한 과학기술과 ICT기반 등 최적의 조건과 더불어 IT, 전자, 자동차 부품 등 국가 주력 산업의 기반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하루빨리 동해안 연구개발특구 지정이 필요합니다”송경창 경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지역혁신 역량 평가에서 연구인력을 비롯한 자원, 성과, 활동, 네트워크, 환경 등 5개 영역을 평가한 결과 서울, 경기, 대전 등 수도권에 이어 종합 4위를 차지한 것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특히 경북동해안은 포스텍 등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막스플랑크한국연구소,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뿐 아니라 세계유일 3대가속기 클러스터,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나노융합기술원, 기업부설연구소,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세계 수준의 첨단과학기술기반을 보유하고 있어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것.그는 “앞으로는 이러한 대학과 연구소 등 연구 인프라가 빚어낸 원천 기술과 핵심기술 등 주요 연구 성과를 산업으로 확산하고 새로운 성장산업을 만들어 지역 발전으로 연결시켜 나가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를 통해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높여 새 일자리를 만들어 창조경제 실현과 미래 지역 발전에 기여하게 해야한다는 것.동시에 3D프린터, 5G모바일산업, 항공전자부품소재 등 첨단산업을 적극 육성해 양질의 새 일자리를 만들고 의료, 철강, 섬유, 자동차 등 기존 산업의 ICT 융합을 촉진,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한다고 덧붙였다.송 실장은 “앞으로 포항가속기연구소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전환 등 연구개발특구 지정 요건을 충족하는 한편 전문가 의견수렴과 중앙부처 지속 건의 등 지역 주민의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2014-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