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신도청시대 개막 <bR>도청 신도시, 신성장 거점으로 <중>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 1천96만6천㎡(10.96㎢)에 2027년까지 조성되는 도청이전 신도시는 인구 10만 명의 행정중심 복합형 명품 자족도시로 건설된다. 다양한 주민편의 시설을 갖춘 경북 최고의 명품 도시가 탄생되는 것이다.
21조원 생산유발효과·13만여명 고용증대 등 북부 균형발전
안동·예천 `행정·문화`-포항 `철강`-구미 `전자` 新삼각축으로
전국 어디서나 2시간 이내 접근 획기적인 교통인프라 추진
△인구 10만의 자족도시
1단계 태동기인 2010년부터 2014년에는 4.77㎢의 부지에 인구 2만 5천 명 규모로 도청, 도의회 등이 들어설 행정타운, 주거시설, 한옥호텔 등이 조성된다. 2단계 성장기인 2015년부터 2020년에는 3.39㎢의 부지에 인구 4만 4천 명 규모로 주거와 상업시설, 종합병원, 테마파크 등이 조성된다. 마지막 3단계 확산기인 2021년부터 2027년까지는 2.9㎢의 부지에 인구 3만 1천 명 규모로 주거용지와 산업단지, 대학 등 도시 자족시설이 갖춰짐으로써 경북의 중심으로서 신성장을 이끌어 나갈 도청이전 신도시가 완성된다.
한편, 총면적 1천96만6천㎡ 부지 중 주거용지는 285만㎡(26%), 상업업무용지는 82만2천㎡(7.5%), 지원시설 14만8천㎡(1.3%), 기반시설용지 685만㎡(62.5%), 유보지 29만6천㎡(2.7%)로 조성된다.
인구 및 주택은 4만 세대 10만 명 규모로 단독주택 2천92가구, 공동주택 3만7천908가구가 공급된다. 경북도는 신도시 건설을 위해 2027년까지 2조 2천억원을 투입한다.
기존 도시설계인 방사형이나 부채꼴 형태의 도시건설을 탈피하고 신도시 조성지역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살려 역사와 전통이 살아있는 문화도시, 전원형 생태도시, 행정 지식산업도시 등 세 가지 방향으로 개발한다.
도청이전 신도시는 전체 조성면적 10.96㎢ 가운데 공원 녹지율이 30.7%(3.37㎢)에 달한다. 사업지구 내 공개공지를 포함하면 실제 활용 가능한 공원 녹지율은 45% 정도이다. 충남 내포 신도시와 전남 남악신도시의 녹지율이 각각 26.2%와 28.8%인데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신도시의 공원 및 녹지계획에 따르면 공원·녹지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188만㎡ 규모에 15개의 근린공원을, 6만5천㎡에 15개의 어린이공원, 3만㎡에 17개의 소공원, 17만㎡에 13개의 수변공원, 11만㎡에 1개의 역사공원, 9만㎡에 1개의 문화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신도시의 행정타운은 지역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안동지역에 제1행정타운과 예천지역에 제2행정타운을 각각 배치했다.
이와 함께 안동지역은 하회마을과 연계한 문화·관광·휴양 레저 기능을, 예천지역은 산업·연구시설·대학을 중심으로 한 자족·지원 기능을 강화하도록 했다.
△타 도시와 차별화된 특색있는 도시
신도시는 타 도시와 차별화된 특색있는 도시로 개발된다. 도시녹지공간을 확보해 저탄소 녹색도시로 조성함은 물론 지속가능한 수자원 확보를 위한 지능형 물순환 수변도시로 개발된다. 첨단 IT 기술과 도시기반시설을 융복합해 도시의 효율적 관리 또는 주민이 필요한 정보가 언제 어디서나 제공되는 스마트시티로 구축된다.
또한, 사회적 약자를 고려해 안전한 통학로 등 범죄예방 기법을 도입하고, 여성교류 및 활동을 위한 여성가족프라자를 건립하는 등 여성친화도시로 조성한다. 그리고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고 자전거도로를 구축하는 등 녹색 교통 중심개발을 통해 에코시티를 조성한다.
△신도시 교통 인프라
도청이전 신도시는 기존의 중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국도 34호선 등 비교적 양호한 교통망을 갖고 있다. 앞으로 광역·도내 교통 인프라가 추가로 구축되면 신도시는 고속교통망의 교통섬으로서 접근성이 더욱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우선 세종시~신도시간 고속도로의 조기 건설을 위해 경북·충남·충북도 등 3개 도지사와 도의회의장이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예비타당성 대상사업 건의 등 국비확보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 세종시~신도시간 고속도로는 물류비용 절감,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상주~안동~영덕을 연결하는 동서 4축 고속도로(연장 107.7㎞), 상주~영천 간 고속도로(연장 93.9㎞) 등 광역교통 인프라가 잇따라 형성될 예정이다. 이로써 전국 어디에서나 신도시로 2시간 이내 접근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포항~안동 간 국도 31·35호선·국지도 68호선 확장(연장 62.7㎞)은 도청이전에 따른 동해안 시·군의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추진된다. 봉화~울진 간 동서 5축 국도(연장 40.2㎞), 의성 다인~비안간 국도 28호선 확장(연장 23.6㎞) 등 도내 교통 인프라도 연이어 건설될 예정이다.
신도시 주변 자체 교통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신도시 인근 고속도로 및 국도, 지방도로부터 신도시로 진입하는 도로 7개 노선을 신설할 계획이다. 안동~도청을 연결하는 국도 34호선~신도시 구간과 예천~도청을 연결하는 예천소재지~신도시 구간을 조기에 개설할 예정이며, 나머지 노선은 순차적으로 개설될 예정이다. 또한, 도담~안동~영천 간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이(연장 148.1㎞) 2018년에 완공되면 소요시간이 현재의 절반 이하로 단축돼, 수도권에서의 접근성이 비약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도청이전 신도시 진입도로 개설사업
도청 이전 신도시와 연계된 진입도로는 안동과 도청을 잇는 개설사업 등 총 7개 70.9km에 1조2천569억원이 투입된다. 우선 안동~도청 구간인 국도 34호선~신도시를 잇는 5.0km에 808억원을, 예천~도청 노선에 예천소재지~신도시 구간 8.5km에 1천63억원을 투입한다. 또 의성~도청 노선에 국도 28호선~신도시 구간 4.6km에 510억원을, 의성~도청 노선의 구담~신도시 구간 1.9km에 14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한다.
이 밖에 남안동IC~도청 노선의 풍천면 소재지~신도시 구간 0.5km에 38억원을, 안동터미널~도청 노선의 안동터미널~신도시 구간 14.2km에 3천200억원을, 마지막으로 산업도로 노선인 신도시~중부내륙 구간 36.2km에 6천830억원을 투입한다.
△신도시 건설 파급 효과
도청이전 신도시 건설에 따라 각종 유·무형의 파급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신도시 조성에 따르는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해 약 21조 1천799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7조 7천768억원의 부가가치유발 효과, 그리고 13만 6천여 명의 고용증가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도시 조성이 완료되는 2027년이면 안동·예천지역은 신도시 인구 10만 명, 안동·예천 인구 20여만 명 등 모두 30만 명이 거주하는 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도청이전과 신도시 개발사업은 경북 북부권의 새로운 성장거점을 조성해 경북의 균형발전과 함께 나아가 세종시와 더불어 국토균형발전, 동서발전의 새로운 축이 될 것이다. 도청이전으로 남부 쪽에 있던 개발 중심축이 안동과 예천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미의 전자, 포항의 철강, 안동·예천의 행정과 문화를 중심으로 한 신 삼각 발전 축을 형성하면서 경북의 새로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대진 경북도청이전추진본부장은 “도청이전은 도민을 포함한 대구·경북 지역민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다. 대구시에서 30여 년 더부살이를 청산하는 의미도 있지만, 그동안 중·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북부지역 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길을 열었다”며 “이를 통해 경북도는 지역 간 균형발전은 물론 지금껏 지지부진했던 대구시와의 경제통합에서도 새로운 돌파구를 찾겠다”고 말했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