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정치인을 가리키는 ‘젊치인’ 시대의 도래를 예견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30대인 이준석 씨가 제1보수야당인 국민의힘 당 대표로 뽑힌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청년 정치인들의 진출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비영리단체 뉴웨이즈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젊치인들이 다수 당선돼 기초의회 평균연령을 낮추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이들은 MZ세대인 1980~2000년대생 젊은 정치인들을 후원하고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경험과 노련함이 쌓인다면, 젊을수록 새로운 시각, 도전정신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대의민주체제에서 특정세대가 과소대표되는 것도 문제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 기준 만40세 미만 유권자 비율은 34%였지만 당선자 비율은 6%에 불과했다. 청년정치인들이 기초의회에 대거 진출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서울 관악구의 경우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 2030 구의원 4명이 당선돼 전국 기초의회 평균 6%에 비해 3배인 18%에 이르렀다. 이후 조례발의건수가 3.7배 가량 늘었고, 청년의원들의 본회의 5분 자유발언 횟수도 비청년의원보다 많았고, 구정질문 횟수 역시 평균의 2배였다. 젊치인들의 기초의회 진출은 긍정적인 변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뉴웨이즈는 국민의힘, 기본소득당, 미래당,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등 6개 정당과 함께 젊치인의 기초의회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젊치인을 응원할 지역구 유권자들을 ‘캐스팅 매니저’란 이름으로 모집하고 있다. 현재 전체 선거구의 74%가 넘는 지역에 2천명이 넘는 캐스팅 매니저가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지방선거에 젊치인이 대거 당선돼 구태의연한 한국정치 문화가 기초의회부터 바뀌길 기대한다./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2021-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