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지사는 민주당 내에서 특정한 계보나 조직이 없는 ‘아웃사이더’지만 정치입문 15년만에 집권당 대통령 후보가 됐다. 그러나 이 지사는 여권 내부에서 ‘불안한 후보론’이 나올 정도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최종 득표율에서는 이 후보가 가까스로 과반을 넘겼지만, 24만8천여명이 참여한 3차 선거인단 투표(슈퍼위크)에서 이낙연 전 대표가 62.37%를 차지해 이 후보(28.3%)를 압도했다. 권리당원과 대의원이 참여한 지역순회경선이 ‘당심’을 반영했다면 슈퍼위크는 민심에 가깝다. 대장동 게이트가 여권지지층 민심에 아주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전 대표측이 경선과정 내내 논란이 됐던 ‘무효표 처리’와 관련해 이의를 제기한 것도 사실상 경선 결과를 수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중도에 후보를 사퇴한 정세균 전 총리와 김두관 의원 득표가 무효처리 되지 않았다면 이 후보 득표율이 50%에 미달된다는 것이 이 전 대표측 주장이다.
대구·경북 지역민의 주된 관심사는 민주당 후보 확정이 야권 대선후보 판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냐다. 대체적인 시각은 이재명 후보 선출이 그동안 충분히 예상되었던 만큼 야당의 판을 뒤흔들만한 큰 변수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앞으로 이어지는 토론회에서 이 후보에 맞서 이길 수 있는 본선 경쟁력을 부각하는 데 비중을 둬야 한다. 이제까지처럼 서로 비난하며 감정 다툼으로 토론회를 오염시키면 외연확장에 실패한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주요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는 위기상황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