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상에 펼쳐진 `자연사 박물관` 보는 재미는 덤
산악회가 많아지고 있다. 동네나 직장단위에서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바쁜 일상 속에서 주말마다 아니면 한 달에 한 번씩 산을 찾는 것은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도 좋은 현상이다.
필자가 가끔씩 등산을 하던 초기에는 취미 모임에서 등산을 즐겼지만, 어느 정도 등산에 맛을 붙이고 난 뒤에는 맞춤형 전문산악회 형태의 산악회를 통해 등산을 계속해왔다.
기암괴석·청풍호·옥순봉·구담봉 풍경들, 발길 사로잡아암릉 길목마다 갖가지 바위·봉우리·노송들 멋진자태 뽐내
지금까지 산행은 행선지가 다채롭게 운영되는 신청형 전문등산회인 드림산악회를 이용해 산을 가장 많이 올랐다. 매 계절에 맞추어 좋은 산행지를 제공하면서 초보자, 중급자 수준별로 당일 코스를 달리 배정하는 세심한 부분까지 배려해준다. 매월 두 번씩, 첫 주에는 고향 모임인 화림산악회에 참가하고, 4주째에는 대구문학인 모임 산악회인 대문트레킹에 동행한다.
화림산악회는 고향 선후배들끼리 부담없이 다녀올 수 있어 좋고, 대문트레킹은 거의가 테마기획으로 이루어져 산을 타면서도 문화적 자취를 더듬어보는 여행 같은 힐링 코스여서 즐겨 찾는다. 그러다보니 전국의 명산 가운데 빠진 곳이 자연적으로 생겨난다. 대구지역에 산악회가 많지만 일정 인원이 신청해야 가게 되는 한정된 코스로 인해서다.
특히 경북매일신문에 산행기를 쓰다보니 국민과 등산인들에게 관심이 높은 전국의 유명산에 대해서는 빠지지 않고 소개가 돼야한다는 필자의 생각이다.
아직도 필자가 등산하지 못한 유명산을 쳐보면 강화도 마니산, 원주 치악산, 보은 속리산, 정읍 내장산, 합천 가야산 등인데 올해 내에는 개인적으로 오를 생각이다.
이번에는 대구 백마산악회에서 기획한 `제천 가은산 등산`에 동참하기로 했다. 전에 월악산에도 가보았지만 제천은 청풍명월의 고장으로 소문나 있고, 부근의 산들은 기암괴석과 청풍호수를 끼고 있는 풍경들이 멋진 곳이 아닌가.
사전에 자료를 보니 가은산은 해발 575m로 그리 높은 산은 아니지만 화강암으로 된 갖가지 기암괴석이 만들어내는 풍광이 빼어났고, 청풍호를 끼고 구담봉, 옥순봉과 마주보는 산이다.
경산시청 앞에서 출발한 차가 대구 범어네거리 대구은행 범어지점과 성서홈플러스 용산 지하철 입구로 돌아 회원들을 태우고 중앙고속도로로 달렸다.
3시간을 달려 오전 10시20분경, 제천의 청풍호 위 멋진 다리인 옥순대교를 지나 주차장에 도착했다. 지나오면서 보니 맑은 호수 인근에 녹음을 더한 산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옥순대교 휴게소 맞은편이 가은산 산행 들머리다. 여기서 출발해 새바위와 둥지봉을 거쳐 가은산에 올랐다가 원점으로 회귀하는 코스는 왕복 7.2km 거리로 6시간 정도 걸린다.
또 다른 코스는 가은산 정상까지 오르기는 같은데 하산코스가 다르다. 정상에서 곰바위, 기와집바위를 거쳐 상천주차장 쪽으로 내려오는 코스로 총거리 6.8km로 5시간 반이 소요된다.
우리 일행들은 가은상 정상에 올랐다가 상천휴게소로 내려가는 코스다. 들머리에 막 들어서 계단을 오르며 뒤돌아보는 광경이 예사롭지 않다. 옥순대교와 그 아래 청풍호수, 주변의 산이 있고, 하늘과 구름이 운치를 더한다.
계단이 끝나는 지점에 팔각정이 있다. 잠시 팔각정을 지나 산을 올려다보니 오늘 넘어야할 산과 능선들이 눈앞에 펼쳐진다. 한창동안 야트막한 등산로가 이어진다. 편안한 숲길이다.
1.4km이정표를 지나서 다소 암릉길이 험해진다. 새고개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가은산이고 왼쪽으로 가면 새바위 능선이 나온다.
산행 시작점인 옥순대교에서 새바위까지는 한 봉우리를 이룬다. 그쪽에서 둥지봉으로 올라가려면 거의 청풍호 수면이 나오는 곳까지 내려갔다가 올라가야 한다.
새바위로 오르면서 바위에서 평평한 바위에서 잠시 쉬면서 주변 조망을 살핀다. 아직까지는 가은산 위쪽의 전망보다는 청풍호와 그 위의 옥순봉, 구담봉 등 경치가 마음에 이끌린다.
가까이 보이는 옥순봉은 제천10경 중 8경에 속하는 명승지 중의 명승지다. 퇴계 이황선생이 단애를 이룬 석벽이 마치 비온 뒤 솟아나는 옥빛의 대나무 순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새바위를 지나 둥지봉 쪽으로 오르면서 지나온 새바위 쪽을 내려다보면 바위위에 있는 큰 새와 새끼새의 모습이 영낙없는 새를 닮았다. 가까이서서 보는 것보다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보면 더욱 잚은 것이 새바위다.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해 드디어 둥지봉에 도착했다. 둥지봉은 정상이 해발 430m로 평평한 바위로 이루어져있는데, 조망권이 확보돼 멀리 가까이 자연의 절경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왼쪽으로 보면 토끼 귀를 닮은 구담봉이 있고, 옥순대교 건너 쪽으로 멀리에는 월악산이 보인다. 이곳에서 보면 과연 청풍명월의 고장이라 할 만큼 빼어난 산수를 자랑하고 있다.
다시 내려가서 둥지고개를 지난다. 둥지고개를 지나 가은산으로 가는 코스는 나무숲이다. 둥지봉에서 노송봉을 거쳐 가은산 정상에 오른다.
가은삼거리를 지나 오른쪽으로 꺾어들어 능선을 타고 오르니 가은산 정상이다. 가은산(575m) 정상에서는 숲으로 둘러싸여 조망이 약한 게 흠이다.
가은산은 금수산 정상에서 남으로 이어진 능선 위에 중계탑이 서 있는 802m봉에서 남서로 갈라져 뻗어 내린 지능선에 솟아 있는 산이다.
이 산의 등산로 곳곳에는 곰바위, 물개바위 등 기기묘묘한 형상의 바위들이 있고, 그 사이에서 자라나는 노송은 어디서든 한 폭의 동양화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산 아래 청풍호와 잘 조화를 이룬 옥순봉, 구담봉 등 빼어난 봉우리들이 있어 자연사박물관으로 통하고 있다.
가은산을 이곳 토박이 주민들은 `가는 산`이라 부른다. 마고 할미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마고 할미가 이 산에 놀러 왔다가 반지를 잃었다. 그 반지를 찾으려고 산의 모든 능선과 골짜기를 샅샅이 찾아다니다가 아흔 아홉번째 골짜기에서 반지를 찾게 되었다.
마고 할미가 반지를 찾고서는 “이 산에 골짜기가 하나만 더 있었더라면 한양이 들어설 골짜기인데, 내가 이곳에 눌러 앉아 살려고 해도 한양이 될 땅이 못되니 떠나가겠다”는 말을 남긴채 떠났다고 해서 `가는 산`이라고 불렀다고 전해진다. 그만큼 골짜기가 많다는 뜻이다.
가은산 정상에서 일행이 도착할 상천 주차장까지 거리는 3.2km다. 하산길에 내려서서 가은 삼거리를 지나 곰바위에서 도착했다. 곰이 앉아 있는 뒷모습이다.
여기서 일행들은 평평한 바위 위나 그늘진 나무 밑의 적당한 장소를 골라 간단히 식사를 했다. 필자는 식사를 마치고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경치를 즐긴다.
다시 하신길을 걷는다. 가은산 일대의 기묘한 절경들을 가슴에 새기면서 내리고 오르기를 반복하니 계단이 나오고, 그 계단을 오르니 전망대 테크가 있다.
전망대에서 바위틈에 뿌리를 박고 자라고 있는 노송들을 보니 그 악착같은 생명력에 마음이 찡하다. 북쪽 멀리로 보이는 금수산을 보고서 이곳까지 오면서 마음에 담아둔 청풍호수, 새바위, 가은산의 절경들을 다시금 떠올려본다.
조용한 산정에서 자연을 대하면서 그러한 풍경들을 떠올리는 순간이 감사할 따름이다. 특히 이곳이 청풍명월의 고장이라고 하니 자연에 대한 애정이 다른 지역과 다르게 깊어지는 것 같고, 그래서 새로운 느낌으로 마음에 덧칠되는 것 같아 감회가 샘솟는다.
“물빛 고운 청풍호/ 옥순봉 아래 비치는 물그림자는/ 자연을 닮아가는 산 사람들의/ 마음까지 정결하게 빚는다./ 명산에 오르며 만나는/ 자연의 온갖 형상물들,/ 저마다 신비감을 자아낸다.// 새바위와 둥지봉/ 곰도 있고 물개도 있으니/ 자연 풍화로 화강암이 그래낸/ 기암괴석의 숨은 비경들,/ 여기 가은산에 오르면/ 자연사 박물관의 빼어남에/ 천지가 홀로 아득하리니”(자작시 `가은산은 자연사 박물관`전문)
전망대를 내려서 오다보니 돌대문이 있다. 양쪽 바위 사이에 올려진 바위 밑으로 자연적으로 문이 만들어진 석문이다.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자연의 조화는 경이롭기까지 하다.
상천 휴게소로 오는 암릉길에는 기와집바위, 시계바위, 물개바위 등 갖가지 모양을 한 바위들과 만난다. 끝없이 이어지는 기암괴석의 모습들에 즐거워하면서 상천 휴게소에 도착하니 오후 3시 50분이다. 오늘은 약 5시간 반 동안 자연의 아름다움에 도취한 산행이었다.
글·사진= 손경찬/수필가·예술소비운동 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