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며칠 전까지 한 식구라며 행정통합을 추진했던 대구시와 경북도가 ‘K-바이오 랩허브(바이오랩)’사업 유치를 두고 또 다시 갈등관계에 들어갔다. 정부가 최근 바이오랩 구축을 추진할 지자체를 모집한 결과, 공모진행 전부터 유치의사를 밝힌 경북 포항, 인천, 대전, 충북 오송 외에 대구, 강원등 8곳이 추가로 신청서를 냈다. 바이오랩은 실험시설, 사무 공간, 네트워킹 등을 제공해 바이오분야 벤처·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오는 2024년까지 국비 2천500억원, 지방비 850억원을 투입해 사업추진에 나선다. 포항시는 이미 지난 4월 초부터 바이오랩 유치 실무추진단을 조직해서 조직적인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다. 실무추진단에는 포스텍 생명공학연구센터, 한동대 생명과학연구소, 포항테크노파크,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 바이오 기업 대표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4월 중순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을 만나 바이오랩이 포항에 들어서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도 가졌다. 대구시는 지난달 27일 대구첨복재단 등 유관기관과 함께 ‘바이오랩 유치를 위한 전략 고도화 토론회’를 여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토론회에는 대구첨복재단, 대구테크노파크, 한국뇌연구원, 기술보증기금,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벤처투자사 관계자 등 10여 개 기관이 참여했다. 바이오랩이 미래도시의 성장동력과 연결돼 있는 만큼 각 지자체들이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현재 대전이나 인천 등 수도권 인근에 위치한 지자체가 높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구·경북지역 유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적극 협력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상식이다. 지역정치권에 의하면 포항시에서 대구시 측에 해당 사업을 동반신청하자고 제안했는데 대구시가 거절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행정통합을 추진해 왔다. 수도권 블랙홀에 맞서기 위해서는 대구·경북이 한 몸이 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바이오랩 유치경쟁을 보면서 두 지자체가 말로만 통합을 외치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2021-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