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총장은 이날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의료진을 만나 지난해 2~3월 대구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고통 받았을 때를 회상하며 “코로나 확산 저지를 위한 의료진과 시민들의 노력을 지원해주기는커녕 (여당에서) 우한 봉쇄처럼 대구를 봉쇄해야 한다는 철없는 미친 소리까지 막 나오는 와중에 대구 시민들이 상실감이 컸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코로나 초기 확산된 곳이 대구가 아닌 다른 지역이었다면 민란부터 일어났을 것”이라고 했다. 윤 전 총장의 이 말에 대구시민 대부분은 공감하고 있다.
대구동산병원은 대구가 코로나 1차 대유행을 극복할 수 있었던 상징적인 장소다. 대구에서 지난해 2월 18일부터 확진자가 쏟아지자 대구동산병원은 감염병 전담 병실확보를 위해 기존 환자 145명을 설득해 달서구에 있는 계명대 동산병원으로 옮긴 후 3일만에 병원전체를 감염병 전담병동으로 내놓았다. 이처럼 의료계를 비롯해 대구시민 모두가 코로나 극복을 위해 자발적인 방역에 나섰을 당시 민주당 수석대변인이었던 홍익표 의원은 “대구·경북을 통상의 차단조치를 넘는 봉쇄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혀, 시민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줬다. 윤 전 총장이 이날 “K방역을 만들어낸 데가 바로 대구”라고 말했듯이, 대구는 여권의 냉정한 외면에도 불구하고 시민 모두가 합심해 1만명이 넘는 신천지 교인 전수 진단검사, 민간의사들의 자가격리 환자 상담, 대규모 이동검진팀 운영, 드라이브스루 선별검사, 병원과 다름없는 생활치료센터 운영 등 세계 최초의 방역시스템을 연이어 만들어냈다.
윤 전 총장의 대구발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에서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언어는 대통령 예비후보 격에 맞지 않는다” 등의 비판이 나오자, 윤 전 총장은 “대구 시민이 인내심을 갖고 차분하게 위기를 극복했다는 뜻으로 이해해달라”고 했다. 코로나 1차 대유행 당시 외부로부터 ‘하와이로 가라’는 등 온갖 조롱을 당한 대구시민들의 처지를 생각하면 여권에서 윤 전 총장 발언에 시비를 걸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