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작가들이 그러하지만, 그중에서도 캐럴라인 냅의 언어는 너무나 솔직하고도 적확해서 나를 당황하게 한다. 그녀는 자신이 경험한 감정을 둔탁한 삽으로 깊숙하게 파헤치는 것도 모자라 뿌리 사이사이를 헤집어놓으며 저 안에 감춰진 진실을 기어이 꺼내놓고야 만다. 너무나 적나라해서 때때로 불편하고 눈을 질끈 감고 외면하고 싶은 마음마저 든다. 그 면밀함을 분명히 마주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말이다.
최근에 나는 캐럴라인 냅의 마지막 저서인 ‘욕구들’을 읽었다. 그녀의 전작들을 보았을 때도 그랬지만 이번의 글은 더욱이 뭔가가 머릿속을 세게 치고 지나가는 것만 같은 느낌이었다. 그것은 고단한 성찰에 관한 존경의 마음이었으며 어렴풋하게 느끼고 있던 것들을 정제된 문장으로 마주하는 것에 대한 공감이었다. 동시에 부끄러움과 희열이 찾아왔다. 누구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던 내밀한 비밀이 들킨 기분이었다.
그녀는 거울 속의 나이자 거울 밖의 나였다. 밋밋한 얼굴을 감추기 위해 거추장스러운 장신구로 한껏 치장한 나. 툭 튀어나온 흉한 갈비뼈와 축 늘어진 겨드랑이 살을 마주하고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 나. 완벽한 이미지에 사로잡혀 거울 앞에서 너무 많은 좌절을 느끼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나. 결코 채워질 수 없는 환영을 욕망하는 나의 모습이자 동시에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지 못한 채로 엉뚱한 것을 갈망하는 우리의 모습이 동시다발적으로 떠올랐다.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평론가에게 소설에 관한 칭찬을 받게 된 소설가는 기뻐하기는커녕 오히려 의심하고 불안해한다. 어떤 목소리가 그녀를 움켜쥐었기 때문이다. ‘네가 잘나서 그런 거라고 우쭐대지 마.’ 그건 어린 시절 버릇처럼 어머니에게 들었던 말이며 스스로를 옥죄기 위해 외치는 자신의 목소리였다. 그 말이 자기가 앞으로 나아가는 걸 얼마나 방해해왔는지 깨닫는다. 그 때문에 야망을 인정하는 것 자체가 위험한 일처럼 느끼고 조용하지만 끈질긴 불안이 따라오는 것을 눈치 채지 못했던 것이다.
나 역시 마찬가지다. 내가 살아오면서 차근차근 이루어낸 일련의 성과를 오롯이 즐기거나 자랑하지 못했다. 어쩌면 그것을 겸손이라고 생각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어떤 일을 이루고 나면 유령과 같은 목소리가 내 귀에 대고 속삭인다. ‘너는 별로 대단하지 않단다. 그저 운이 좋았을 뿐이란다.’
나는 무언가를 솔직하게 원한 적이 있는가. 그 욕구를 남들 앞에서 온전하게 드러내 본 적이 있는가. 어느 날 밤 문득문득 찾아오는 그 허기를, 아무리 먹어도 채워지지 않는 그 배고픔의 기원을 들여다보지 못하고 육체가 뚱뚱하게 부풀어 오를까 봐 두려워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허기는 다양한 형태로 모습을 드러낸다. 다이어트, 중독, 소비, 관계에 대한 갈망… 나는 그것을 채우는 방식을 알지 못했다. 사회가 원하는 젊고 착하고 유머러스하며 누구에게나 무해한 사람이 되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어느 누구에게도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했다. 그것은 겉으로 보기에는 안온해 보이지만 언제든 깨질 수 있는 아슬아슬한 유리 같은 시간이었다. 냅은 이렇게 말한다.
“당신이 20세기 후반에 성년이 된 여자라면 어떤 형태로든 그 말을 들었을 것이다. 너무 많이 먹지 마. 너무 커지지 마. 너무 멀리 가지 마. 너무 높이 올라가지 마. 너무 많이 원하지 마. 하지 마, 하지 마, 하지 마.”
그녀가 진정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오랜 시간 동안 여성에게 가해졌던 억압과 핍박의 역사를 그저 발화하고자 함이 아니다. 그러니까, 많은 이들이 오해하듯 사회 구조 속에서 얼마나 피해를 받고 있는지 서로 겨뤄보자는 게 아니란 뜻이다. 자신 안에 움트고 있는, 허기에서 비롯된 검열과 혐오를 찾아내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그 지난한 과정을 통해 가끔 적합한 종류의 만족을 발견하기도 한다. 완전한 포만감이 아니어도 만족감을 주는 주체가 다른 무엇도 아닌 나 자신이 되었다는 것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삶을 살아가며 당연하게 찾아오는 허기에 귀를 기울이고 나름대로의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 안에 차오르는 욕구에 솔직하고 당당해질 필요가 있다. 나도 당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