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헌절이 있는 7월, 마을 길에도 무궁화 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우리의 ‘나라꽃 무궁화’, 학명 Hibicus는 이집트의 히비스 신의 이름이며 ‘샤론의 장미’라고 부른다. 샤론은 가나안 복지 중에서도 제일 좋은 곳, 성경에는 ‘수선화’로 번역돼 있다. 꽃말은 ‘일편단심’ ‘영원’이다. 신라의 옛 기록에 근화향(槿花鄕), 즉 ‘무궁화의 고향’이라고 했고 중국의 ‘산해경’에도 ‘군자의 나라에 훈화초(무궁화)가 많다’고 했으니 우리나라는 근역(槿域), 즉 무궁화동산이었음이 틀림없다.
무궁화는 7월부터 100여 일간 한 그루에 삼천 송이 이상 끊임없이 피고 지며, 아침에 활짝 피었다가 저녁이면 고이 꽃잎을 닫고 져버린다. 꽃이 귀한 여름철에 유난히 우아하게 피어나는 꽃잔치를 보노라면 무궁화 축제가 기억난다. 1991년 8월 경희궁에서 제1회 ‘무궁화 큰잔치’를 연 이후에 매년 전국적으로 시행하여 오고 있는데 포항에서도 2012년부터 청하의 기청산식물원에서 포항시향과 오페라단의 음악인들을 초청하여 뜻깊은 무궁화 축제를 열어왔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축제 소식이 없기에 식물원을 찾아가 보았다. 사정이 여의치 않다고 미안해하시는 이삼우 원장님과 무궁화 축제가 잘 계승되어 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무궁화원으로 갔더니 숲 가득히 아름다운 무궁화를 잘 가꾸어 놓으셨다.
무궁화는 크게 3품종이 있다. 꽃 전체가 하얀 배달계, 꽃 중심이 빨간 단심계, 꽃잎에 무늬가 있는 아사달계가 있고, 단심(丹心)계는 꽃잎 색깔에 따라 백단심, 적단심, 자단심, 청단심으로 분류된다. 대부분 홑꽃이지만 수술과 암술이 꽃잎처럼 화려한 겹꽃도 있어 전 세계 300여 종의 무궁화 중에 220여 종이 기청산식물원에 피어나고 있단다. 이름 또한 배달 사임당 새한 화랑 한얼 아사녀 삼천리 평화 등 우리말 이름이 많은 것도 서울대 류달영 박사를 중심으로 품종 발굴과 개량, 체계적 분류에 힘쓴 공로이리라.
일제 강점기에는 한민족의 상징목이라고 만지거나 바라만 보아도 몸에 병이 든다고 유언비어를 퍼뜨리며 전국적으로 뽑아버리고 불태워 버린 수난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러나 독립투사들이 민족의식으로 지킨 덕분에 오늘날 ‘나라꽃’으로 삼천리 방방곡곡에 환한 겨레의 얼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1896년 독립문의 주춧돌을 놓을 때 당시 애국가 후렴에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이라고 부르며 나라꽃이 되었고, 지금 대통령 휘장을 비롯하여 입법·사법부의 휘장으로 또 태극기 깃봉으로 되어있지만 무궁화가 법적으로 국화(國花)임을 결의하거나 법령공포를 한 적이 없고 그냥 상징적 의미로만 있을 뿐, 오히려 일본의 신화(神花)라는 주장도 있다. 봄만 되면 전국이 벚꽃 축제로 떠들썩대지만 정작 우리꽃 무궁화 축제는 그렇지 않다. 이제 우리 민족의 역사와 얼이 담긴 나라꽃을 잘 보듬어가야 하리라.
향기가 없고 진딧물이 많다고 멀리할 수도 있겠지만 씨앗과 꽃, 껍질이 약재로도 훌륭한 꽃이니 모두의 가슴에 무궁화를 심고 어지러워지는 듯한 국민의 마음을 단심으로 가꾸자. 시골집에도 무궁화 한 그루를 심었다. 이름은 ‘산처녀’. 무더위 속에서도 티 없고 맑은 무궁화 꽃이 피어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