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 부산, 울산, 경남 등 영남권 5개 시·도지사로 구성된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는 지난 20일 울산에서 모임을 갖고 영남권 상생 번영 협약서에 서명했다. 협약서에는 권역별 초광역 협력이 국가균형발전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공동 노력하고 교통, 물류, 환경, 안전, 문화, 관광 등 6개 분야에서 협력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영남권 거점 도시간 1시간 생활권을 목표로 한 광역철도망 및 도로망 구축, 상수원 다변화, 각 지역의 자연생태 및 역사문화 자원의 연계 등이 구체적인 추진 내용의 일부다.
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기 건설을 포함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공동 노력 등 당면 현안도 5개 시·도가 상호 협력해 영남권을 공동 번영의 길로 이끌어 가자고 했다.
영남권 5개 광역단체장이 이처럼 머리를 맞댄 것은 수도권 일극주의로 치닫는 국토불균형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지역의 미래는 암울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한 때문이다. 매년 10만명의 지방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빨려가는 인구 문제나 날로 심각해지는 지방소멸 현상에 대해 이제는 광역자치단체가 공동 대처하는 것만이 유일한 대안이라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처럼 메가시티 조성이 전국적 어젠다로 등장한 배경도 이 때문이다. 국가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강력한 지방분권 정책을 펼치지 않는 한 지방 스스로가 이에 대응해 나가야 하며 대응력을 넓히기 위해선 광역단체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제 구축이 필수라는 뜻이다.
이건희 미술관 서울 입지 결정과 관련, 이날 모임서도 “균형발전 차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여서 재고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도권은 인구와 경제, 문화 예술 등 모든 분야가 차고 넘친다. 그러면서 이건희미술관의 입지를 서울로 정하는 것과 같은 중앙집권의 편향된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방이 인구감소 등 소멸 위기감으로 전전긍긍하는 현실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영남권 5개 시·도의 모임은 앞으로 더 강력한 유대감으로 뭉쳐져야 한다. 1천300만 영남인의 미래에 희망을 주는 성과를 내면서 국가의 균형발전에도 역할을 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