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누구나 3D업종에서 벗어나 보다 안정적이고, 쾌적한 곳에서 직장생활을 하길 원한다.
3D업종이란 힘들고(Difficult), 더럽고(Dirty), 위험한(Dangerous)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로 주로 제조업·광업·건축업 등을 지칭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속내를 들여다보면 같은 제조업에서도 어떤 기업은 현장이 호텔처럼 깨끗하고 안전한곳이 있는 반면에 어떤 기업은 분진과 악취로 숨쉬기조차 힘든 곳이 있다.
필자는 어떤 업종에서도 3D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그 기업의 현장을 변화시켜 3D의 반대 의미인 편하고, 깨끗하고, 안전한 현장이 실현되기를 바란다.
필자는 물 맑고 공기 좋은 강원도 횡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좋은 공기를 마시며 살아온 터라, 기업을 컨설팅 하면서 방진마스크를 쓰고 일하는 직원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아팠고 방진마스크 없이도 깨끗한 곳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은 마음이 절실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발생원을 근본 뿌리부터 해결할 수는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면서 공장 환경개선컨설팅을 해왔다.
이번 환경부분에서 소개할 회사는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방적공장이다.
방적이라 함은 솜 상태의 섬유(Fiber)로부터 실을 뽑는 과정이라 할 수있다.
이 실을 뽑는 과정에서 단섬유가 빠져나오거나, 실이 끊어지면서 발생되는 하얀 면을 풍면이라 하며, 공장 내 날리는 풍면의 양은 어마어마하였다. 공장을 들어갔다 나오기만 해도 어느새 옷에는 눈이온듯 풍면이 온통 붙어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시작하여 1년안에 공장내 풍면은 50%이상 감소하였고, 이후 전원 참여 청소활동을 통해 현장을 몰라보게 바꾸었다.
“풍면 없는 공장만들기를 통해 깨끗한 일터가 구현되는 것은 마치 깊은 산속에서 순수한 공기를 마시면서 일하는 것처럼 착각이 들 정도로 신선하다”는 직원의 소감도 있었다.
이 기업을 컨설팅 하면서 느낀 환경개선 성공 노하우 3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Data를 측정한다. 측정할 수 없다면 개선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측정만이 개선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 측정기준을 근거로 목표를 수립하고 추진해 나아가야 한다.
둘째 발생원에 대한 근본 원인을 없애야 한다. 풍면의 근본원인은 바로 단섬유로 단섬유의 함유량을 줄임으로 풍면의 발생량을 대폭 줄일 수 있었다.
셋째 최적화된 집진구조를 강구해야 한다. 현재의 집진성능을 기반으로 풍면이 많이 발생되는 곳에는 집중하여 최대로 집진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많이 발생되는 곳은 많이, 적게 발생되는 곳은 적게 흡입되도록 가변식 집진을 실시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3가지의 노하우와 함께 청소를 한 결과 공장이 몰라보게 변화되었다.
깨끗한 공장(Clean Factory)은 기업생존 필수조건이다.
이는 직원들이 보람과 긍지를 가지고 일하는 것의 기초이 되고, 나아가 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가 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