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밥집 욕쟁이 할머니의 욕이 구수하다지만

등록일 2021-07-20 19:27 게재일 2021-07-21 19면
스크랩버튼
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강하고 독하게 자랐어요 아버지 / 부드러운 혀는 독보다 피보다 진해요 / 눈빛보다 강한 무기, 힘세고 강하게 살아남죠 / 무엇이든 욕으로 견디고 / 마음을 찌르는 칼 / E 씨발의 도시 미친 욕을 하거나 욕을 먹거나 / 밥 한술에도 욕을 얹고 / 아이들도 욕을 하고 욕이 욕을 부르는 전염”

한 유력 대선 주자가 오래전 형수에게 한 욕설이 두고두고 그의 바짓가랑이를 잡아당기고 있다. 논란이 일 때마다 사과했지만 어떻게든 흠집을 내려는 이들은 다시 그 사건을 끄집어 내고 수면 위로 올리고 싶어 한다.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등 가족 친척들 사이의 크고 작은 다툼은 어쩌면 보통 가정에서 적잖이 일어나는 일상사가 아닐까. 피붙이의 사랑이 깊고 짙다 해도 한 집안에서 부대끼며 살다 보면 때론 칡처럼, 때론 등나무 가지처럼 얽히고설키게 마련이다. 그 갈등은 몸의 부딪침을 일으키기도 하고 의도치 않은 막말과 욕설을 불쑥 튀어나오게 만들기도 한다.

이가을 시인은 ‘슈퍼로 간 늑대들’(책만드는집)에 실린 ‘욕의 칼’이라는 시에서 욕을 ‘마음을 찌르는 칼’이라고 그려냈다. 그렇다. 도처에 혀의 칼이 난무한다. 사람 많은 곳에 잠시 있다 보면 어디선가 불쑥 욕설이 내 귀를 찌른다. 길을 걷다가도 욕의 칼에 베이기도 한다.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 아이들의 입에서 ‘씨*’이라는 낱말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나온다. 뭔 뜻인지 알고서 하는 말은 아닐 게다. 멋진 옷에 비싼 차를 운전하고 있는 젊은 남성의 입에서도, 정성스레 아름답게 화장을 한 여인의 입에서도 ‘*나’라는 단어가 아무렇지도 않게 퍼져 나온다. 큰 사람들이니 얼추 그 뜻을 알 게다. 물론 그 혀의 칼, 욕의 날이 나를 향한 것은 아니다. 그래도 날아다니는 욕설이 어쩌다 귀를 스칠 때면 마음에 쨍하고 금이 간다.

나는 욕을 잘 못한다. 욕설을 내뱉고 싶은 마음이 장작불꽃처럼 이글거리고, 마른 잎 태우는 연기처럼 피어오를 때가 왜 없겠는가마는 막상 욕이 입밖으로는 나오지 않는다. 그나마 나의 입에서 나오는 가장 심한 욕이 ‘새끼’이다. 군대를 가면 욕이 늘어 나온다고도 하는데, 다행인지 불행인지 미군부대에서 군 복무를 한 까닭에 한국욕을 배우고 연습(?)할 기회를 놓쳤다. ‘f’나 ‘s’로 시작되는 미국 욕이 잠시 입에 붙었던 적이 있지만, 부대 밖을 나오니 곧 떨어져 나갔다. 말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자주 보고 들으면 그 단어가 입에 붙는다. 욕은 매우 강한 끈끈이를 가진 말이다. 그래서 더 잘 붙는다. 애써 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근엄하신 국밥집 욕쟁이 할머니는 / 날마다 가마솥에 욕을 끓인다 / 가마솥 절절 끓을수록 욕설이 구수하다 / 손님 탁자마다 돌아다니면서 욕으로 안부를 건넨다 / 할머니 욕해주세요∼ / 저, 염병할 놈, 또 왔네 아직도 그 타령이여? / 욕설을 얹어야 국밥이 맛있다”(이가을, ‘이 맛있는 욕’ 일부)라는 시처럼 욕은 ‘국밥집 욕쟁이 할머니’에게만 허용했으면 좋겠다.

욕이 필요할 때가 있다고도 하지만 안 했으면 좋겠다. 진심을 말하자면 국밥집 할머니의 욕도 마뜩잖다.

이재현의 달골말결(月谷言紋)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