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

“지역에 메르스환자 있다” 유언비어 유포 수사의뢰

메르스 환자가 3일 현재 30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지역에서도 확산 우려 공포가 유언비어로 번지고 있다. 3일 오전 포항에서 메르스 의심신고가 접수됐으나 오인신고로 드러났다. 하지만 관련 사실이 미확인된 내용까지 더해진 괴담으로 부풀려 확산되면서 시민들을 더욱 불안하게 하고 있다. 포항시 남구보건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께 포항시 남구의 A씨(63)가 `메르스가 의심된다`고 112에 신고했다. A씨는 지난 4월 8일 알제리를 방문했다가 지난 1일 입국한 것으로 알려져 한 때 긴장감이 높아졌으나 검사결과 의심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보건소 관계자는 “중동을 다녀온 뒤 국내에서 메르스 환자가 잇따라 발생하는 등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스스로 신고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A씨가 다녀온 알제리와 카타르는 메르스 환자가 거의 없어 현재 관리지역으로 지정되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이날 오후부터 `포항 성모병원에 메르스 환자가 입원했다``병원에 근무하는 모 간호사가 사실을 확인했다`는 등의 유언비어가 각종 SNS와 입소문을 타면서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특히 A씨의 실명과 주소 등 개인신상정보까지 퍼지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공포는 극에 달하고 있다.이와 함께 이번 사태 해결의 중요한 몫을 담당한 일선 병의원들이 루머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지난 2일부터 `메르스 환자가 입원했다`는 루머에 시달리고 있는 포항 성모병원은 SNS를 통해 `사실이 아니다`고 적극 해명하고 나섰지만, 급속도로 퍼져나가는 괴소문을 막기는 역부족이다.이 병원 관계자는 “우리 병원은 메르스 의심 환자가 진료받은 적도 없는데 왜 이런 소문이 퍼지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악의적인 글로 병원의 이미지를 훼손하면 법적 대응도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안동지역의 한 종합병원도 `메르스 양성 환자가 발생했다`는 루머에 휩싸였다. SNS에 유포되는 내용에는 `안동 모 병원에 메르스 환자가 4명이 왔다` `OO병원 출입을 자제해야 한다` 등 모두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따라 해당 병원 측은 안동시에 곤혹스런 입장을 전했고 안동시보건소는 SNS에 허위사실을 최초 유포한 사람을 찾기 위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안찬규·권광순기자

2015-06-04

檢, 軍비행장 소음피해 변호사 횡령혐의 수사

대구공군기지 인근 지역의 소음 피해배상 소송을 대리해 온 서울의 A법무법인 소속 B변호사가 소송의뢰인들에게 돌아갈 돈을 횡령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또 B변호사에게 군 소음소송을 의뢰한 대구지역 북구주민 일부가 검찰에서 참고인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2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서부지검은 A법무법인 소속 B변호사가 2010~2011년 대구 공군비행장 소음 피해 관련 소송을 진행하고서 승소 후 받은 지연이자금을 횡령했다는 진정을 접수, 수사를 벌이고 있다.검찰은 최근 서울 서초동 A법무법인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B변호사를 불러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B변호사 측은 혐의를 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검찰은 B변호사가 소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연이자금 지급에 대한 합의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소송인들에게 돌아가야 할 지연이자금 수백억원을 개인적으로 빼돌렸는지 등을 확인중이다.업계 관계자 등에 따르면, B변호사는 소음피해보상금 판결후 받은 수백억원을 원고에게 돌려주지 않고 은행에 예치한후 이자를 불리다, 대구 동구 지역 소음피해자 소송에서 지연이자 문제가 불거지자 그때서야 원금 등을 돌려주는 등의 방법으로 상당금액을 불법으로 횡령한 의혹을 받고있다.변호사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백억원의 경우 원고들에게 지급시기만 조금 늦춰도 이자가 많이 불어나 막대한 차익을 챙길수 있고, 이 당시 소송당사자들은 개별자료와 지연이자에 대해 잘 몰랐던 만큼 이러한 의혹들이 충분히 생겨날 수 있다고 본다”며 “검찰수사를 통해 명백히 밝혀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A법무법인은 부동산, 항공소음, 선하지 등과 관련한 피해배상 소송을 전문으로 하는 곳으로 수년 전부터 대구 동·북구지역 군 소음 소송을 맡아왔으며, 주로 북구지역 주민의 소송을 대행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창훈기자myway@kbmaeil.com

2015-06-03

경북 5곳 `범죄청정지역`

경북지역 5곳 지자체가 지난해 살인이나 강도 사건이 단 한 차례도 발생하지 않은 범죄청정구역으로 나타났다.30일 경북지방경찰청 `5대범죄 현황`에 따르면 안동·봉화·성주·영양·울릉 등 5개 시·군에서 지난 해 살인·강도 사건이 전무했다. 문경·영덕·의성·군위 등 4개 시군은 살인이 한 건도 없었다.울릉군은 살인·강도·강간·절도·폭력 등 5대 강력범죄를 모두 합쳐 60건에 불과해서 `범죄청정지역`이라는 영예를 이어갔다.365일 동안 성범죄 1건, 절도 6건, 폭력 53건 이 발생했고, 사기·도박 등을 모두 포함한 총범죄도 187건에 불과했다.도내에서 울릉군에 이어 5대 강력범죄가 적은 지역은 영양(94건), 군위(143건), 봉화(189건), 청송(201건), 영덕·예천(217건) 순이다.경찰 관계자는 “농촌지역은 인구가 많지 않아 사람들 간의 감시 수준이 높은 것은 물론, 끈끈한 유대관계가 형성돼 있어 범죄가 적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반면 포항은 5천120건(남구 2천363건, 북구 2천757건)으로 최다 지역이었으며 구미(4천559건), 경산(2천831건), 경주(2천664)가 그 뒤를 이었다.이들은 모두 도내 평균(1천79건)의 2배를 넘는 수치를 보였다.특히, 포항은 살인 11건(남 5건, 북 6건), 강도 5건(남 3건, 북 2건), 성범죄 147건(남 62건, 북 85건), 절도 2천526건(남 1천198건, 북 1천328건), 폭력 2천431건(남 1천95건, 북 1천336건)이 발생해 5대 강력범죄 중 강도를 제외하고 모두 발생건수 도내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이에 대해 포항남부경찰서 관계자는 “사건 발생 건수는 인구 수와 밀도에 비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순히 수치가 높다고 범죄가 많이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포항의 경우도 인구규모가 비슷한 다른 지자체보다는 강력범죄 수치가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