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뉴스

경산시, 내년 복지·민생 방점

[경산] 경산시가 내년도 본예산(안)을 1조3천92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시가 21일 시의회에 제출한 예산안에 따르면 이는 올해 애초 예산보다 364억 원(2.9%) 늘어난 규모로 일반회계 1조1천600억 원, 특별회계 1천492억 원이다.일반회계 1조1천600억 원 세입예산(안)의 주요 세입은 지방세 수입 2천42억 원(17.6%)과 세외수입 346억 원(3.0%), 지방교부세 3천160억 원(27.2%), 조정교부금 420억 원(3.6%), 국도비 보조금 4천746억 원(41.9%) 등으로 530억 원(4.8%)이 증액됐다.하지만, 지방교부세와 지방세는 전년 대비 484억 원 감소했다.정부의 내국세 수입 감소에 따른 지방교부세 468억 원(12.9%)이 감액되었음에도 증가하는 사회복지 분야, 소상공인 지원 수요 충족과 지역 현안 사업 추진을 위해 순 세계잉여금 245억 원과 경산시 통합재정안정화 기금 원금 회수 200억 원을 증액하고 하대~옥천 간 도로 개설을 위한 지방채 100억 원을 발행한다.일반회계 세출 예산(안)은 사회복지 4천754억 원(41%), 농림해양수산 1천3억 원(8.7%), 교통 및 물류 783억 원(6.8%), 환경 734억 원(6.3%), 일반 공공행정 689억 원(5.9%),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644억 원(5.6%), 문화 및 관광 605억 원(5.2%), 국토와 지역개발 358억 원(3.1%) 등이다.민선 8기 주요 공약사업과 현안 사업을 역점으로 추진하고자 편성한 주요 사업은 임당 유니콘파크 건립 261억 원, 초·중·고 급식 지원 70억 원, 중산지구 공공도서관 건립 51억 원, 전기자동차 보급 131억 원, 농민수당 지급 59억 원, 경산사랑상품권 인센티브 111억 원, 중소기업 운전자금 지원 20억 원 등이다.사회복지를 위해 기초노령연금 1천359억 원,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생계급여 지원 484억 원, 영유아보육료 443억 원, 아동수당 142억 원, 주거급여 142억 원, 장애인 활동 지원 131억 원, 출산축하금 및 산후 조리비 583억 원 등을 편성했다.조현일 경산시장은 “내년도 예산안은 국제유가 상승, 내국세 감소 등 국내외 어려운 경제 상황에도 약자를 보호하고 민생경제를 지키고자 꼭 필요한 예산으로 편성했다”며 “시의회 심의 후 확정되는 예산은 시민 중심 행복 경산 발전을 위해 최대한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 밝혔다.2024년도 본예산 안은 12월 20일 최종 확정된다./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

2023-11-23

경산시 정책자문委 ‘정책 제안 발표회’ 개최

[경산] 경산시가 21일 정책자문위원회의 ‘2023 정책 제안 발표회’를 개최했다.윤대식 위원장 주재로 진행된 발표회는 자문위원들의 정책 제안 발표에 이어 시 간부 공무원들과 함께 사업실행 가능 여부와 추진 방향 등 다양한 의견 제시와 토론이 이어졌다.경산시 정책자문위원회는 기획조정과 행정지원, 경제환경, 복지문화, 건설안전 등 5개분과 18명으로 구성돼 있다.자문위원들은 △임당 유니콘파크 활성화 △42경산 조기 정착 △앵커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북한 이탈주민의 정착지원 △공간정보기반 소통행정 공간플랫폼 기본계획 △민원인의 위법행위 및 민원공무원 보호 대책 △경산시 자가 통신망 운영 및 활용방안 △임당유니콘파크 벤처창업 및 민간투자 활성화 △대학도시 경산, 함께하는 경산 △다문화 가족기능 역량 강화를 위한 모국어 문화관광 해설사 양성 프로젝트 △경산시 주택가 주차난 해소방안 △어봉지 맨발 산책로 조성 등 총 13건을 제안했다.이강학 경산시 부시장은 “경산시는 지방소멸의 위기 속에서도 산업, 경제, 교육, 문화, 인프라 등 지역사회 저변이 고르게 발전하는 활력이 넘치는 도시로 더 큰 경산을 향한 새로운 변화와 혁신에 ‘경산시 정책자문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한편, 지난 2005년 발족해 올해 19년째를 맞은 ‘경산시 정책자문위원회’는 시정 발전을 위한 자문과 정책건의 등의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심한식기자

2023-11-22

성주군, 2024년 예산안 6천270억원 편성

성주군은 2024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60억원(1%) 증액된 역대 본예산 최대 6천270억원 규모로 편성, 군의회에 제출했다. 일반회계 5천630억원, 특별회계 401억원, 기금 239억원이다.올해 성주군 최초 본예산 6천억원 시대 개막에 이어, 내년에 2년 연속 6천억원대 예산을 편성했다. 현장 중심의 주민불편 개선과 취약계층의 복지 안전망 구축 등 군민의 일상 보듬기와 민생경제 회복에 중점을 두면서 지역의 성장기반인 핵심사업 등 성주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예산을 동시에 반영했다.정부 세수 감소로 지방교부세가 줄어들 전망임에도 국도비보조금이 전년대비 228억원(11.5%) 증가한 2천205억원으로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와함께 지방소멸대응기금도 전년보다 40억원 증가한 112억원을 확보했다.이러한 국도비 등의 증가는 열악한 지방재정 확충을 위해 이병환 군수를 비롯한 700여 공직자와 군의회가 다함께 합심해 수시로 중앙부처, 경북도를 방문하고, 지역 도·국회의원을 통한 적극적인 업무협조 등 국도비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인 결과로 풀이된다.특히, 내년도 주한 미군공여구역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국도비 120억원이라는 큰 예산을 확보했다.또한, 성주~대구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선남~다사 국도6차로 확장사업, 성주~고령 국지도 개량사업 등 대규모 국가직접 투자사업과 함께 특별교부세 추가 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어 성주군에 투입되는 예산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예산안에 반영된 주요사업은 △주한미군공여구역사업 219억원 △농촌협약 42억원 △심산문화 테마파크 조성사업 87억원 △성주호 생태둔치공원 조성사업 30억원 △성주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건립사업 15억원을 배정했다.또한 △국민기초생활보장(생계·해산장제·주거)급여지원 128억원 △기초연금지원 461억원 △농촌돌봄마을 시범단지 조성사업 40억원 △스마트 참외시설 보급지원 10억원 △시설원예 현대화 지원 12억원 △다목적 산불방제 진화차 구입 6억원 △소성지 및 인촌지 생태공원 조성사업 44억원 등을 편성했다.이와 함께 △별의별 지하공영주차장 조성사업 40억원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동락·관화·윤동사창·용산) 정비사업 76억원 △대장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42억원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 38억원 △이천 친환경 조성사업 19억원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증설사업 33억원 △성주군 급수구역 확장사업(가천·수륜) 30억원 △월항 파크골프장 조성사업 17억원 등이 있다.이병환 성주군수는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성주미래 발전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수 있도록 예산안 편성에 고심을 기울였다”면서 “다가올 2024년은 ‘응변창신(應變創新)’의 자세로 변화에 한발 앞서 대응하고 새로운 도약과 혁신을 통해 전국 최고의 부자농촌 성주군을 만들기 위해 힘차게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2024년 본예산안은 군의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7일 확정될 예정이다./전병휴기자 kr5853@kbmaeil.com

2023-11-22

고령군, 2024년도 예산안 4천407억원 편성

고령군은 전년 대비 97억원(2.25%)이 증가한 4천407억원(일반회계 4천255억원, 특별회계 152억원)의 2024년 당초예산(안)을 편성해 군의회에 제출했다.내년 예산(안)은 국제정세의 불안과 고유가, 고금리, 고물가 등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 국세 수입 감소에 따른 정부의 건전재정기조를 유지하면서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을 통한 재원의 전략적인 배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민생 안정에 실질적 도움을 주도록 편성했.군은 특히, 민선8기 공약사업인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5․5․5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인구·청년·투자유치부문에 재원을 과감히 투자해 침체된 지역의 역동성을 회복하는데 중점을 뒀다.분야별 예산은 △일반 공공행정 분야 252억원 △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 190억원 △교육분야 33억원 △문화 및 관광 분야 363억원 △ 환경 분야 561억원 △사회복지 분야 966억원 △보건분야 52억원 △농림임업 분야 767억원 △산업·중소기업 분야 117억원 △교통및물류 분야 151억원 △국토 및 지역개발분야 290억원 △ 기타 및 예비비에 665억원을 각각 편성했다.이남철 고령군수는 “2024년은‘젊은 고령! 힘 있는 고령!’실현을 위한 민선8기 2번째 당초 예산으로 군민과 약속했던 공약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역점사업 등 필요한 곳에는 예산을 투입하는 동시에 건전재정 운용에 중점을 두고 선택과 집중의 지출구조 조정을 통해 성과중심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고령군이 제출한 2024년 예산(안)은 11월 28일부터 열리는 군의회 정례회 기간 동안 심의, 의결을 거쳐 오는 12월 15일 최종 확정된다./전병휴기자 kr5853@kbmaeil.com

2023-11-22

영천시, 내년도 예산안 1조 2천903억원, 전년대비 4% 증액 편성

영천시는 2024년도 예산안 1조 2903억원을 편성했다.22일 영천시에 따르면 올해 본예산 1조 2234억 원보다 5.5%(669억 원) 증가한 1조 2903억 원 규모로 편성해 지난 21일 시의회에 제출했다.일반회계는 전년대비 4% 증가한 9천326억 원, 공기업특별회계는 33.9% 증가한 954억 원, 기금은 전년대비 3.1% 증가한 2천422억 원, 기타특별회계는 전년대비 1.2% 감소한 201억 원 규모이다.특히 일반회계 자체사업 규모는 4천445억 원으로 올해 본예산 대비 0.9%(38억원)로 증가율을 최대한 억제했으나, 국도비 보조사업이 4881억 원으로 전년대비 7%(320억원) 증가해 전체 예산 규모가 5.5% 증액됐다.이는 최근 5년 이내 최저 증가폭으로, 시는 정부의 고강도 긴축재정 및 국내경제의 더딘 회복세로 인한 국세 및 지방세 수입의 어려운 여건을 반영해 한정된 재원을 전략적으로 배분했다.또, 내년도 예산안은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에 따라 유사·중복 또는 집행부진 사업들을 과감히 조정해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민생 안전망 강화와 장기발전 인프라 확충 등 시정 역점사업에 중점 투자한다.분야별 예산 내용은 시정 역점시책 추진 및 장기발전 인프라 확충을 위해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 기반시설 설치공사 111억 원 △영천시립박물관 건립 103억 원 △자양·화북 지방상수도 공급사업 96억 원 △금호·대창 하이패스 IC 설치사업 85억 원 △금호일반산업단지 조성 76억 원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 조성 59억 원 △영천댐상류지역 하수도 정비사업 43억 원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건립 41억 원 △스타밸리 지식산업혁신센터 건립 38억 원 등을 편성했다.또한 취약계층 보호 등 약자복지 강화를 위해 △기초연금 지원 925억 원 △영유아 수당 등 보육·아동지원 426억 원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지원 329억 원 △장애인활동 지원 150억 원 △경로당 신축 및 운영지원 64억 원 등을 배정했다.미래농업·부자농촌 실현을 위해 △농민수당 84억 원 △농기계임대 및 지원사업 46억 원 △아열대스마트팜 조성 45억 원 △시설원예 신재생에너지시설 지원 28억 원 △영천마늘융복합센터 건립 14억 원 △과실전문생산단지기반 조성 10억 원 등을 반영했다.인구 증가, 청년 유입, 안전한 도시 조성을 위해 △이웃사촌마을조성 및 지원사업 67억 원 △출산양육장려금 27억 원 △영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11억 원 △외국인주민 등 거주지역 기초인프라 조성 7억 원 △청년창업지원 등 청년지원사업 83억 원 △저수지관리 및 하천재해예방 등 111억 원 △방범용 CCTV 관리 및 확충 19억 원 △CPTED 범죄예방 안전마을길 사업 4억 원 △지능형스마트 선별관제시스템 구축사업 4억 원 △악취모니터링 장비설치 3억 원 등을 편성했다.최기문 영천시장은 “2024년 예산은 엄중한 경제 위기 속에서 불요불급한 예산을 절감해 오직 시민의 행복과 영천 발전만을 바라보며, 민생 안전망 강화와 영천의 백년대계를 위한 정책들로 꼼꼼하게 편성한 만큼 주요 역점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한편, 2024년도 예산안은 제234회 영천시의회 제2차 정례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다음 달 19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조규남기자 nam8319@kbmaeil.com

2023-11-22

조현일 경산시장, 내년도 국비 지원 증액 요청 총력전

조현일 경산시장이 21일 내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국회를 방문해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지 않은 현안 사업들이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최대한 추가 확보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는 등 내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에 막바지 총력을 기울였다. 조 시장은 지역의 윤두현 의원실을 찾아가 국비 확보 극대화와 2024년도 시 발전 방향, 지역 현안 사업 등에 대해 논의하고 내년도 국비 확보 상황 등을 공유했다. 이어 윤 의원과 함께 국회 예결위원들을 만나 “대부잠수교 자연 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 등 정부 예산안에 포함되지 않은 건의 사업들이 국회 심의 과정에서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태 달라”고 건의했다. 예결위원들에게 건의한 주요 사업은 △대부잠수교 자연 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 △중소벤처 제조·창업 거점조성 △차량 첨단 ECU 활성화 기업 지원 △초거대 AI 클라우드팜 실증 및 AI 확산 환경조성 △동물용 의료기기산업 육성 거점조성사업 등 8개 사업이다. 조현일 시장은 “정부 세수 부족 상황에서도 국비 확보를 위해 전방위로 노력하고 있으며, 윤두현 의원실과 공조 체계를 구축해 정부예산이 확정될 때까지 총력을 다하겠다”며 “앞으로 있을 공모사업 등을 통해 더 많은 국비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

2023-11-21

고령군, 지산동 고분군 우수성 적극 홍보

[고령] 고령군은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지방자치경영혁신 엑스포’에 참가해 ‘젊은 고령! 힘있는 고령!’을 주제로 세계유산에 빛나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의 우수성을 적극 홍보했다.2023 대한민국 지방자치 경영혁신 엑스포는 구 대한민국 일자리 엑스포를 확대ㆍ개편한 행사이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등 120개 기관이 참여해 지자체 우수시책 및 지역의 일자리 정책 등을 홍보했다.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행정 혁신 정책 전시를 비롯해 청년 취업 준비생을 위한 취업 특강을 개최해 청년 맞춤형 취업 전략도 제시하는 등 알찬 프로그램들로 진행됐다.고령군은 ‘인구 5만명 도시, 신규주택 5천호, 청년인구 5천명’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5.5.5 프로젝트’추진에 발맞춰 고령군의 지역맞춤형 일자리 및 청년 창업 정책에 대해 소개하고, 고령군의 다양한 지원정책을 널리 알려 군민 유치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다.또한 세계유산에 빛나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 홍보동영상과 주요 관광지 홍보동영상을 상영하는 등 대가야 고령의 우수성을 널리 알렸다.이남철 고령군수는 “이번 엑스포가 일자리로 행복한 고령군, 민선8기 새롭게 도약하는 젊은 도시 고령군을 널리 알리는 기회의 장이 되었다 ”며 “앞으로도 군민이 일하기 좋고 살기 좋은 고령군이 되도록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전병휴기자 kr5853@kbmaeil.com

202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