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뉴스

안동시시민과의 공감&소통 첫 번째 사업 완주

권기창 시장이 지난 18일 도산면을 끝으로 올해 시민과 공감소통 첫 번째 사업을 마무리했다. 권 시장은 지난 1월 13일 송하동을 시작으로 이날 도산면까지 민선 8기 공감 소통의 날 사업을 통해 4100여 명의 시민을 만나 총 453건의 건의 사항을 수렴하고 현장에서 가능 혹은 불가 사유를 답했으며, 가능한 건은 관련 부서를 통해 추진토록 지시하는 등 시정을 공유하고 안동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올해 건의된 주요 쟁점으로는 △중앙선 폐역사·철도 부지 활용 방안 △농민을 위한 정책 개선 △수돗물 반값 지속 시행 요청 △노인 및 아동 복지 혜택 △인구 증가 방안 △안동댐·임하댐 활용 물산업 진행상황 △도로 개설 및 포장 △사계절 축제 등 관광객 모객 △빈집 활용 방안 등이다. 권 시장은 이 같은 시민들의 애로사항에 대해 공감하며 시설물 일부 보수, 환경 정비 등 즉시 조치 가능한 사항은 해당 부서를 통해 즉시 해결하도록 하고, 하천 정비 등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건은 순차적으로 해결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관계기관 협의 등 장기적으로 해결해 나갈 사안은 종합계획을 통해 근본적인 해법이 가능하도록 하고, 타 기관의 권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 법령으로 인해 불가한 건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설명하고 즉석에서 대안을 함께 제시하기도 했다. 아울러 농촌 일손 부족 문제 등 농민의 전반적인 어려움에 대해서도 공감하며 △외국인 계절제 근로자 확대 △농기계 임대 배달서비스 확대 △드론 방제 △농업 재해 보험 자부담률 절감 △보조사업 추진 내역 투명성 확보 △농산물 판로 지원 △농산물 통합 브랜드 개발 등 현재 추진되고 있거나 계획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빠른 이행을 지시했다. 이 밖에도 클린·그린시티 등에 대한 주민 협조와,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든든한 직장 유치, 행복한 출산·보육 환경 조성 등 젊은 안동 만들기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권기창 시장은 “누구도 시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며 “시민이 체감하는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작은 목소리도 귀담아들으며 시민만을 위한 공평하고 투명한 시정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3년 간 개최한 공감 소통의 날을 통한 건의사항은 총 1103건으로 그중 481건에 대해서는 추진을 완료하고, 165건은 현재 추진 중이며 153건은 대규모 공사 등 장기적으로 추진 중이다. 304건은 불가한 것으로 결정됐으나 불가 사유를 상세히 설명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된 대안을 함께 제시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2-19

봉화군, 민선 8기 공약사업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봉화군은 18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민선8기 공약사업 추진현황 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보고회에는 해당 실과소장 및 담당팀장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민선 8기 4년차를 맞아 공약사업의 내실있는 마무리를 위한 전반적인 성과보고와 부진사업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민선 8기 공약은 6개 분야 72개 사업으로 △봉화임산물 산지종합 유통센터 조성 △군민참여 정책자문위원회 구성 △주민화합 주민자치위원회 구성 △소주골~해저임도 연결 사업 △억지춘양시장 활성화 사업 △택시감차보상사업 △로컬 크리에이터 육성사업 △약수관광지 활성화 사업 등 현재까지 30개 사업을 완료했고, 공약사업 전체 이행률은 70.3%를 달성하며 원활하게 추진되고 있다. 특히, 핵심공약사업인 △외국인근로자 농촌일자리 중개센터 건립사업 △봉화형 스마트 팜 기반 조성사업은 봉화 농산물의 경쟁력 강화 및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겨울왕국 분천 산타마을 관광명소화 사업 △K-베트남밸리 조성사업 등 봉화군의 미래 관광산업을 책임질 특화 관광자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박현국 봉화군수는 “민선 8기 공약사업을 내실 있게 마무리하기 위해 다시 한번 최선을 다해 달라”며 “군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신뢰받는 봉화를 만드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박종화기자 pjh4500@kbmaeil.com

2025-02-19

문경시 취약계층 아동에게 40개 프로그램 맞춤형 지원

문경시는 17일 ‘기초학습 및 영유아 교육’ 드림스타트 교육과정 강사를 채용하는 등 취약계층 아동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2009년부터 시작된 드림스타트 사업은 저소득가정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발굴부터 맞춤형 서비스 제공, 사후관리까지 아우르는 것이다. 올해 사업은 취약계층 아동 총 182명을 대상으로, 영아(36개월 이하) 8명, 유아(37개월~학령전기) 45명, 학령기(초등학교 1~6학년) 129명이고, 이들은 기초수급자 120명, 차상위계층 26명, 한부모가정 27명, 사각지대 등이 9명이다. 올해 이들에게 방문해 돌보는 아동 통합사례관리를 중심으로, 4개 분야 40개 프로그램을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4개 분야는 △신체·건강(영양교육, 건강검진 등) △인지·언어(기초학습 능력 강화 등) △부모·가족(부모역량강화 교육, 가족체험 등) △정서·행동(심리검사지원 등)이다. 분야별 필수 교육은 모든 아동에게 제공하고, 맞춤형 교육은 아동의 개별 특성을 반영해 선택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문경시 서옥자 여성청소년과장은 “아동들에게 공평한 출발 기회를 주고자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준비하였으며, 지역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

2025-02-19

청송군 제2기‘나도 청송 홍보맨’발대식

청송군은 소통하는 청송을 실현하기 위해 ‘나도 청송 홍보맨’을 위촉했다. 군은 18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공직자 90여 명으로 구성된 제2기 홍보맨 위촉식을 가졌다. 또한 홍보맨의 소통 활성화를 위한 다짐 대회도 갖고 SNS를 활용한 교육도 실시했다. 올해 2기를 맞는 ‘나도 청송 홍보맨’은 일선에서 군정을 담당하는 공직자로서 홍보가 필요한 군정 정보를 직접 홍보 부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정보의 누락 없이 군민과의 원활한 중간 역할을 통해 소통 행정으로 군민 공감대 형성은 물론 ‘소통 청송’의 실현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선발된 홍보맨을 포함한 100여 명의 청송군 공직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SNS 개념과 마케팅 활용 방안에 대한 교육도 실시했다. 따라서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자들에게 SNS를 통한 홍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군민들에게는 알찬 정보를 접하는 계기도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군민에게 필요한 행정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소통하는 것이 행정의 핵심”이라며 “‘나도 청송 홍보맨’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군민과 소통으로 하나 되는 ‘소통 청송’을 만들어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종철기자 kjc2476@kbmaeil.com

2025-02-18

안동시 ‘강소기업 육성 기반구축 사업’ 참여기업 모집

안동시가 오는 3월 7일까지 강소기업 육성 기반구축 사업 참여기업 약 10개 사를 모집한다. 이번 사업은 관내 중소기업이 성장단계별 갖춰야 할 기본 여건을 마련하고 대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획됐다. 지원 대상은 안동시 소재 제조 중소기업 중 공장등록증을 보유하거나 건축물대장 용도가 ‘공장’ 또는 ‘제조업소’인 기업으로, 신청일 현재 가동 중인 기업이다. 선정기업에는 △디자인 개발 △홍보물 제작 △제품생산지원 △컨설팅 △마케팅 △인력양성의 6개 분야 24개 매뉴얼 사업에 대해 기업당 최대 1500만 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더 많은 기업에 혜택을 주고자 지난해 7개 기업에서 올해 10개 기업으로 지원을 확대됐다. 지원 분야는 온라인 마케팅과 제품 홍보물 제작 등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사업으로 추진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재)경북경제진흥원 북부지소로 접수하면 된다. 안재홍 투자유치과장은 “경쟁력을 갖춘 지역 강소기업을 발굴․지원해, 기업 역량 강화와 경영 여건 개선을 도모하고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지역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2-18

안동시 농식품바우처 사업 시행… 330여 가구에 4인 가구 기준 월10만 원 지원

안동시가 오는 3월부터 12월까지 취약계층의 균형 잡힌 식생활 지원과 지속 가능한 농식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농식품바우처 사업을 실시한다. 2025년부터 전국으로 확대되는 농식품바우처 사업은 임산부, 영유아, 18세 이하 아동이 있는 생계급여(기준 중위소득 32% 이하) 수급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된다. 사업 대상자에게 가구원 수 기준 △1인 가구 월 4만 원 △2인 6만5000원 △3인 8만3000원 등 전자카드 형태로 차등 지원한다. 수혜 가구는 신청한 달부터 최대 10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다. 안동시는 이번 사업을 위해 사업비 2억7000만 원(국비 50%, 도비 15%, 시비 35%)을 확보, 지역 내 330여 가구(추계치)를 대상으로 지원한다. 바우처 이용 가구는 농식품 바우처 카드를 사용해 경상북도 내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 및 전국 온라인 사용처에서 국산 채소, 과일, 육류, 신선알류, 흰우유, 잡곡, 두부류를 구입할 수 있다. 관내 농식품바우처 사용처는 농협, 한살림경북북부소비자생활협동조합, 편의점 등 186개소로 농식품바우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 대상자는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하거나 농식품바우처 누리집 또는 고객지원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발급된 바우처는 3월 4일부터 사용할 수 있다. 조정철 농촌경제진흥과장은 “지역 농축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고, 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취약계층의 식비 부담이 커지는 만큼 농식품바우처 지원을 통해 취약계층 먹거리 안전망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2-18

안동시 2025년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 추진

안동시가 지난 17일부터 ‘2025년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5등급 차량의 경우 경유 연료 외 LPG, 휘발유 등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 사업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손꼽히는 자동차 발생 매연을 줄여 미세먼지 저감과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된다. 지원 대상은 배출가스 4, 5등급 경유 차량 및 2009년 8월 31일 이전 배출허용기준을 적용받고 제작된 도로용 3종 건설기계 또는 2004년 12월 31일 이전 배출허용기준에 맞게 제작된 지게차, 굴착기다. 지원 조건은 안동시에 6개월 이상 연속 등록돼 있고 자동차 관능검사 적합 판정을 받아 정상 운행이 가능한 차량, 지자체 지원 이력이 없는 차량, 지방세 및 세외수입 체납이 없는 차량 등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올해 사업 규모는 5등급 1528대, 4등급 372대, 지게차 및 굴착기 14대 등 총 1914대이다. 지원 금액은 보험개발원에서 산정한 1분기 차량 기준가액을 기준으로 총중량 3.5t 미만 5등급 차량은 최대 300만 원, 4등급 차량은 최대 8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보조금 신청은 한국자동차환경협회 누리집에서 인터넷으로 접수하거나 등기우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안동시청 누리집 고시·공고란을 참고하거나 안동시 환경관리과 미세먼지대응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이와 더불어 안동시는 미세먼지로부터 어린이의 건강을 보호하고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어린이 통학차량 LPG차 전환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어린이 통학버스로 신고하는 차량 소유자(신고예정자)가 경유 차량을 폐차하면서 어린이 통학차량으로 LPG 신차를 구매할 시 보조금을 지원한다. 단 ‘도로교통법’ 제52조에 따른 어린이 통학차량의 신고필증상 주소지는 안동시에 있어야 한다. 지원 대수는 총 3대로 1대당 300만 원 정액 지원하며, 지원하는 차종은 중형 승용․승합(9인승 이상 15인승 이하) LPG 어린이 통학차량이다. 신청 기간은 예산 소진 시까지고, 접수순으로 대상자를 선정한다. 지원을 희망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소유자(신고예정자)는 지원 신청서를 작성해 안동시청 환경관리과로 방문 또는 우편 제출하면 되고, 자동차 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에 회원가입 후 신청도 가능하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2-18

영주시의원들 청렴실천 발벗고 나서 … 청렴한마디 릴레이 캠페인 눈길

영주시의회는 청렴실천 의지표명을 위한 청렴한마디 캠페인에 나섰다. 캠페인은 매달 릴레이식으로 의원 본인이 생각하는 청렴에 대해 제안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제안서를 제출, 의원들의 청렴 실천의지를 표명하기 위한 것이다. 김병기 의장이 청렴한마디 첫번째 주자로 나섰다. 김 의장은 춘풍추상(春風秋霜)을 제안했다. 춘풍추상은 대인춘풍 지기추상(待人春風 持己秋霜)이란 말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타인을 대할 때는 봄바람처럼 부드럽게 하고 자신를 대할 때는 가을 서리처럼 엄하게 하라는 뜻이다. 김병기 의장은 “춘풍추상의 의미처럼 청렴을 실천하기 위해 시민에게는 봄바람처럼 따뜻하고 부드러운 마음과 행동으로 임하며 나 자신에게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하고 시의 발전과 시민들의 복리증진을 최우선으로 삼는 것이 진정한 청렴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이어 “영주시의회가 2024년 청렴도 평가에서 하위점수를 받아 큰 충격을 받았다. 청렴 한마디 릴레이는 의원들의 청렴 실천 의지 표명과 실천으로 청렴한 의회 조성을 위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청렴 분위기 확산을 통해 시민들에게 신뢰받는 의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영주시의회는 의회 청렴도 향상과 생활 속 청렴 실천을 위해 의원들이 제안한 청렴한마디를 매달 영주시의회 홈페이지 청렴소통공간란에 게시한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2025-02-18

제7회 대한민국 선비대상 후보자 오늘 28일까지 추천

경북 영주시는 이달 28일까지 진행되는 제7회 대한민국 선비대상 후보자 추천 마감을 앞두고 선비정신을 실천하며 사회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의 추천을 당부했다. 대한민국 선비대상은 영주시 대한민국 선비대상 조례에 근거해 선비정신을 선양하고 선비사상 구현에 기여한 공로가 두드러진 개인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한다. 대상자는 대한민국 국민 및 재외국민, 외국인을 포함한 전 세계 인물 및 단체다. 추천권자는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장, 2년제 이상 대학 총장 및 학장, 법인대표, 단체장 등이다. 추천접수는 이달 28일까지다. 수상자는 대한민국 선비대상 운영위원회의 서류심사, 현지실사, 본심사를 거쳐 4월 중 최종 결정된다. 시상식은 5월 한국선비문화축제 개막행사에서 진행된다.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10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대한민국 선비대상 운영위원회는 “선비정신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라며 “선비정신을 현대적으로 실천하는 개인 및 단체의 많은 관심과 추천을 바란다”고 말했다. 영주시는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선생을 비롯해 수많은 선비를 배출한 선비의 고장이자 선비정신의 본향으로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선비정신의 발전을 위해 현대적 실천운동 주도와 소수서원 등 전통문화 유산을 간직한 도시로서 대한민국 선비대상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한민국 선비대상 역대 수상자는 정범진 전 성균관대 총장, (사)남명학연구원, 이배용 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이사장, (사)율곡연구원, (사)박약회, 신해진 전남대 교수 등이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2025-02-18

영주 출신 중앙부처 공무원이 함께하는 정례 정책간담회

영주시는 세종시에서 영주시와 영주 출신 중앙부처 공무원이 함께하는 정례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국비 확보와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박남서 시장과 국장급 간부 공무원 등 19명이 참석했다. 중앙부처에서는 기획재정부 조만희 소득법인세정책관을 비롯해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17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영주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박남서 시장은 영주호 주변 종합 개발사업, 영주 첨단베어링 국가산업단지 조성, 국도28호선 대체우회도로 적동∼상망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건설 등의 주요 사업을 설명하고 중앙부처 차원의 관심과 협력을 요청했다. 박 시장은 “고향 영주의 발전을 위해 꾸준한 애정과 관심을 보내주시는 향우 공무원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며 “영주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국비 확보와 주요 사업 추진에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조만희 소득법인세정책관은 “영주 발전을 위해 중앙부처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중앙부처와 영주시가 협력해 함께 발전해 나가자”고 말했다. 영주시는 영주 출신 중앙부처 공무원과의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매 분기 정례 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국비 확보 및 주요 현안 해결에 공동 대응할 방침이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2025-02-18

신현국 문경시장-이정걸 문경시의회의장, 네팔 둘리켈시 공식 방문

신현국 문경시장과 이정걸 문경시의회 의장, 문경시 관계자 등 총 7명의 대표단은 17일 네팔 둘리켈시 설립의 날 기념행사에 초청돼 현지 주요 인사들과 소통하며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대표단은 14일부터 18일까지 3박 5일 동안 머물며, 둘리켈시와 지속적인 협력 의지를 표명하고, 문화·관광·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 확대를 논의했다. 이번 방문에서 둘리켈 Ashok Kumar Byanju Shrestha 시장을 비롯한 시 주요 인사와 만나 상호 방문 프로그램,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을 논의하고, 둘리켈 병원, 카트만두대학교 등 주요시설을 견학했다. 앞선 15일에는 네팔 정부 Badri Pandey 문화관광항공부장관을 공식 접견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 문경시는 문화·관광 교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 문경시의 역점사업과 관광자원을 소개하며 네팔과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다. 16일에는 카트만두에 있는 네팔의 3대 주요 방송사인 TV Today 방송국에서 신현국 시장과 이정걸 의장이 특별 대담을 녹화했다. 30분 분량의 대담에서 네팔 방문 소감, 둘리켈시와의 교류 의사, 네팔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신현국 문경시장은 “이번 방문을 통해 둘리켈시와 더욱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상호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연대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네팔 둘리켈시는 바그마티주, 해발 약 1500m에 있는 도시로, 히말라야산맥의 장엄한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대표적인 관광지로 유명하다. 또한, 전통적인 네와르(Newar) 문화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 고풍스러운 건축물과 역사적 사원, 리조트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자리 잡고 있다.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

2025-02-18

“선조 임금의 어필인데…” 문경 부림 홍씨, 문화유산 지정 호소

부림홍씨 호계문중이 문경시 호계면 호계리 451번지에 있는‘어필각과 소장 유물’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이 어필은 조선 14대 선조 임금이 홍인걸(洪仁傑·1581~1639) 선천부사에게 하사한 66자의 글씨다. 어필에는 선조의 여덟 번째 아들인 의창군(義昌君)의 ’발문(跋文)’이 적혀 있으며, 병풍처럼 접는 책 형식으로 돼 있다.어필 66자는 중국 당나라 한유(韓愈)가 아들 부(符)에게 내린 ’권학문(勸學文)’인 부독서성남(符讀書城南) 오언고시 270자 중 일부다. 문중에서 선천공으로 부르는 홍인걸 선생의 자는 사호이다. 그는  문광공 귀달(貴達)의 현손이며,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해 웅천 현감을 지냈고 창주진(昌州鎭) 방어사와 선천도호부사(宣川都護府使) 겸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를 지냈다.병자호란이 일어나 사직이 강화에 들어갈 때 호종(扈從)했고, 임경업(林慶業) 장군과 힘을 합쳐 전란을 극복하는데 공을 세웠다.선천과 창주는 중국과 접경지역이다. 국가적 통로이고 군사 요충지여서 뛰어난 장수가 부사로 임명됐기 때문에 홍인걸 같은 종2품 무장이 임명됐고, 종2품은 지금의 차관급인 육군 중장 격이다.선천공 홍인걸 선생의 업적에 대한 자료와 유품은 호계리 사당에서 보관됐지만, 일제 강점기 초 같은 집안 큰 집 격인 문경시 영순의 밤실파에서 선천공이 고조 허백당 홍귀달과 같은 종2품 이상만 받을 수 있는 ’불천위’에 해당할까 염려해 사당과 유품을 다 태웠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이 때문에 선천공에 대한 기록이 없는 상태였으나, 근세 후손들이 작성한 행장(行壯)으로 활동 흔적을 확인하고 있다. 다행히 어필은 1903년 호계리 선천공 후손들이 어필각(御筆閣)을 짓고 보관해 왔으며, 1999년 문경시 옛길박물관에 위탁 보관하고 있어 안전한 상태다. 옛길박물관에는 어필 외에도 투구, 식기(食器)도 보관하고 있다. 현재 어필각에는 2019년 6월 19일 어필각 중수 때 후손이 기증한 모형이 있다.최근 옛길박물관이 어필의 진위 여부를 전문기관에 의뢰해 진품임을 확인했고, 곧 논문으로도 발표할 예정이다.후손인 홍용락 전 동아방송대 교수는 “선천공에 대한 연구가 부림홍씨 문중은 물론 향토사학계와 지자체에서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진품으로 확인된 어필과 투구, 식기, 어필각 모두 공식적인 문화유산으로 지정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다음은 어필 내용이다. 兩家各生子(양가각생자) 양가에서 각기 아들이 태어나도 提孩巧相如(제해교상여) 두 세 살 어릴 때는 재주가 비슷하고 少長取嬉戱(소장취희희) 조금 성장하여 함께 놀 무렵이면 不殊同隊魚(불수동대어) 떼 지어 헤엄치는 물고기와 같다 年至十二三(연지십이삼) 나이가 열두세 살이 되면 頭角秒相疎(두각초상소) 두각을 조금 드러내기도 한다 二十漸乖張(이십점괴장) 스무 살이 되면 점점 더 거리가 생겨 淸溝映汚渠(청구영오거) 맑은 도랑이 흐린 도랑에 비치듯이 된다 三十骨觡成(삼십골격성) 서른 살이 되면 골격이 형성되어 乃一龍一豬(내일룡일저) 하나는 용, 하나는 돼지처럼 된다 飛黃騰踏去(비황등답거) 준마는 뛰어 달리는데 不能顧蟾蜍(불능고섬서) 학문을 못 이룬 두꺼비는 돌아볼 수도 없다 一爲馬前卒(일위마전졸) 한쪽은 말 앞의 졸병이 되어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

2025-02-17

민선8기 제14차 경상북도시장군수협의회 정기회의, 산소카페 청송에서 개최

민선8기 제14차 경북도시장군수협의회(회장 의성군수 김주수) 정기회의가 17일 청송 유교문화전시체험관에서 개최됐다. 시장군수협의회는 도내 22개 지자체가 회원으로 구성돼 2개월에 한 번씩 경북도 지자체를 순회하며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윤경희 청송군수의 환영 인사말을 시작으로 김주수 협의회장이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방행정 효율성 강화를 위한 연구 용역’ 결과 발표를 시작으로 지난 회의에서 중앙부처와 경상북도에 건의한 내용에 대해 회신 결과를 검토했다. 주요 안건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 등 중앙부처 건의사항 2건을 논의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환영사에서 “민선8기 제14차 경상북도시장군수협의회 정기회의가 우리 산소카페 청송군에서 개최되어 뜻깊다”며 청송군의 주요 산업인 사과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역점사업인 ‘꼭지 무절단 사과 유통’의 저변 확대에 경상북도시장군수협의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윤 군수는 아울러 “경북도 발전을 위해 한마음으로 협력하고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시·군이 지닌 고유한 특성과 강점을 살려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경상북도시장군수협의회가 힘을 모아 나가자”고 강조했다. /김종철기자 kjc2476@kbmaeil.com

2025-02-17

청송교육지원청, 교직원 연립관사 개관…정주 여건 개선

청송지역에 근무하는 교직원들의 주거 환경이 대폭 개선돼 근무하기 좋은 청송으로 탈바꿈될 전망이다. 청송교육지원청(교육장 신덕섭)은 17일 지원청 관계자 및 입주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송읍 소재 교직원 연립관사 2동(청송솔가온·청송솔나래)에서 개관식을 개최했다. 청송솔가온·청송솔나래, 이 두곳의 연립관사 입주로 인해 청송 관내 교직원들의 주거 부담도 줄이고 정주 여건 개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교직원 연립관사 증축은 농어촌에 근무하는 교직원에게 우선적으로 관사를 제공하도록 경상북도교육청의 관사 관리 기본계획에 의거 대폭적인 지원으로 추진됐다. 총 사업비 83억 원을 들여 기존 연립관사 부지를 활용해 총 48세대(각 18세대·30세대)로 구성돼 있다. 오는 3월 1일 관사 전체 세대에 교직원이 입주하게 되는데, 5년 미만 저경력자들의 주거안정과 더불어 청송군에 조기정착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나아가 신규 관사 보급으로 우수 교직원들의 외부 진출이 줄어들어 청송교육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덕섭 교육장은 “청송솔가온·청송솔나래 교직원 연립관사의 개관이 교직원들의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보다 나은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교직원의 복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종철기자 kjc2476@kbmaeil.com

2025-02-17

영주시 시민안전보험금 지난해 84명, 1억 4000만원 지급

영주시가 시민들의 예기치 못한 사고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운영 중인 시민안전보험을 통해 지난해 총 84명의 시민이 1억 4000만원의 보험금을 받았다. 시민안전보험은 영주시가 전액 보험료를 부담한다. 영주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시민 및 등록외국인은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자동으로 가입된다. 또, 전출 시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 해지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타 보험과 관계없이 중복 보장이 가능하며 사고 발생 지역에 제한 없이 보장받을 수 있어 시민들에게 생활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시민안전보험의 주요 보장 항목에는 자연재해·익사·폭발·화재·붕괴·산사태·기타 사망 및 상해후유장해, 대중교통이용 중 상해사망 및 상해후유장해, 농기계사고 상해사망 및 상해후유장해, 익사사고 사망, 스쿨존 교통사고 부상치료비, 개물림사고 응급실 내원치료비, 사회재난사망 등 총 16개 항목이다. 시는 2025년에도 시민안전보험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충분히 안내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활동을 전개한다. 강신혁 안전재난과장은 “단 한 건의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는 것이 최우선이지만 불의의 사고로 피해를 입은 시민들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시민안전보험을 운영하고 있다”며“많은 시민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고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보험금 청구는 피해 당사자 또는 대리인이 시민안전보험 통합접수센터에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보험 관련 상담은 시민안전보험 통합콜센터에서 가능하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2025-02-17

예천군, ‘드론·라이다를 활용한 급경사지 안전점검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 사업’ 착수보고회

예천군은 17일 군청 중회의실에서 드론·라이다를 활용한 급경사지 안전점검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학동 군수를 비롯해 부군수, 국장, 실과장, 경상북도 재난관리과, 한국급경사지안전협회장 등 30여 명이 참석해 드론을 활용한 급경사지 점검과 향후 추진계획 등 다양한 논의를 거쳐 문제점을 도출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기존의 급경사지 안전점검 및 재해 위험도 평가는 육안 점검 위주로 이루어져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상부 자연산지의 위험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사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급경사지를 점검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예천군은 이번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오는 3월 드론 관제 및 관측체계를 확정하고, 11월 최종보고회를 거쳐 드론·라이다를 활용한 급경사지 안전점검 및 데이터 베이스구축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을 수행하는 전상률 한국급경사지안전협회장은 “착수보고회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과업 수행 시 중점 사항과 문제점을 보완해 급경사지 안전관리 시스템 시운영 및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행정안전부 시범사업으로 선정돼 전액 국비를 지원받아 추진하며, 올해 11월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2025-02-17

(재)예천문화관광재단, ‘공연예술지역유통지원사업’ 국비 2억500만 원 확보

예천문화관광재단은 올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최·주관하는 ‘공연예술지역유통지원사업’ 공모에 선정, 국비 2억500만 원을 확보했다. ‘공연예술지역유통지원사업’은 공연시장 활성화를 촉진하고, 문화소외지역 주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예술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다. 문화예술의 중심지로 자리 잡은 예천군문화회관은 지난해 개관 30주년을 맞아 다채롭고 완성도 높은 공연을 선보였으며, 2025년에도 군민들에게 풍성한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2025년 상반기에는 신춘음악회 ‘정영주 유엔젤보이스’를 시작으로 △3D 퍼포먼스 공연 ‘광화문 그 사내’ △뮤지컬 ‘무명호걸(無名豪嵥)’ 등이 예정되어 있으며, 하반기에는 어린이 교육 오페라 ‘신데렐라의 모래이야기’를 시작으로 △‘올해의 연극’으로 선정된 대작 연극 ‘세기의 사나이’ △‘꿈의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송년음악회’ 등 다양한 작품들이 무대에 오른다. 김학동 이사장은 “작년부터 예천군문화회관을 위탁 운영하며 국비 공모 사업을 적극 유치한 덕분에 국·도비 확보로 예산을 절감하고, 군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예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도전적인 사업 기획과 유치를 통해 예천군의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2025-02-17

국립안동대 일본 국립대학과 국제 교류 협력 강화

국립안동대학교 정태주 총장을 비롯한 대표단이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일본 사가국립대학교, 미야자키국립대학교, 토요하시 기술과학대학교를 공식 방문해 국제 교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대표단은 먼저 사가 국립대학교를 방문해 고다마 히로아키 총장 및 주요 보직자와 만나 국립경국대로 교명 변경에 따른 기존 MOU 협정 갱신 방안과 교수 및 학생 교류 프로그램 확대에 대한 협의를 했다. 또한 오는 3월 국립경국대 아동사회복지학부로 파견될 사가대학교 코쵸 나나세 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학생 교류 활성화를 도모했다. 이어 미야자키국립대학교에서 히로시 사메시마 총장 및 주요 보직자와 회동하며 교수 및 학생 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국립안동대가 추진 중인 국립의과대학 유치와 관련해 미야자키대학교 총장의 조언을 구했다. 미야자키대학교 총장은 의사 출신으로, 국립안동대의 국립의대 유치 계획과 지역 의료 환경 개선 취지에 깊이 공감하며 적극적인 협력 의사를 표명했다. 대표단은 이어 토요하시기술과학대학교를 방문해 오무라 히로시 총장 및 주요 보직자와 면담했다. 회의에서는 향후 MOU 체결 가능성을 모색하고, 반도체 신소재 분야 대학생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반도체 생산 시설과 공정을 견학하며 기술 교육 및 연구 협력 확대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정태주 총장은 “일본 국립대학 방문을 통해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국립안동대에서 국립경국대로의 교명 변경이 글로벌 명문 국립대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며 “향후 국립안동대는 일본 유수 대학들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국제적인 연구 및 교육 교류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