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창록성주소방서 지방소방사 요즘 소방서는 화재와의 전쟁이 아니라 `말벌과의 전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벌집 제거출동이 어느 때보다 많다. 지구 온난화 탓에 이상기온이 해마다 지속되고, 그로 인한 부작용 중의 하나가 말벌 피해가 아닐까 싶다.날씨가 무더울수록 말벌은 번식이 왕성하게 빠르고, 꿀벌의 15배에 달하는 맹독성(장수말벌은 100배)으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쏘일 경우 알레르기 쇼크 때문에 심장마비로 목숨을 잃을 수 있어 특별히 주의가 요구된다.옛날에 시골에서나 볼 수 있었던 말벌들이 요즘은 대도시에서도 빈번히 나타나 주택가의 처마나 창문틀에 벌집을 짓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겠다.일단 말벌이나 말벌 집이 보일 경우, 벌을 자극하지 않도록 큰 동작을 자제하고, 몸을 낮춘 후 조용히 피하고, 119에 신고해 소방관이 벌집을 제거하도록 도움을 요청한다.만약 벌에 쏘였을 경우 응급조치로는 먼저 플라스틱카드로 긁어 침을 제거하고, 비누나 물로 씻는다. 쏘인 부위를 얼음으로 찜질해주면 통증이나 가려움을 완화할 수 있다. 벌에 쏘인 부위만 붓고 아픈 때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몸 전체에 두드러기가 일어나고, 혈관부종이 생기거나 얼굴이 붉어진다. 사람에 따라 위경련·자궁수축·설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특히 알레르기에 의한 과민반응(쇼크, 두드러기, 현기증, 구토, 호흡곤란)을 보일 경우, 신속하게 병원에 가서 응급치료를 받는다.여름 연휴가 끝나고, 추석이 성큼 다가오고 있다. 야외활동이 차츰 늘어나는 시절인 만큼 말벌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우리 모두 조금만 관심을 갖고 사고예방에 신경을 썼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