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랬던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신뢰 회복을 위해 대대적인 조직문화 개선에 나섰다고 한다. 단순히 구호만을 외치는 수준이 아니라 시장조사와 컨설팅 기관을 통해 용역까지 맡겼다고 하니 단단히 결심을 한 모양이다. 용역결과가 나오면 대대적인 인사시스템 개선까지도 시행된다고 한다.
현실적으로 볼 때 대규모 에너지수요를 대처할 수 있는 에너지는 원자력에너지밖에 없다. 풍력, 태양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현 단계에서 실용화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특히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부응하고 온실가스의 배출 억제라는 국제적인 환경규제에 대처해야 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석유나 석탄에 의한 화력발전보다는 원자력발전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원자력발전 운영이 필수적이라고 볼 때 원자력발전 운영의 선행조건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는 일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전제조건은 안전한 원전 운영이고, 이에 더 나아가 윤리경영을 통한 투명하고 청렴한 원전운영의 모습은 국민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한국수력원자력은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노력 등을 통해 청렴 의지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변화하는 윤리경영의 패러다임에 순응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국민의 전폭적인 신뢰를 받을 수 있는 한국수력원자력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