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가 국가(State)로 자칭하는 것은 허풍이 아니다. 나라꼴을 얼추 갖추고 있다.`국가 3요소`는 주권·영토·국민인데, 여기저기 `점령지`가 영토이니, `다국적 국가`인 셈이다. 행정조직도 정비되어서 점령지의 국민에게 세금을 거두니 `주권`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이 `국가예산`인데, IS의 연간 예산은 2조원 규모로 캄보디아 1년 예산과 맞먹는다.예산의 절반 가량은 `점령지 예금 뺏기`에서 나온다. 지난해에는 10억 달러 정도였다. 다음이 `세금`이다. 소득세는 10%, 법인세는 10~15%, 간접세는 2%, 예금을 찾을때도 5%를 뗀다. 또 신도들에게 `종교헌금`을 강요하고, 조폭처럼 `보호세`도 거둔다. `원유 밀매`는 총예산의 4분의 1 정도. 연합군이 유전을 폭파하고 원유 운반차를 습격하니 그 수입은 점점 줄어든다. 돈은 주로 미사일 같은 첨단 무기 구입에 쓰고, 조직원들에게 월급도 준다, 전사(戰士) 1인당 400~1천200 달러, 이들의 배우자들에게는 1인당 50달러, 그 자녀들에게는 25달러씩 지급한다.IS의 행정조직도 비교적 촘촘하다. 중앙정부는 16개 부처로 구성돼 있는데, 보건, 교육, 인사, 천연자원 관리 등을 담당하고, 지방정부는 무기, 생필품, 식품공장 등을 설립해 자생능력을 갖추어간다. 세계 곳곳의 불만계층이 IS의 온상이다. 중국이 바싹 긴장하는 것은 이때문이다. 줄기차게 독립을 요구하는 티베트 등 신장 위그루족이 IS와 손잡는 것은 시간문제다. 각처의 희망 잃은 청년층들이 IS전사로 줄을 서는 것도 이때문이다.“깨어나라 무슬림 형제여 / 노예였던 기억을 떨쳐내고 무기를 들고 저항하라”는 내용의 `애국가`는 이들을 유혹한다.우리나라는 `테러 취약 국가`다. 국가 간 정보공유가 필수적인데, 한국은 `자격`이 없다. 다른 나라들이 다 가진 테러방지법이 한국에는 없다. “국정원의 권한이 많아진다”는 이유로 야당이 반대한다. 북한은 테러·암살 조직을 강화하는데, 우리는 무장해제 상태다. 꼭 당해봐야 `소아병`을 고치겠는가./서동훈(칼럼니스트)
2015-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