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서울 관악산

손경찬/수필가·예술소비운동 본부장
등록일 2015-03-13 02:01 게재일 2015-03-13 12면
스크랩버튼
참 위풍당당하구나
▲ 산꼭대기 큰 바위 모습이 `갓 모양의 산`으로 보여 관악(冠岳)이라 불려 관악산은 예로부터 경기5악으로서 빼어난 경관이 자랑이다.
▲ 산꼭대기 큰 바위 모습이 `갓 모양의 산`으로 보여 관악(冠岳)이라 불려 관악산은 예로부터 경기5악으로서 빼어난 경관이 자랑이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는 속담이 있다.“우연히 운 좋은 기회에 하려던 일을 해치운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필자가 지난주에 서울에 볼일 보러 갔다가 일이 일찍 끝나는 바람에 일요일에 관악산 등산을 했으니 그야말로 떡 본 김에 제사를 지낸 경우다. 그렇지 않아도 필자가 지금까지 경북매일신문에 산행기를 연재하는 동안 서울의 산은 북한산과 도봉산 두 곳을 올랐을 뿐이어서 언제 시간이 되면 명산인 관악산에는 꼭 다녀와야지 마음먹었는데 다행히 이루어졌다. 서울 시민들 사랑받는 명소

경기 5악 중 한 곳 꼽혀

의상대사 수행했던 연주암

설악 공룡능선 축소판 팔봉능선

곳곳마다 암릉·봉우리 절경

산악인들에게 관악산이라고 하면 관악산 서남쪽에 있는 삼성산과 장군봉까지를 포함시키지만, 일반적으로 관악산이라 할 때에는 연주대와 연주암이 있는 관악산을 말한다. 또한 관악산은 수도 서울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많은 등산객들이 몰려 여러 개의 변형코스가 생겨났고, 등산객들의 주류를 이루는 서울시민들의 거주 장소 또는 교통편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산행이 시작되고 있어서 들머리와 날머리가 많다.

그 가운데 등산 들머리로 신림동들머리, 과천들머리가 대표적인 등산코스다. 신림동들머리 신림동에 1970년대 중반부터 각광받은 코스로 산행은 서울대학교 정문 오른쪽 관악산 입구에서 시작된다. 그곳에서 제4야영장, 철쭉동산을 거쳐 연주암에 오르거나 제4야영장에서 무너미고개로 해서 연주암에 오르는 길도 있다. 과천 들머리는 과천시 중앙동에 소재한 시흥향교에서 시작된다. 이 등산길은 연주암까지 올라가는데 자하동천을 통해 오르는 길과 용마능선을 타고 오르는 길, 양쪽 길 사이를 타고 오르는 길 세 가지가 있는데, 필자는 사전 정보를 통해 중간 길을 통해 등산하기로 했다.

지하철 4호선을 타고서 사당역을 지나 과천역에서 내린 필자는 가까이 있는 과천향교 쪽으로 걸어가서 산행을 시작했다. 일요일 아침이라 벌써 많은 등산객들이 매표소에 줄지어 서있다.

관악산 등산은 시흥향교에서 출발해 대피소, 연주암, 연주대를 거쳐 관악산에 올랐다가 하산길은 관악산 자랑, 팔봉능선을 넘어 무너미고개로 해서 신림동 서울대로 내려올 예정이다.

▲ 자연절벽에 석축을 쌓아 만든 연주대, 흡사 비둘기집 모양이다.
▲ 자연절벽에 석축을 쌓아 만든 연주대, 흡사 비둘기집 모양이다.

매표소를 지나 등산길 초입에 들어서니 통일기원 국조단군상이 자리하고 있다. 입산과 동시에 오르막이 나타나는데 험한 등산로는 아니다. 정비가 잘 돼 편안한 느낌을 준다. 하기야 천만 수도 인구가 오르내리는 산이니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갖고 정비를 잘 할 수밖에 없겠다.

산행하면서 보니 길가에 나무장승이 서 있고 등산길이 편안하다. 일요일 아침이라서 그런지 등산하는 사람들이 많다. 산악회에서 등산온 팀들도 제법 많다. 그들을 따라 올라가본다.

바위돌을 밟고 지나 계단을 타고 오르고 또 산행길이 이어져 있고 작은 계곡을 건너면 계단길이 펼쳐지고 무수히 반복한다. 다행히 계단길이 길이도 짧은데다가 나무테크로 잘 정비돼있어 산행하기가 편한 길이다.

도중에 샘터를 만나 물 한 모금을 마시고는 다시 등산객들을 따라 부지런히 걸으니 대피소가 나온다. 등산로 입구에서 1.1km 거리인데 40분을 걸어왔다. 그곳을 지나 무수히 이어지는 계단을 타고 올라가니 산장이다. 산장 앞에서 잠시 쉬면서 보니 연주암이 저만치에 보인다.

산장에서 연주암까지 거리는 500m정도인데, 마지막 돌계단을 타고 올라야한다. 일요일이라 연주암 경내에는 일찍온 등산객들과 불자로 붐비고 있다.

연주암은 관악산을 찾는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사찰이다. 연주암중건기를 보면 677년 의상스님이 관악산에 의상대를 세우고 수행하였으며, 그 아래 관악사를 창건했다는 내용이 있다. 연주암이라는 사찰 이름에 대해서는 두 가지의 유래담이 전해지고 있다.

첫 번째는 고려말 충신이었던 강덕룡, 서견, 남을진 등이 고려왕조가 멸망하자 은신한 곳이 관악산 의상대였으며, 여기서 송도(개성의 옛이름)를 바라보며 고려를 그리워했다고 해 연주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두 번째 전해지는 이야기는 조선조 태종이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훗날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첫째 아들인 양녕대군과 둘째 아들 효령대군이 유랑길에 나섰는데, 두 대군은 관악사를 찾아와 수행하며 왕위에 대한 미련을 버렸다고 전해지며, 이후 사람들이 두 대군의 심정을 기리는 뜻에서 의상대를 연주대로, 관악사를 연주암으로 각각 불러다는 내용이다.

▲ 멋스럽게 생긴 관악산(629m) 정상 표지석.
▲ 멋스럽게 생긴 관악산(629m) 정상 표지석.

연주암에서는 관악산에 오르는 사람들에게 식사를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어 등산객이나 불자들이 관악산을 등산하면서 점심시간에 맞춰 연주암에 들리기도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공양을 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띈다.

잠시 경내를 구경하다가 바로 위에 있는 연주대를 향해 오른다. 연주대까지는 뻔히 보이지만 계단과 암릉을 타고 오르면 약 25분 정도가 소요된다. 연주대를 바라보니 자연절벽에 석축을 쌓아 올렸는데 멀리서 보면 마치 그 모양이 비둘기집처럼 보인다.

연주대 밑 전망대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다. 여기서 서울시내와 멀리 산들을 바라보면 조망이 좋기 때문이다. 멀리까지 조망할 수 있어 마음이 뻥 뚫리는 것 같다. 서울 시내 빌딩숲과 유유히 흘러가는 한강을 바라보다가 더 멀리에 있는 산들을 바라본다.

저 멀리에서 작년에 올랐던 도봉산과 북한산이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저 산에서도 오늘은 많은 등산객들이 산행을 하면서 봄이 오는 길목에서 자연과 더불어 좋은 시간을 맞고 있을테지 생각을 해본다.

전망대에서 다시 걸음을 시작해 연주대에 올랐다가 관악산 정상을 향해 바위 길을 타고 오른다. 관악산의 정상은 연주대보다 남쪽으로 조금 높은데 있다. 10m 높이로 뾰족하게 솟은 바위여서 `칼바위`라 부르거나 그 모양이 말머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말바위`라 부르기도 한다.

힘들게 암릉지대를 올라 드디어 관악산 정상에 도착했는데 두 시간은 족히 걸렸다. 일행이 있으면 암릉지대 등 위험한 코스는 선행팀들이 확인하고서 가는데 오늘은 홀로 등산이니 다른 산행팀이 올라가는 코스를 따라 조심스럽게 올라야하니 시간이 조금 더 걸렸다.

경기도 안성 칠장산에서 광교산으로 이어진 한남정맥의 끝자락에 솟구친 관악산(630m)은 개성 송악산, 가평 화악산, 파주 감악산, 포천 운악산과 함께 경기 5악으로 꼽힌다.

지금은 수도 서울의 휴식처로서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있지만 예로부터 군사적 요충지이자, 화기가 충천한 두려운 산으로 여겨져 선조들은 산마루에 우물을 만들고 해태상을 세웠다 한다.

오늘따라 많은 등산객들이 관악산에 올랐다. 왁자지껄한 등산객들의 소리를 들으며 필자는 홀로 전망을 살핀다. 순간 뇌리 속으로 온갖 상념들이 스친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서울시민의 휴식터에 필자가 끼어서 좋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니 `정말 좋은 시간이구나`하고 느껴진다.

봄이 오는 길목의 휴일에 일상의 복잡함에서 벗어나 수도 서울이 빤히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풍광들을 보고 느끼면서 관악의 위용을 감탄하면서 찬사를 보낸다.

“갓 모양의 산./ 산꼭대기가/ 큰 바위기둥 모습으로 보여/ 관악(冠岳)이라 부른 이 산은/ 언제보아도/ 수십 개의 봉우리들이/ 위풍당당하다.// 예로부터/ 경기5악으로 부른/ 빼어난 경관들이/ 서울 하늘 아래 있다는 게/ 신기할 정도다./ 정상에 올라서서 수려한/ 풍치를 더듬는다”(자작시`관악산에서`전문)

이제 하산해야 한다. 하산 전에 간단한 식사와 음료수로 한 끼를 떼우고서 산을 내려갈 준비를 한다. 당초에는 암릉이 빼어난 팔봉 능선을 타고 무너미고개로 해서 서울대 입구로 가려고 계획했지만 홀로 등산이라 어쩔 수 없이 방향을 바꾸어 팔봉 능선은 타지 않기로 했다.

그래도 아쉬움이 남아 정상에서 연주대쪽으로 내려서면서 팔봉능선을 바라본다. 관악산 정상에서 삼성산으로 뻗은 8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있는 팔봉 능선은 관악산 암릉의 백미이며 `설악산 공룡능선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장관이지만 또한 위험한 구간이기도 하다.

▲ 손경찬/수필가·예술소비운동 본부장
▲ 손경찬/수필가·예술소비운동 본부장

연주대를 지나 전망대 삼거리 길에서 내려서면 연주암이 나오는데, 필자는 전망대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무너미고개, 수중동산으로 가기로 했다. 산길을 계속 하산해 소머리바위까지 내려서서 다시 우회전하여 산언덕을 한참 치고 오른다.

이번 관악산 등산은 `떡 본 김에 제사지낸다`는 생각에서 다녀왔으나, 우연한 기회에 서울의 장엄한 산, 관악산에 올랐으니 필자에게는 감지덕지다.

봄이 오는 어느 날, 필자는 홀로 관악산에 올랐고 산 정상에서 수려한 풍치를 싫도록 가슴에 안았다. 위대한 자연을 생각하면서 그가 주는 은혜에 더한층 고마움을 느껴본다. 글·사진= 손경찬/수필가·예술소비운동 본부장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