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석곤의성소방서 예방홍보담당 최근 날씨가 점점 쌀쌀해지면서 공기도 많이 건조해지고 있다. 특히 아름답게 물든 단풍으로 인해 산을 찾는 인파가 늘면서 산불의 위험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산불이 발생한 경우 우선 119나 해당기관에 신고하는 것은 기본. △초기 작은 산불을 진화하고자 할 때는 나뭇가지를 사용해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하고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산되므로 풍향을 감안해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야 한다. △불길에 휩싸일 경우 당황하지 말고 타버린 지역, 저지대, 수풀이 적은 지역이나 도로, 바위 뒤 등으로 대피해야 한다. △산불구역보다 높은 곳으로 가지 않도록 하고, 수목이 강하게 타고 있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다.산불 진화작업때 주의해야 할 것은 방화복을 착용하고, 방연 마스크나 방염텐트, 안전모, 방화용장갑 등 안전장비를 지참하고, 간단한 비상식량과 마실 물을 준비한다.진화현장 도착때 안전요령으로 경사도, 불에 탈 수 있는 가연물질, 풍향, 풍속 등을 살펴본 후 불길이 어느 방향, 어느 속도로 진행할 것인가를 예측하고 행동한다. 비상시 대피장소를 선정해 두고, 미리 숙지하면 위험에서 재빨리 벗어날 수 있다.진화는 불머리 쪽으로 접근을 피하고 불길이 약한 측면에서부터 진화해 점차 화세가 강한 불머리 쪽으로 좁혀가는 방식을 쓰면 좋다. 예외로 경사가 급하거나 강풍이 불 때는 불머리 쪽 접근을 삼가해야 한다. 불길에 휩싸여 대피할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에는 낙엽, 마른나무 등 연료가 적게 쌓인 곳을 골라 낙엽 등을 긁어낸 후 방연마스크 또는 방염텐트를 사용하거나 손,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기다린다.
2012-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