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언제부턴가 말끝마다 “같아요”를 남발하는 말버릇이 유행하고 있다. 텔레비전을 보면 요즘 젊은이들은 대다수가 “너무 좋은 것 같아요”, “너무 슬픈 것 같아요”, “너무 맛있는 것 같아요” 따위의 말투를 입에 달고 있다. 자신의 감정이나 체험을 마치 남의 일인 것처럼 말하는 습관도 문제지만 어법에도 맞지 않는 말이다. 정상적이지 않은 현상이 일반화 되는 것은 일종의 증후군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같다’는 말은 ‘다르지 아니하다, 전과 변함이 없다’는 뜻의 형용사다. 그리고 ‘~ㄴ 것, ~는 것, ~ㄹ 것, ~을 것’ 등의 뒤에 쓰여서 추측이나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기도 하고, ‘미루어 생각할 때나, 생각이나 느낌을 듣는 사람의 감정이 상하지 아니하도록 부드럽게 표현하고자 할 때’도 쓰인다. 그렇듯 어엿한 우리말이지만 부적절하게 남용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너무 좋은 거 같아요”는 어법에 맞지 않는다. ‘너무’라는 부정적 의미의 부사도 적절치 않지만, ‘아주 많이 좋다’는 감정을 표현하는 말에는 ‘같아요’라는 추측이나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맞지 않는 것이다. 그런 말이 아무런 거부감도 없이 통용된다는 것은 우리말에 대한 상식적인 수준의 인식도 없다는 걸 의미한다.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대학의 교양과목으로도 국어를 배우면서 우리말에 대한 그 정도의 상식도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교육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같아요’라는 말투가 젊은이들에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진 것에는 물론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제주대학교 김재왕 교수는, 첫째로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서 단정적으로 잘라 말하는 것은 각박하다는 생각 때문이고, 둘째는 젊은 세대들의 자신감 상실·불확실하고 애매모호한 자세·책임을 피하려는 성향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가 있고, 셋째로는 사고력의 퇴화를 그 원인으로 꼽고 있다. ‘넘쳐나는 인터넷 정보, 참고서 수준의 알찬 교과서, 유려한 영상교육, 풍부한 참고서 등 학습 환경의 개선으로 표면적인 문제해결능력이나 수리능력은 향상되었지만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사리분별능력, 응용능력 및 언어표현능력 등은 오히려 퇴락한 것’이라는 설명이다.사회적·심리적 요인이 언어의 혼탁을 가져오는 것이지만, 역으로 혼란스럽고 천박한 언어가 청소년들의 정서나 심성에 미치는 영향도 막대한 것이다. 우리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인성과 가치관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올바른 언어생활이 중요하다. 올바른 언어가 올바른 생각을 갖게 하고, 올바른 생각에서 올바른 행동이 나오기 마련이다. 공기의 오염, 토양의 오염, 바다의 오염 못지않게 언어의 오염도 우리 삶을 해치는 공해라는 각성이 일어야 한다.특히나 요즘은 좌파 정치인들과 동조하는 극렬 팬덤이 쏟아내는 온갖 거칠고 사악한 말들이 난무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그런 말들에 오염되지 않고 올바른 언어습관을 갖도록 교육현장에서 각별한 노력이 있기를 바란다. 한글날을 앞두고 해보는 쓴소리다.
2023-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