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태양의 부활

등록일 2023-12-21 18:07 게재일 2023-12-22 18면
스크랩버튼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연중 밤이 가장 긴 동지(冬至)다. 오늘을 고비로 밤은 조금씩 짧아지고 대신 낮이 그만큼 길어진다. 정확하게는 날마다 30초씩 일출이 빨라지고 일몰은 30초씩 늦어져서 낮의 길이가 1분씩 늘어나는 것이다. 지구가 23.5도 기울어져서 태양을 돌고 있기 때문에 북위 38도에 걸쳐있는 우리나라와 같은 위도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런 자연현상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없었던 옛 사람들에게는 여러 가지 신앙적 상상력을 불러 일으켰을 것이다.

지동설이 나오기 전에는 낮이 가장 긴 하지(夏至)를 지나고부터 태양이 차츰 식어가다가 동지를 고비로 다시 회생하는 것으로 인식했을 터이다. 그것은 바로 우리 삶의 양식을 규정하는 자연의 법칙이었고, 과학적 사실을 알고 난 후에도 달라질 게 없는 삶의 조건이다. 달도 차면 기울고, 태양도 식어가다가 다시 타오르는 되풀이에 맞추어 해(年)와 절기(節氣)를 구분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생활을 계획하고 실천하였다. 특히나 농경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농작물을 심고 가꾸고 거둬들이는 일을 그 절기에 맞추어 실시했다.

동지가 갖는 의미는 다른 절기에 비해 특별한 데가 있다. 실생활인 농경과는 관련이 없는 어떤 정신적이고 제의(祭儀)적인 측면이 그것이다. 그래서 고대인들은 이날을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축제를 벌여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중국 주(周)나라에서 동지를 설로 삼은 것도 이 날을 생명력과 광명의 부활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며, 동짓날에 천지신과 조상의 영을 제사하고, 신하의 조하(朝賀)를 받고 군신의 연례(宴禮)를 받기도 하였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동짓날을 아세(亞歲)라 했고, 민간에서는 흔히 작은 설이라 하였다. 태양의 부활을 뜻하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 가는 작은 설의 대접을 받은 것이다.

팥죽을 쑤어서 먼저 사당(祀堂)에 올리고 각 방과 장독, 헛간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었다. 동짓날의 팥죽은 시절식(時節食)의 하나이면서 신앙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즉,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팥은 색이 붉어 양색(陽色)이므로 음귀(陰鬼)를 쫓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보았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발췌)

잎이 진 겨울나무 잔가지에 어느새 새봄을 기약하는 꽃눈과 잎눈이 맺혀있다. 동지를 지나도 봄이 오기까지는 몇 차례나 더 한파와 눈보라가 몰아칠지 모른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 겨울이 너무 길고 혹독할 것이다. 헐벗고 굶주리는 북녘의 동포들을 생각하면 너무 가슴이 아프다. 집집마다 쌓여있는 옷가지라도 보낼 수 있었으면 좋을 텐데 그것마저 막혀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노릇이다. 겨울이 아무리 혹독할 지라도 낮이 길어지는 만큼 봄이 다가오고 있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언젠가는 북녘 땅에도 봄이 올 거라는 희망의 불씨를 꺼트리지는 말자.

浮雲世說(부운세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