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마지막 잎새

등록일 2023-11-30 19:35 게재일 2023-12-01 18면
스크랩버튼
김병래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수필가·시조시인

뉴욕 맨해튼의 그리니치 빌리지에 있는 예술인의 마을, 3층 벽돌집 꼭대기에 수우와 존시가 세 들어 살고 있다. 고향이 서로 다른 두 아가씨는 화가 지망생으로, 식당에서 우연히 만나 ‘예술감각에 있어서나 꽃상추 샐러드나 작업복에 대한 취미가 일치한다는 것을 알고’ 공동화실을 갖게 된 것이다.

11월이 되어 추위가 닥치면서 존시가 그만 폐렴에 걸리게 된다. 상태가 심각해져서 왕진을 온 의사는 살아날 확률이 열에 하나 밖에 되지 않는다고 했다. 삶의 희망을 잃어버린 존시는 침대에 누워 창밖으로 보이는 옆집 담장의 담쟁이 잎을 세면서 그 잎이 다 떨어지면 자기도 죽을 거라는 생각을 한다. 담쟁이 잎이 몇 개 밖에 남지 않은 날 밤에 비바람이 불었다. 아침이 되자 존시는 잎이 다 떨어졌을 거라고 생각하고 창문을 열어 달라고 했다. 그런데 거기에는 마지막 한 잎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북풍이 사납게 몰아친 다음 날도 그 잎은 떨어지지 않았다. 그것을 본 존시는 다시 삶의 의욕과 희망을 가지게 되고 병도 차츰 낫게 된다. 그런데 그 마지막 한 잎은 수우로부터 존시의 이야기를 들은 아래층의 늙은 화가가 밤에 몰래 그려놓은 것이었다.

달랑 한 장 남은 12월 달 달력이 떠올려준 오 헨리의 단편소설 ‘마지막 잎새’의 줄거리다. 바람에 떨어져서 줄어드는 담쟁이 잎과 소진해가는 자신의 생명을 동일시하고 절망에 빠져 병이 악화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노시보 효과(NoceboEffect)’라고 한다. 아무리 좋은 약을 먹여도 환자가 ‘나는 틀렸다’고 생각한다면 실제 약효가 반감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가짜 약을 진짜라고 속여 먹여도 환자의 병세가 나아지는 현상을 ‘플라시보 효과(plecebo effect)’라 한다. 어린 시절 배가 아플 때 “엄마 손은 약손”이라며 어머니가 살살 만져주면 배앓이가 나았던 것도 그런 효과다. 의학적 소견으로는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30%가량은 가짜 약을 먹더라도 진짜 약이라고 믿는다면 통증이 잦아진다고 한다.

12월은 본격적으로 겨울이 시작되는 달이고 한 해를 마감하는 달이다. 한파가 닥치고 일조량도 짧아져서 자칫 마음이 침울해지기 쉬운 달이기도 하다. 돌아보면 뿌듯한 보람과 성취감보다는 후회와 아쉬움이 더 많은 게 보통사람들의 마음일 것이다. 더구나 노년에 접어든 사람들에게는 세월의 덧없음이 찬바람처럼 스며들 것이다. 그렇다고 마냥 움츠러들고 부정적이면 그것이 노시보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12월에 삶을 비관하고 생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그래서라고 한다. 하지만 삭풍과 조락의 계절에도 찾아보면 곳곳에 긍정의 불씨를 발견할 수 있다. 닥쳐올 엄동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돋아난 보리나 마늘의 새싹을 보노라면 생명의 엄연함을, 누렇게 변색을 하고 겨울을 맞는 냉이나 봄까치꽃 앞에서는 그 결연한 의지에 비장감마저 드는 것이다.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비록 가진 것이 초라하고 이룬 것이 없더라도 긍정과 감사를 잃지는 말아야 할 이유다.

浮雲世說(부운세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