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

‘거소투표 부정’ 불똥 군위군수 선거 튀나 109표차 승패 갈려 파장 미치나 촉각

‘거소투표 부정 사건’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군위군에서 군수 선거 결과 109표 차이로 승패가 갈리면서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2일 개표가 완료된 군위군수 선거에서 국민의힘 김진열 후보가 8천728표을 얻어 무소속 김영만 후보(8천619표)를 109표 차로 누르고 당선됐다.득표율은 김진열 후보가 50.31%, 김영만 후보가 49.68%를 얻어 0.63%포인트 차의 초박빙 승부였다.이처럼 두 후보간 표 차이가 매우 작다 보니 최근 불거진 군위지역 거소투표 부정 사건이 미칠 파장에 지역 전체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지난달 말 한 마을 이장이 주민 5명을 임의로 거소투표 신고자 목록에 올린 사실이 적발되면서 불거진 군위군 거소투표 부정 사건은 지금까지 관내에서 허위 거소투표 신고 17건, 대리투표 11건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사건에 연루된 마을 이장만 6명으로 이 중 1명이 경찰에 구속되고 5명은 선관위가 검찰에 고발했다.이들 외에도 요양보호사 1명이 역시 검찰에 고발된 상황이다.현재 경찰은 구속된 마을 이장을 상대로 주민 5명 몰래 거소 투표 신고를 하고 대리투표까지 한 혐의와 관련해 배후가 있는지 캐고 있다.경찰 수사 결과에 따라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선관위도 최근 군위군 거소 투표 신고인 246명을 전수 조사했다고 밝혔다.246명은 군위군수 선거 표 차(109표)의 2.3배가량 된다.그러나 6·1 지방선거일을 앞두고 이틀가량 급하게 조사하다 보니 대면보다는 전화나 서면 문답에 의존하게 돼 정확도 높은 조사가 어려웠다는 지적을 받는다.피해 주민 대부분이 80대 안팎의 고령인데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가 꽤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선관위는 선거 이후에도 관련 신고와 제보를 받는 등 조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김현묵기자

2022-06-02

군위·의성 거소투표 부정 속속 적발… 허위신고 등 두 지역 11명 검찰 고발

거소 투표 부정 사건과 관련해 선거관리위원회가 군위군·의성군 지역 거소투표 신고인 1천208명을 전수 조사 중인 가운데 의성의 한 마을 이장이 추가로 적발됐다.경북선관위는 거소 투표 대상이 아닌 주민들을 허위로 거소 투표 신고인 명부에 올리고 투표를 대리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의성군 한 마을 이장 A씨를 검찰에 고발했다고 1일 밝혔다.경북선관위에 따르면 A씨는 마을 주민 11명을 허위로 거소 투표 신고인 명부에 올리고 이 중 3명의 투표를 대리한 혐의를 받고 있다.경북선관위는 주민 11명은 신체장애 등으로 거동할 수 없는 자에 속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로써 선관위는 지금까지 군위군·의성군 거소 투표 부정 사건과 관련해 허위 신고 36건, 대리투표 10건을 적발했으며 마을 이장 9명, 일반 주민 1명, 요양보호사 1명 등 총 11명을 검찰에 고발했다.이와 별도로 군위경찰서는 이날 주민 5명을 허위로 거소 투표 대상자로 신고하고 대리투표까지 한 혐의로 마을 이장 1명을 구속했다.이로써 경찰과 선관위가 파악한 군위·의성지역 거소 투표 부정 사건 피해 주민은 총 45명으로 늘었다.의성과 군위 지역 거소 투표자 전체의 3.7%에 이른다.피해자 중 4명은 정상적인 거소투표 대상자이지만 본인도 모르게 대리투표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경북선관위 관계자는 “선거가 끝난 뒤에도 거소 투표 부정 의혹이 제기되면 철저하게 조사하겠다”고 말했다./피현진기자

2022-06-02

주말, 울진 산불… 축구장 203개 면적 또 잃었다

울진이 잇따른 산불로 산림이 초토화됐다. 지난 3월 울진과 강원지역에 역대 최대 규모의 산불피해(2만2천461ha)를 낸 데 이어 지난 28일 또 다시 대형 산불이 발생, 145㏊의 산림을 태웠다. 울진 주민들은 연이어 발생한 대형 산불로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 28일 낮 12시 6분쯤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강풍을 타고 주변 산과 마을로 번졌다. 산불은 23시간 34분 동안 일대 산림 145㏊를 태우고 29일 오전 11시 40분쯤 주불이 잡혔다. 이는 축구장(7천140㎡) 203개 면적에 해당한다.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보광사 대웅전을 비롯해 자동차정비소 등 6곳의 시설물 9개 동이 탔다.29일 울진군과 산림청에 따르면 28일 낮 12시 6분쯤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야산에서 불이 나 주변 산과 마을로 번지면서 29일 오전 9시 현재까지 산불영향구역이 145㏊에 이른다. 이는 축구장 면적(7천140㎡)의 215.7개에 해당한다.산불영향구역은 연기나 재 등으로 피해를 본 지역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실제 피해 면적과는 차이가 있다.이번 산불로 많은 산림이 탔고 현재까지 보광사 대웅전과 자동차정비소 등 건물9동이 탔다.산림당국은 이날 새벽부터 산불진화 헬기 36대와 산불진화대원 1천510명을 투입해 불을 껐다. 산림 당국은 공사장에서 용접하다가 불티가 튀어서 산으로 날아간 것으로 추정했다.건조한 날씨로 산지가 바짝 메마른 데다가 돌풍으로 불꽃이 약 500m 거리까지 날아갈 정도여서 산림당국은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산림청은 지난 28일 해가 져 산불진화 헬기가 철수한 뒤에도 산림항공본부 공중진화대 등 진화대원을 집중 투입하며 밤새 산불 확산을 막는데 주력했다.산림청과 경북도, 울진군 등은 주불 진화 후에도 불이 번질 수 있는 만큼 산불진화 헬기 10대와 열화상 드론 2대를 투입해 남은 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 온 힘을 쏟고 있다. 또 산림청은 조사감식반을 투입해 정확한 발생 원인과 피해면적을 조사할 계획이다.이번 산불은 산림청이 산불통계를 데이터화한 1986년 이후 5월에 발생한 대형산불 4건 중 가장 늦은 시기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앞서 지난 3월 4일부터 울진에서 산불이 난 뒤 강원 삼척까지 번졌다. 13일까지 213시간 동안 산불이 이어지면서 울진 피해면적은 1만4천140.01㏊, 삼척 피해면적은 2천161.97㏊로 나타났다. 또 주택 319채, 농축산 시설 139개소, 공장과 창고 154개소, 종교시설 등 31개소 등 총 643개소가 불에 탔다.한 군민은 “올들어 벌써 두번째 대형 산불이 발생해 많은 산림이 훼손됐고 산불을 피해 이주를 해야하는 등 불안에 떨었다. 이제 산불 이야기만 나와도 깜짝깜짝 놀랄 정도로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며 “울진은 금강송 군락지, 송이 주산지 등 풍부한 산림 및 임산자원을 지키고 보전하기 위한 항구적인 산림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말했다.윤석열 대통령은 29일 울진 산불과 관련, “주불이 진화됐지만, 산림청과 소방청, 경상북도 등 산불 진화 기관에서는 마지막 남은 잔불을 완전히 잡을 때까지 철저히 관리해 주시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두 달여 전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경북 울진에서 다시 산불이 발생해 소중한 산림이 훼손되고, 많은 건물이 불타는 안타까운 사고가 일어났다. 밤을 새워가며 산불 진화에 최선을 다하고 계신 산림 당국과 소방 및 진화대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강인선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울진/장인설기자 jang3338@kbmaeil.com

2022-05-29

구미 폭행·예천 금품설 등 지방선거 ‘혼탁’

6·1 지방선거과정에 폭행사건과 금품수수설이 나오는 등 선거가 과열·혼탁양상을 빚고 있다.구미시장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 측은 “선거운동원이 유세 중 폭행당해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23일 밝혔다.장 후보 측은 “전날 오후 3시쯤 선산 오일장 유세 도중 신원을 알 수 없는 남성 3명이 선거운동원 A씨를 폭행했고, 현장에서 경찰과 선관위 관계자들에 의해 검거됐다”고 했다.이어 “폭행을 당한 운동원은 현재 충격으로 인해 치료를 받고 있다”며 “선거운동원에 대한 폭행은 있을 수 없는 선거 자유 방해”라고 덧붙였다.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선거인, 후보자 등 선거관계자에 대해 폭행·협박을 하거나 집회·연설·교통방해 등의 방법으로 선거의 자유를 방해한 사람은 10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예천군의회 의원 선거 ‘나’ 선거구(효자·은풍·감천·보문·용문·유천)에 출마한 K씨의 선거운동원 J씨에게 금품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S모씨가 경찰에 신고했다. 사건은 22일 저녁 10시쯤 S모씨(보문면 거주)에게 K모 후보의 선거운동원인 J모씨가 선거를 도와 달라는 명목으로 현금 30만원을 S씨의 차량에 두고 내려 S씨는 이 현금을 가지고 경찰에 자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양심고백을 한 S씨는 밤 늦도록 예천경찰서에서 조사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선거법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는 계속 진행 중으로 조사를 마쳐봐야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구미·예천 /김락현·정안진기자

2022-05-23

“국힘 군수 공천 경선서 불법” 잇단 고발

국민의힘 경북지역 군수 공천을 위한 경선 과정에서 불법행위가 있었다는 내용의 고발이 잇따라 경찰이 수사 중이서 파장이 예상된다.11일 경북경찰청 등에 따르면 영덕주민 A씨는 지난 9일 공직선거법상 선거자유의 방해죄 혐의로 불특정 남성 2명을 고발했다. 불특정 남성 2명은 국민의힘 영덕군수 경선이 진행된 지난 6일 영덕에 사는 국민의힘 책임당원 B씨를 찾아가 한 후보를 찍도록 강요한 혐의를 받고 있다. B씨는 불특정 남성 2명이 휴대전화 서비스를 핑계로 접근해 휴대전화 가게로 유인한 뒤 한 후보를 찍으라고 압력을 넣었다고 밝혔다. 경찰은 현재 고발장을 받아 관계자를 상대로 수사 중이다.국민의힘 경북도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지난 8일 경선을 거쳐 김광열 예비후보가 현 군수인 이희진 예비후보를 앞섰다며 공천하기로 발표했다.예천에서는 지난달 30일 특정 군수 후보 캠프 인사 2명이 국민의힘 책임당원 D씨를 찾아가 “경선 투표를 위한 앱을 휴대전화에 깔아주겠다”고 한 뒤 D씨 몰래 자신들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모바일 투표한 의혹이 있다는 내용의 고발장이 경찰에 접수됐다.고발인측 관계자는 “당시에 고령의 책임당원 4∼5명이 비슷한 일을 당한 것으로알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예천경찰서는 이 같은 고발 내용을 바탕으로 수사를 진행 중이다.경찰 관계자는 “고발 내용이 사실인지 조사를 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2022-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