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소나무 숲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다

임창희 기자
등록일 2025-11-26 20:11 게재일 2025-11-27 5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임창희 선임기자

포항시가 소나무재선충병의 급속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전방위 방제 방식을 벗어나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전환했다. 지난 10월 29일부터 ‘2025년 하반기 위험목 제거사업’에 착수한 포항시는 도로변과 생활권 인근의 위험목을 우선 제거하며 시민 안전과 직결된 구역을 중심으로 방제에 나섰다. 호미곶면·장기면·구룡포읍 일대가 특별방제구역으로 지정된 것도 이때문이다.

하지만 포항 뿐 아니라 영남권의 소나무 숲은 이미 붕괴의 길로 접어들었다. 포항·경주·밀양을 비롯해 대구·안동·성주 등 11개 시군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세는 통제 불능 수준에 이르렀다. 방제라는 개념이 무력화된 현장은 곳곳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국도변 산림은 마치 단풍이 든 듯 붉게 변색된 소나무로 가득하고, 능선과 마을 인근에는 고사목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된 소나무재선충병은 2000년대 두 차례의 확산기를 거치며 전국으로 퍼졌다. 초기에는 정부와 지자체, 전문가, 지역사회가 협력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영남권 상황은 완전히 다른 차원이다. 포항과 경주 등 동해안벨트만 해도 2만5000ha에 달하는 거대한 감염지대가 형성돼 있다. 포항 호미곶에서 장기면, 경주 감포읍까지 이어지는 방제선도 무너졌다.

일본은 재선충병과 100년을 싸웠지만 결국 실패했다. 국내 방제정책은 여전히 일본의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감염목 벌채와 수간주사, 약제 살포 같은 물리·화학적 방제는 넓게 퍼진 감염지대에는 역부족이다. 국립수목원이 하늘소의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개발 중이지만 현장 적용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여기에 기후변화는 매개충의 생존 범위를 넓히며 확산 속도를 더 높이고 있다. 문제는 이 심각한 상황을 지방정부와 정치권이 오랫동안 외면해왔다는 점이다. 2022년 경북동해안의 심각한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이 보고됐지만, 지자체는 예찰 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다. 모든 것을 예산과 인력 부족 탓으로 돌리며 관성적 방제만 반복한 결과 지금은 ‘방제 포기’가 거의 유일한 선택지로 회자될 정도다.

올해 포항시는 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무려 323억 원이라는 예산을 투입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자조섞인 말이 더 크게 들린다. 감염 확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채 고사목 제거에만 급급한 구조 속에서 방제 예산의 효율성이 과연 있는 것인지 의문스럽다. 예산 투입이 늘어날수록 현장은 더 황폐해지고, 붉게 변한 산림은 예산 집행의 근거로만 남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정부의 특별방제구역으로 지정된 면적보다 실제 감염지대는 두 배 이상 넓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다. 이제 논의는 ‘소나무 숲을 어떻게 지킬 것인가’가 아니라 ‘소나무가 사라진 뒤의 산림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로 옮겨가야 한다. 무분별한 벌목은 제2, 제3의 산림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연의 복원력을 토대로 토종수종으로의 전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모델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재선충병은 단순한 병해충이 아니라 기후변화 시대의 산림 생태계 전환을 예고하는 경고음이다.

포항의 붉은 소나무 숲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행정과 의회, 정치와 지역사회가 하나로 대응하지 않는다면 머지않아 우리 산하의 소나무 숲은 역사 속 풍경으로만 남게 될 것이다. 산림청과 정부, 국회가 나서 범정부적 재난 대응 체계로 전환하지 않는 한 소나무 숲의 종말은 불보듯 뻔하다.

/임창희기자 lch8601@kbmaeil.com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