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너무 많은 2등급, 농민들 한숨도 깊어진다

정안진 기자
등록일 2025-11-23 12:27 게재일 2025-11-24 10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경북부. 정안진기자

‘추곡수매’라 불리던 벼 수매 명칭은 비록 ‘공공비축미 매입’으로 바뀌었지만, 농민들의 한 해 결실을 확인하는 현장의 의미는 여전하다. 예천군은 올해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군은 이달 14일부터 12월5일까지 용궁면과 개포면을 시작으로 12개 읍면에서 공공비축미 건조벼를 순차적으로 매입한다.

매입은 관내 30개 수매장에서 진행되며 건조벼 5065t, 가루쌀 241t, 산물벼 1021t 등 총 6327t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전년 대비 약 90% 수준(공공비축미곡 기준)이다. 매입 품종은 미소진품과 영호진미 두 가지다.

그러나 현장 분위기는 밝지 않다. 올 한 해 예천지역은 폭염·집중호우·깨씨무늬병 확산 등으로 영농 환경이 악화됐고, 수확기 잦은 비까지 겹쳐 농민들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가운데 벼 등급 판정까지 엄격해져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예년이라면 거의 없던 2등급 판정이 올해는 전체의 3분의1 수준까지 늘었다. 공무원들에 따르면 1등급과 2등급 간 가격 차이는 톤백(800kg) 기준 5만 원 이상으로, 농가 부담이 적지 않다.

예천읍 왕신리에 사는 농민 A씨(70)는 “힘들게 농사지었는 데 2등급 판정을 받으니 앞으로 농사를 계속 지을 자신이 없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수매 현장에는 안도와 실망, 기대와 걱정이 뒤섞여 있었다. 1등급 판정을 받은 농가들은 한 해 농사를 무사히 마쳤다는 안도감을 드러냈지만, 2등급 판정을 받은 농민들의 표정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추곡수매 현장은 단순한 곡물 거래의 공간이 아니다. 이곳은 우리 농업의 현실을 보여주고 미래를 고민하게 하는 상징적인 자리다. 농부들의 정직한 땀과 노력이 우리의 식탁을 지켜왔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운다.

농업은 생명의 근본이자 국가의 기반이다. 묵묵히 땅을 지키며 귀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민들의 노고를 잊지 말아야 하며, 이들의 열정이 희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더 많은 관심과 응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ajjung@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