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포항 영일만항 북극항로 특화전략 포럼’ 축사를 통해 “북극항로는 전남 여수·광양에서 부산, 울산을 거쳐 포항에 이르는 ‘북극항로 경제권역’의 균형발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면서 “쇄빙선 등 특수선박 수요 확대는 세계적인 철강산업 인프라를 갖춘 포항 경제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성엽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북극항로 활성화에 대비해 지역의 산업환경을 고려한 대응 전략 마련이 중요하고, 철강산업의 신사업 발굴을 통한 산업경쟁력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쇄빙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쇄빙선의 선체를 구성하는 강재는 쇄빙선 개발과 건조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극지해역의 저온 환경과 쇄빙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피로현상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특수 강재가 요구된다.
정 책임연구원은 북극항로 활성화에 대비해 저온 환경에서 인장 강도가 높고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큰 고강도 강철 개발이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극지운항선박에 대한 신조 발주가 증가하면 쇄빙선박 건조에 사용하기 위한 후판 공급을 위해 철강업계의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수출 부진과 통상환경 악화로 큰 어려움을 겪는 철강산업이 극지운항선박 전용 후판 개발과 운용 실적이 확보된다면 K-철강산업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포항시와 함께 포럼을 마련한 김정재(국민의힘·포항 북) 국회의원은 “북극항로 개척을 앞두고 극지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쇄빙선, LNG·암모니아 운반선, 친환경 추진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고,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선박의 정비와 환적, 연료공급 등을 지원할 중간기착지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철강·에너지·소재산업이 집약된 포항은 충분한 강점을 갖고 있다”고 자신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북극항로 시대 전략적 전초기지인 포항 영일만항이 북극항로에 있어 거점항만으로서 역할을 해야하고, 포스텍 등의 첨단 연구개발(R&D) 역량을 가진 포항에 북극해운정보센터가 설치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와 공감대를 얻었다.
최상민 포스텍 산업혁신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포항의 연구인프라가 북극해운정보센터와 연계되면 단순한 해빙 관측이나 항로 모니터링을 넘어 인공지능(AI) 기반의 예측·분석 중심형 데이터 허브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희용(국민의힘·고령군·성주군·칠곡군) 국회의원은 환영사를 통해 “포항 영일만항 등 항만별 특성을 살린 복수거점 전략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휘(국민의힘·포항 남·울릉) 국회의원은 개회사에서 “영일만항은 북극항로에 가장 가까운 지정학적 요칭지로 대한민국 해양경제가 더 넓은 대양으로 도약할 관문이 될 잠재력을 온전히 품고 있다”면서 “영일만항이 에너지와 첨단산업, 글로벌 항만 네트워크가 어우러진 대한민국의 새로운 복합해양경제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했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