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기획ㆍ특집

숲길과 꽃길 사이, 평창에서 쉼을 찾다

이제는 덥다는 말로는 부족한 여름이다. 여름을 이기는 게 힘들면 즐기는 편이 낫다. 물놀이를 하거나 영화관이나 미술관 같은 실내로 피하는 것도 방법이다. 무엇보다 휴가를 가면 제일 좋다. 휴가의 휴는 실 휴(休)자다. 나무 그늘에 사람이 들어가는 모양의 글자다. 그러니 올여름은 나무 그늘이 많은 평창으로 떠나보면 어떨까. <편집자 주> 평창은 산이 대부분인 곳이다. 푸른색이 많아서 차를 타고 어디를 가도 눈이 편안하다. 평균 해발 고도 700m라는 것을 이용하여 ‘Happy 700’이란 슬로건을 내걸고 서늘한 여름 휴양지로 홍보하고 있다. 겨울이 길고 설질(雪質)이 좋아 스키 하기 좋은 곳이다. 눈도 많이 오고 게다가 겨울에는 -30℃ 가까이 내려가기도 한다. 여름 역시 고원 지역답게 굉장히 시원한데 평창 전역의 모든 관측소에서 열대야가 기록된 적은 단 1번도 없다. 대한민국의 몇 없는 냉대 습윤 기후 지역이라 1년 내내 시원하고 추우며, 평창읍을 제외하고 폭염 특보가 거의 없고 아예 없는 해도 자주 있다. 겨울도 굉장히 길어서 이곳 스키장들은 매년 전국 최속으로 시작해 4월까지도 영업하는 개장하기도 했다. 포항의 밤 기온이 25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여름이라 평창에서 한 달 살기를 하고픈 심정이다. 올해로 4년째 평창으로 2박 3일 휴가를 떠났다. 해발 700m의 열대야 없는 여름 자연과 산 어우러진 치유 여행지 이동 편리한 드라이브 코스 가득 경사 낮은 ‘발왕산 천년주목숲길’ 오대산 월정사·상원사 사찰 탐방 개망초 활짝 핀 육백마지기에 매료 조선왕조실록박물관 등도 볼거리 첫날, 발왕산 케이블카를 탔다. 비가 부슬부슬 내려서 이용객이 적어 우리가 조용히 즐기기에 더 좋았다. 발왕산 천년주목숲길은 ‘2023 한국관광의 별 무장애 관광지’ 부문 선정지로 발왕산 정상에 조성되어 있다. 유모차, 휠체어 등의 보조기구가 완비되어 있으며, 경사도 8% 이하의 완만한 코스로 데크길을 설계하여 관광 약자인 장애인, 영유아, 임산부, 고령자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이곳에서는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자연을 오롯이 느낄 수 있다. 데크를 따라 걷다 보면 높은 산에서 자라는 나무들과 아름드리 주목이 여러 이름표를 달고 우리를 맞는다. 나무 가까이 가면 남녀 성우의 목소리로 이름이 생긴 이유와 뜻과 나무마다 특성을 들려준다. 들으며 사진을 찍고 나무를 우러러보기도 했다. 그중에 마유목은 연예인 박경림이 들려 주어서 더 반가웠다. 그렇게 풀꽃 이름도 구경하며 걷다 보니 발왕산 정상에 올랐다. 샬라라한 원피스 차림인 나를 보고 지나는 여행객이 치마를 입고 오를 수도 있구나하며 지나갔다. 그만큼 평탄한 산책길이었다. 무엇보다 선선해서 민소매로 올라온 분은 춥다며 몸을 움츠렸다. 케이블카 타는 곳에 식사할 수 있는 카페가 있다. 멋진 뷰까지 더해진 음식값이 만만치 않아서 우린 핫도그와 요거트로 뱃속을 달래고 내려왔다. 둘째 날, 새벽에 일어나 오대산 월정사 전나무숲길을 맨발로 걸었다. 비가 와서 우산을 쓰고 걸으니 후두둑 우산에 떨어지는 빗소리가 더 정겨웠다. 이른 시간이라 숲길의 주인은 우리였다. 밤새 비가 와서 계곡에 물이 가득해 쏴아아~~ 귀가 먹먹할 지경이다. 물안개 피어오르는 오대산은 언제 보아도 편안하다. 월정사 탑은 수리를 끝내고 수려한 모습을 드러냈고, 경내는 이른 아침이라 고요하다. 우리는 물소리를 더 즐기려 상원사로 향했다. 월정사 주차장에서 차를 빼서 골짜기를 따라 산속 더 깊이 들어갔다. 비포장이라 비가 오지 않는 날엔 먼지 나지 않게 천천히 달려야 한다. 좀 전까지 비가 내려 먼지는 없어도 길에 다람쥐가 먹이를 먹으러 내려와 있으니 더 조심해서 운전해야 한다. 이 길은 늘 천천히 숲 구경 물 구경 다람쥐 구경하며 오르는 길이다. 상원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있는 적멸보궁이고 안동에서 이 멀리 가져 온 동종이 유명하니 꼭 보고 와야한다. 다만 아쉬운 것은 월정사가 나라에서 입장료를 받지 말라고 하니, 주차비라는 이름으로 6천 원을 받는다. 시정해야 할 일이라 본다. 내려오다 월정사 입구에 조선왕조 실록박물관이 있다. 실록과 의궤 등 중요한 기록을 보관하던 오대산 사고의 기록이 담겨있다. 역사를 기록한 실록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보관되었는지 영상과 실물이 있으니 볼만하다. 어린이 박물관에는 체험도 가능하니 더 좋다. 로비는 책 읽기에 좋은 카페뷰다. 책 몇 권 들고가서 한나절 읽고 나와도 좋을 분위기다. 박물관이 우리에게 많은 것을 안겨준다. 나오는 길에 위치한 캔싱턴호텔 자수 정원은 프랑스 빌랑드리 성의 정원을 그대로 옮겨 놓았다. 초록 잔디에 어린 왕자가 꽃다발을 들고 있어서 인증샷을 찍었다. 새파란 미로 정원에서 시원한 분수 소리를 즐길 수 있어 아름답다. 평창은 차를 타고 달리다 눈 돌리면 딥한 녹색의 파밭이 끝없이 펼쳐지고, 또 초록빛의 당근밭이다가 배추밭이 이어진다. 카페에 들어가 커피를 시키고 바라보니 밭에 노란꽃이 폈나했더니 알타리무 뽑아서 담는 플라스틱 상자였다. 밭뷰가 마음을 편안하게 했다. 마지막 날에는 육백마지기에 올랐다. 6월엔 샤스타데이지가 하얗게 덮었다는데 여름엔 개망초가 육백마지기 가득 피었다. 하얀 꽃송이들을 흔들며 바람이 분다. 언덕에 선 바람개비가 돈키호테에 나오는 풍차처럼 웅장하다. 무지개빛 계단을 내려가면 두 사람 정도 들어갈 수 있는 작은 교회가 있다. 마주 앉아 가족의 건강을 기도했다. 대관령 하늘목장과 전나무 숲 쉼터 밀브릿지는 내년에 보기로 하고 남겨두었다. 숙소는 지난 3년은 알펜시아에 포스코에서 운영하는 연수원이 있어서 가족 찬스로 이용했었다. 그 주변에도 호텔과 리조트가 많아서 사람들로 늘 북적였다. 특히 공연장과 구경거리도 있어 안성맞춤인 곳이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이용할 수 없어서 평창군 대관령면 소재지에 호텔을 예약했다. 너른 평창군 여기저기로 구경 가기 좋고 먹거리도 많은 곳이라 선택했다. 황태구이와 황태국을 아침 식사로, 옹심이와 감자전을 점심으로 저녁은 오리구이를 먹었다. 다만 평창이 목장에 풀어놓고 키우는 한우를 맛보려니 소시민이 먹기엔 너무 비쌌다. 한우는 돌아오는 길에 안동에서 먹었다. 휴가를 떠날 때마다 캐리어에 책 한 권을 넣어 간다. 올해 책은 마스다미리의 ‘주말엔 숲으로’와 ‘밤하늘 아래’였다. 마스다 미리의 만화는 소소한 일상을 슥슥 대충 그린 것 같은 그림체 속에 슬쩍 건네는 등장인물의 한마디가 가슴에 남는 그런 책이다. 호텔이나 카페에서 피식 웃으며 보기 딱 좋다. 지난여름엔 ‘제철 행복’을, 2023년에는 박준 시인의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 며칠은 먹었다’ , 2022년에는 ‘돈키호테’를 가져갔다. 읽다가 잠들기도 하고 또 좋은 문장은 옆지기에게 읽어주기도 하면 더 맛있는 휴가가 된다. /김순희 수필가

2025-07-31

폭염에 지친 당신을 토닥여줄 포항의 ‘실내 문화·예술 공간’ 6選

매일매일 숨 쉬는 것조차 힘이 드는 요즘이다. 파도치는 바다를 품은 포항도 예외가 아니다. 작열하는 태양이 뿜어내는 폭염을 피할 공간이 절박하다. 시원한 바람 맞으며 역사와 과학, 음악, 미술 콘텐츠를 고상하게 즐길 수 없을까. 포항에는 바다만큼이나 매력적인 ‘실내 피서’ 명소들이 있다. 새로운 ‘피서 명당’이자 문화적 호기심을 채워주는 포항의 문화·전시 공간 6곳을 소개한다. 다양한 예술 작품들이 마련된 미술관 등대 변천사 엿볼수 있는 전시와 체험 일제시대 역사적 잔상 간직한 日건물 박물관서 과메기의 모든 것을 한눈에 책과 음악 함께 즐길수 있는 도서관도 관공서 이미지 탈피 미술·체험 공간 등 포항 바다만큼 매력적인 실내 명소 눈길 ◇ 포항시립미술관, 한자리에서 만나는 예술 (북구 환호공원길 10 / 관람료 무료 / 월요일 휴관) 영일대해수욕장에서 언덕길을 따라 오르면, 통유리 외벽이 햇빛을 반사하며 반짝이는 건물이 나온다. 포항시립미술관이다. 입구를 지나자 찬 공기가 열기를 밀어내고, 전면 유리창 너머로는 푸릇한 잔디밭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2025 스틸아트작가조망전: 물성, 감각하는 철’ 전시는 포항의 정체성인 ‘철’을 예술로 풀어낸다. 철근, H빔, 철판 조각들이 최옥영 작가의 손끝에서 조각상으로 탈바꿈했다. 붉게 녹슨 철 표면에는 시간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 조형물 앞에 서자 철의 차가움 대신 온기 어린 감각이 피부로 전해졌다. 장두건 화백의 ‘투계’ 시리즈도 눈길을 끈다. 푸른 물감을 휘갈긴 닭의 형상은 역동적이면서도 유쾌한 생명력을 품었다. 이은지씨(31)는 “해수욕장 대신에 미술관에 오길 잘한 것 같다"며 "여러 전시를 한 공간에서 즐길 수 있어 유익했다”고 말했다. ◇ 국립등대박물관, 등대의 빛으로 만나는 해양사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 150번길 20 / 관람료 무료 / 월요일 휴관) 호미곶 해맞이광장을 지나 도로 끝 언덕을 오르면 거대한 렌즈처럼 생긴 국립등대박물관은 천장 가까이 설치된 1등 회전렌즈가 압도적인 위용을 뽐낸다. 독일과 일본에서 제작된 이 렌즈들은 백 년 가까이 동해의 밤바다를 밝혀왔다. 박물관에는 1903년 최초의 근대식 등대인 호미곶등대를 시작으로 속초, 묵호, 울릉도의 등대 변천사를 따라가는 전시가 이어진다. 조선총독부 시절의 수동 점등기에서 현대 자동 제어 장치까지, 기술 진화의 궤적이 한눈에 담긴다. 관람 동선을 따라 걷다 보면 무선표지장치, 등부표, 구조용 조명탄 등 해양 안전 장비도 만날 수 있다. 2층 해양안전체험관은 아이들에게 인기다. ‘신호기 맞추기’, ‘해상 탈출 퀴즈’ 등 체험형 콘텐츠 덕분이다. 여름방학 기간에는 하루 평균 400명 이상이 방문하는데, 8월 중순까지는 오후 7시까지 연장 운영한다. ◇ 구룡포 근대역사관, 목조 건물에 서린 겹겹의 기억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153-1 / 관람료 무료 / 월요일 휴관) 구룡포항 뒷골목에 가면 이국적인 일본식 2층 목조 건물이 있는데, 1920년대 일제강점기에 지은 주택이다. 지금은 ‘구룡포 근대역사관’으로 쓴다. 좁은 현관문을 열자마자 삐걱거리는 마루 소리와 함께 시간의 문이 열린다. 1층에는 일본식 주방, 욕실, 거실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돼 있다. 낡은 찻장과 목제 가구는 그 시절의 생활상을 말없이 증언한다. 구불구불한 계단을 오르면 2층 접객실과 딸의 방, 발코니가 이어진다. 후지산이 새겨진 창틀과 조각된 창살 문양이 일본 전통 건축의 정서를 그대로 전한다.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 촬영지로도 유명한 이곳은 역사적 잔상을 간직한 채 관람객을 맞는다. 한 관람객은 “구룡포라는 작은 동네에 이렇게 깊은 역사가 있는 줄 몰랐다”며 감탄했다. ◇ 구룡포 과메기문화관, 과메기로 만나는 바다 문화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117번길 28-8 / 관람·주차 무료 / 매주 월요일 휴관) 불어오는 해풍 덕에 겨울 과메기로 이름난 구룡포. 여름철에도 과메기를 만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구룡포 과메기문화관’은 과메기의 역사와 제조 과정, 지역 문화까지 아우르는 체험형 박물관이다. 지상 4층 규모의 건물은 층마다 주제가 다르다. 1층은 과메기 관련 전시와 기념품 판매장이며 2층에는 수족관과 가상해저체험관이 마련돼 있다. 살아 있는 물고기를 눈앞에서 관찰하거나 디지털 화면 속 바닷속 생물을 따라 손을 움직이며 체험하는 공간은 아이들에게 특히 인기다. 3층 선장 체험관에서는 어선 조타 장비를 활용한 생생한 항해 체험을 할 수 있다. 4층에 마련된 모션센서 기반 영상 체험관에서는 ‘바다스케치’, ‘제트스키’, ‘모션샌딩’, ‘모션슈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간 가는 줄 모르게 만든다. ◇ 포은흥해도서관, 책과 음악으로 떠나는 실내 피서 (북구 흥해로81번길 46 / 관람료 무료 / 둘째·넷째 월요일 휴관) 포항 흥해읍 중심가에서 도보로 10분 남짓, 유려한 곡선의 지붕과 넓은 유리창이 인상적인 건물이 눈에 띈다. 지난 3월 정식 개관한 포은흥해도서관이다. 문을 열고 들어서자 시원한 냉기가 한낮의 열기를 순식간에 식혀준다. 내부는 층마다 주제가 뚜렷해 도서관이라기보다는 복합문화공간에 가깝다. 1층에 마련된 어린이자료실은 아이들이 신발을 벗고 바닥에 앉아 그림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책장 사이로 부모와 아이가 함께 책을 펼치고 앉아 있는 모습이 정겹다. 2층은 분위기가 완전히 다르다. 음악자료실에서는 LP와 CD 등을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다. 나무 벽면을 따라 늘어선 장서 속에서 마음에 드는 음악을 골라 이어폰을 꽂고 감상하면, 도서관은 어느새 고요한 음악감상실로 변한다. 책장 너머 작은 감상실에서는 태블릿으로 영화를 보는 이들도 눈에 띈다. 3층 일반자료실은 긴 책상과 독립형 좌석이 조화를 이루는 전통적인 열람실 구조로 조용하고 집중하기 좋은 분위기다. 통유리창 너머로는 흥해 시가지가 내려다보이고, 부드럽게 스며드는 자연광 속에서 독서와 공부에 한층 더 몰입할 수 있다. 방문객 김세현씨(38)는 “도서관인데 하루 종일 머물고 싶을 만큼 다양하고 쾌적하다”며 “무더운 날에는 이곳이 가장 시원한 피서지”라고 엄지를 치켜세웠다. ◇ 북구청 문화예술팩토리, 관공서 속 열린 문화놀이터 (북구 삼호로 36 / 관람료 무료 / 주말·공휴일 휴관) 북구청 3~6층은 예상 밖의 공간이다. 딱딱한 관공서의 이미지 대신 세련된 조명과 설치미술, 체험 부스가 어우러져 복합문화공간을 이루고 있다. ‘문화예술팩토리’다. 3층 입구에 들어서면 2025 귀비고 기획전 연계 전시 ‘달을 그리다’가 진행 중이다. 고사리 같은 손으로 그린 그림들이 가지런히 전시돼 관람객의 발길을 붙잡는다. 4층 아트갤러리에서는 여름방학 기획전 ‘우당탕탕! 지구탐험대’가 한창이다. 바위, 숲, 바다를 소재로 한 설치작품들 사이로 아이들이 책을 읽고, 만지고, 뛰어다니며 오감을 깨운다. 3D펜 체험, VR 체험, 북퍼퓸(책 냄새 향수) 체험, LP 음악 감상 공간 등도 마련돼 있어 세대별로 다양한 관심사를 충족시켜 준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2025-07-31

고용 확대·주거 지원·출산 혜택⋯구미 ‘청년 도시’로 거듭난다

구미시가 젊은 세대들이 살고 싶어 하는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도시여건 조성을 위해 △고용창출 확대 △청년 주거지원 △출산장려제도 및 아이돌봄시설 확충 △청년문화공간 조성 및 신세대 축제 확대 등 정책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특히 구미시는 청년·여성 친화도시를 표방하면서 맞춤형 종합정책으로 청년들의 일자리·주거· 결혼과 육아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청년 인재 유출 막고 정착 유도” 대학·고교·기업 18곳 업무협약 전국 최초로 공실 원룸 리모델링 젊은층에 생활 주거 지원 늘려 라면축제·야시장 축제 등 확대 문화·낭만 충만한 도시로 변신 □ 청년 고용창출 확대 지난해 구미시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6.4% 증가한 2014명을 기록했다. 이는 12년 만의 첫 반등이다.같은 기간 혼인 건수도 14% 늘어난 1705건으로 집계됐다. 2023년 1316명 줄었던 청년 순이동 수치는 2024년 845명 감소로 35.79% 개선되며 청년인구 유출 문제에 긍정적인 신호가 보이고 있다. 구미시는 지난달 14일 청년 인재 유출을 막고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대학과 마이스터고, 기업 등 18개 기관과 함께 ‘청년 지역 정착 인턴십 지원’ 사업을 가동했다. 취업까지 연계되는 ‘채용형 인턴십’을 특징으로 한 이 사업은 다음 달 초까지 참여 기업별 면접을 통해 대학생 30명과 실업계고 40명 등 70명을 선발해 최대 4개월간 지역 기업에서 인턴십을 받게 된다. 또 청년들의 창업기반 확대를 위해 지난해 2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한 ‘청년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해 978명이 창업 관련 교육을 수료했다. 이밖에 금오시장로 일원에 조성된 ‘청년예술창업 특구’는 예술분야 예비창업인에게 총 2500만 원의 창업지원금과 교육,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다 □ 청년주거 부담완화 및 출산지원 구미시는 지난달 9일 주거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구미시는 전국 최초로 공실 원룸을 청년 주거 자원으로 전환한 ‘청년근로자 지역정착 행복원룸사업’을 시작했다. 구미시는 건물 노후화와 슬럼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지역에 청년 인구의 정착을 유도하고 장기간 방치된 공실 원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이 협력한 빈집 주택 해결 모델을 만들었다. 공실률 50% 이상이며 구미시에 주소를 둔 원룸 소유주에게 최대 100실의 원룸에 대해 도배, 장판 등 리모델링 비용을 1실당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하고 청소 용역 지원, 보안 시스템 구축 등 건물 환경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사업에 참여한 원룸은 시세 대비 70~80% 수준으로 월세를 내려야 하며, 사업 기간 중 월세를 인상할 수 없도록 안전장치를 만들었다. 이와 함께, ‘청년월세지원’사업으로 국토부의 청년월세 사업에서 제외된 청년들을 위해 대상자를 34세에서 39세까지 확대하고 소득 기준을 당초 60%에서 120%까지 확대해 더 넓은 범위에서 주거비를 지원하고 있다. 향후, 청년 신혼부부 및 출산 가구를 대상으로 한 주거 구입 지원도 검토 중이다. 구미시는 또 지난 달 24일 구미 국가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오피스텔형 임대주택인 청년드림타워 착공식을 개최했다. 청년드림타워는 정부의 지역 활성화 투자펀드 1호 사업으로 대표적 노후 산단인 구미 1국가산단에 지하3층~지상 18층, 459호실 규모의 복합 주거시설로 2027년 완공될 예정이다. 구미시는 청년 근로자들에게는 결혼 장려금을 최대 100만 원을 지급해 경제적 부담을 낮추고 지역 혼인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 출산과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 올해부터 산모에게 30만 원의 산후조리비를 지원하고, 신생아집중치료센터 병상을 기존 6병상에서 8병상으로 확충한다. 돌봄 공백이 없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4시 마을돌봄터와 365돌봄 어린이집을 확대 운영하며, 아이돌보미 인력도 200명 추가 채용해 대기 기간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구미시는 경북도내 지자체 중 단독으로 운영 중인 임산부 전용 교통 서비스인 ‘K맘택시’를 운영 중이다. 지난 달까지 모두 2043명의 임산부가 3만2000여회 가량 이용했다. 임산부는 1100원에서 최대 3000원만 내면 구미시 전역을 이동할 수 있으며, 월 10회까지 목적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호출 가능하다. 특히, 올해부터 신청 방법을 방문 및 온라인에서 앱 신청으로 전환한 이후 보름 만에 84명이 새로 가입하며 서비스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젊은세대 문화 낭만이 충만한 구미 구미시는 산업도시 이미지를 탈피하고 정주 매력을 높이기 위한 문화 인프라도 확충하고 있다. 구미국가산단은 ‘문화산단’으로 지정되며 지난 5월부터 본격적으로 콘텐츠·창업·여가가 융합된 청년친화형 복합지구로 조성 중이다. 구미시는 특히 특히 섬유산업의 역사성을 간직한 ‘방림부지’를 랜드마크로 조성해, 첨단산업과 청년문화, 정주환경을 아우르는 신(新)융합 거점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또한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으로 주목받고 있는 사곡역에서 1공단로와 낙동강 변을 연결하는 구간에는 아름다운 거리 조성을 통해 경관과 공간 환경을 개선할 예정이다. 산단 내 일부 건축물 외벽에는 산단 콘텐츠를 전시할 수 있는 미디어 월과 파사드를 설치하고, 산단 근로자를 위한 축제와 공연도 개최한다. 이처럼 문화 콘텐츠를 확충함으로써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한 문화핵심거점을 조성하고, ‘밤’과 ‘낭만’이 있는 산업단지를 구현할 방침이다. 올해 하반기 개소 예정인 ‘구미영스퀘어’는 구미역 안에 위치해 웨딩테마 라운지, 팝업스토어, 공유오피스 등 청년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난다. 지난해 10대 20대 등 청년층을 주축으로 60만 명이 넘게 방문한 라면축제를 비롯 △낭만야시장 △푸드페스티벌 △힙합페스티벌 등 청년 취향에 맞춘 대표 축제가 정례화되며 도시 매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젊은 세대들이 모여들어야 미래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도시가 될 수 있다”며 “청년층을 겨냥한 다양한 우대정책으로 청년층 확대에 힘쓸 것”이라 말했다. /류승완기자 ryusw@kbmaeil.com

2025-07-31

100년의 시간이 더께더께 쌓여있는 철길을 거닐다

불국사역은 한옥 지붕을 인 채 웅크리고 있다. 오래된 절집처럼 인기척 끊긴 역사(驛舍) 곳곳엔 적요만 가득하다. 역사 마당에 들어서니 나무 아래, 목줄을 맨 개가 낮잠에 깊이 빠져 있다. 인기척을 느꼈을까. 이따금 꼬리만 흔들 뿐 눈을 뜨거나 짖지는 않는다. 역사 곳곳에 ‘출입금지’ 문구가 색이 바랜 채 붙어 있다. 역사 문은 굳게 닫혔고, 자물쇠는 ‘폐역’답게 오래된 ‘정지’를 각인시킨다.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 나는 밖에 발목이 잡힌 채 너머를 생각한다. 역사 뒤 플랫폼으로 향하는 곳에도 철문이 가로막는다. 단절을 알려주듯 풀만 무성히 자란다. 선로를 덮은 잡초는 저들 세상인 양 빼곡히 자라 어깨를 맞대고 있다. 바람이 불면 사라진 열차의 기척에 응답이라도 하듯 한 방향으로 몸을 흔든다. 플랫폼을 따라 줄지어 선 가이즈까 향나무가 먼저 눈에 든다. 불국사역 영업 개시를 기념해 5~10년 된 나무를 심었다는 명찰을 매달아 두었다. 백 년 넘은 나무들은 폐역을 그대로 지키고 섰다. 한때 역에 울려 퍼지던 기적 소리와 사람들의 북적이던 모습을 회상하며, 나무는 여름을 견고하게 버티며 늙어가는 듯하다. 불국사역은 1918년 영업을 시작해, 1936년 지금의 역사로 단장되었다. 오랜 세월 경주 남쪽을 오가는 통로였던 불국사역은 2021년 12월 28일, 중앙선 이설과 함께 마지막 열차를 보내며 문을 닫았다. 한 세기를 넘긴 시간이었다. 언젠가 나는 뜯겨 나가는 경주 철길 위를 따라 걸었던 적이 있다. 도시를 가르고 숲을 가르며 달려 나간 철로 위에 100년의 시간이 더께더께 쌓여있었다. 경주를 지나는 선로는 단순히 기차가 지나던 길이 아니었다. 유적을 딛고 놓인 철로의 시작은 처음부터 강제였고, 위협이었다. 중앙선 이설과 함께 한 세기 넘긴 시간을 마무리한 불국사역, 이젠 적막함만 대한제국의 의지서 시작된 한반도 철도… 일제 침략으로 수탈 역사로 점철 선로는 수탈 수단에 그치지 않고 유적 훼손 … 식민 권력 상징적 행위 분석도 ■한반도 철도 시작은 대한제국 한반도의 철도는 일본이 아닌 대한제국 의지에서 시작되었다. 경인선(1899), 경부선(1905), 경의선(1906) 모두 대한제국 시기(1897~1910)에 개통되었다. 초기 부설권은 미국과 프랑스 자본에 맡겨졌다. 1896년 2월, 아관파천에서 환궁한 고종을 찾아 미국 공사 제임스 모스(James R. Morse)가 경복궁으로 들어섰다. 그해 봄, 모스는 두 개의 권리를 손에 쥐었다. 하나는 한양과 인천을 잇는 경인선 철길, 하나는 평안 북녘의 금맥이었다. 조선이 외국에 내준 첫 특허였다. 고종은 서양 열강과의 협상을 통해 자주적 근대화를 시도했으나, 일본은 외교력과 군사적 압박으로 부설권을 강탈해 갔다. 대한제국은 1904년 ‘서북철도국’을 설립해 독자적 철도망 구축에 나섰으나, 러일전쟁을 틈탄 일본의 개입으로 좌절되었다. 대한제국은 이미 자체 철도계획과 건설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일제강점기가 없었더라도 근대화의 길은 이어졌을 것이다. 철도는 침략의 선물이 아니라, 대한제국이 그려낸 근대의 선로였다. 조선 땅 곳곳에 낯선 쇳소리가 울렸다. 그러나 철로는 시작부터 조선을 위한 길이 아니었다. 철로를 깔기 전부터, 일제는 먼저 조선을 위협하여 침묵하게 만들었다. 1904년 제정된 ‘대한시설강령’은 철도와 통신망의 장악을 식민 지배의 핵심으로 규정했다. 거기엔 ‘철도 사업은 한국을 경영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구절이 있었다. 이어 발표된 ‘군용 전선 및 군용 철도 보호에 관한 군령’은 더욱 노골적이었다. ‘군용철도에 손해를 끼치면 사형, 가해자를 숨겨도 사형, 대신 고발하면 20원을 포상한다’는 조항이었다. ‘사형’, 누구도 선로에 대해 거스를 수 없게 만들었다. 그런 법령 아래에, 철길 공사는 선포였고, 명령이었다. 일제는 1909년 지금의 단둥인 안동과 봉천(선양) 등 만주의 철도 부설권을 확보했다. 1911년 압록강 철교를 완성한 뒤, 이를 경의선과 연결해 압록강을 건너 대륙으로 진출할 계획을 세웠다. 그 흐름의 중간에 경주의 선로가 놓였다. 한반도 남쪽인 부산에서 북쪽 신의주까지 곧장 치고 갈 수 있는 철길이 완성된 것이다. ‘경동선’, 침략의 쇠줄이 한반도 땅 위로 뻗어갈 때 경주도 그 길 위에 얹힌 셈이었다. ■경주의 철길 경주 철길은 1918년, 동해남부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일제는 조선의 동해안 지역에 매장된 철, 구리, 석탄 등 지하자원을 효율적으로 반출하기 위해 동해남부선을 기획했다. 경주~포항 구간은 자원 수송의 핵심 통로였다. 일제는 조선총독부 직할의 철도국을 통해 경주 중심부를 관통하는 철도를 설계했다. 일본인 기술자의 설계와 일본 군 감독하에 조선인 강제 동원된 노동자의 손으로 철길을 밀어붙였다. 기록에 따르면 조선 노동자들은 저임금 혹은 무임금에 가까운 조건으로 강제로 끌려왔다. 철도는 경주 도심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월성동·사정동·노서동 일대를 절단했다. 문제는 선로가 단지 수탈을 위한 운송 수단에 그치지 않았다는 데 있다. 학계에서는 동해남부선의 경주 구간이 의도적으로 사천왕사 터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계되었을 것이라는 지적한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민족의 정기를 훼손하고 정신적 기반을 무너뜨리려는 식민 권력의 상징적 행위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사천왕사 터를 비롯해 능지탑 터, 옥산사 터, 대릉원 주변 고분군 등 신라 유적이 선로 공사로 훼손되었다. 당시 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인식은 철저히 무시되었고, 굴착과 침목 설치 과정에서 수많은 유물과 절터가 파괴되었다. 더욱이 철로는 경주의 고대 도심을 두 개로 나누며, 도시 공간을 단절시키는 물리적 경계가 되었다. 철길 서편은 대부분 주거지와 농촌지역으로 남았고, 동편은 문화유산 중심의 관광지로 재편되었다. 교량이 없던 시기에는 철도를 건너는 것조차 쉽지 않아 일상의 이동에도 큰 장애가 되었다. 어디 이뿐이랴. 일제는 철로를 통해 불국사·석굴암 등지에서 수습된 유물은 포항항을 거쳐 일본 본토로 반출했다. 불경, 불상, 금속공예품, 건축 부재 등이 포함되었으며, 대부분은 공적으로 보고되지 않은 채 밀반출되었다. 일본의 박물관이나 사찰에 지금도 남아 있는 몇몇 유물들이 증명하고 있다. ■경주역, 불국사역 개통, ‘기차’를 처음 본 경주 사람들 1918년 11월 1일, 쇠붙이가 땅을 울렸다. 경주 사람들은 들녘을 지나 역 앞으로 몰려들었다. 포항과 불국사로 이어지는 경동선 개통일이었다. 기차는 짐승도, 마차도 아닌 거대한 괴물처럼 느껴졌다. 화통에서 연기를 뿜어내자, 바퀴는 쇠를 긁는 요란한 소리를 내며 스스로 굴렀고, 증기엔진은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내며 대지를 울렸다. 모여든 사람들 가운데는 철도 공사에 동원되었던 이들도 있었을 것이다. 고된 노역으로 쌓인 피로가 채 가시기도 전에, 자신들이 깔았던 선로 위로 저토록 위압적인 물체가 지나가는 것을 바라보며 복잡한 심정에 젖었다. 처음 보는 문물 앞에 신기함과 놀람과 두려움이 뒤엉켰을 것이다. 기차 위에 일장기가 펄럭이고 있었다. 감격과 경외가 아닌, 어딘지 모를 위협과 복종의 기운이 먼저 주눅 들게 했을 것이다. 쇳소리는 경주의 너른 고요를 깨고 앞으로 앞으로 나아갔다. 말 없는 정적 속에서 기차가 뿌리고 간 연기 냄새를 맡으며 처음으로, 자신들의 마을이 외부의 어떤 거대한 질서에 편입되었다는 것을 직감했을 것이다. 철길은 단순한 교통의 선이 아닌, 도시의 심장부를 가르는 긴 흉터처럼 긋고 지나갔다. ■철로 개설과 문화유산 경주에 철길을 내는 건, 유적 파손을 전제하는 일이었다. 경주는 천년 신라의 도읍이었고, 땅속 깊이 무수한 유구가 잠들어 있었다. 도로를 내고 건물을 세울 때도, 굴착의 깊이가 역사에 닿는 일이 빈번했다. 철도처럼 직선화와 효율을 중시하는 인프라가 도입되었을 때, 지하에 숨겨진 문화유산이 손상될 가능성은 훨씬 높았다. 경주는 그런 피해를 가장 가까이에서 경험한 도시였다. 동궁과 월지 동북쪽, 발굴지는 한때 철도가 지나던 곳이었다. 동해남부선이기도 했던 이 구간에서, 신라시대 수세식 화장실 구조가 확인된 바 있다. 이 유구는 2000년대 이후 확인되었으며, 일제강점기 철도 부설 당시 이미 훼손된 흔적이 남아 있었다. 경주의 철로는 유독 기이하게 굽이치며 놓였다. 일제는 철길을 동궁과 월지의 ‘앞’이 아닌 ‘뒤’로 굽혀 놓으며 시각적 유적 훼손을 피하려 했겠지만, 잠든 유구까지 고려하지는 못했다. 경주는 철도가 어느 쪽으로 지나가든, 흔들리고 깎이고 파였다. 직선을 생명처럼 여기는 기찻길이 경주에서만큼은 예외를 드러낸다. 동궁과 월지 앞에서 급격히 휘어진 선로는 불국사역으로 향하며 두 번 더 꺾인다. 한 번은 사천왕사 터와 신문왕릉 사이에서, 다시 한번은 성덕왕릉 부근에서다. 이 꺾임은 단순한 기술적 곡선으로 보기 어렵다. 아마도 국도와 나란히 지나며, 최소한의 물리적 파괴를 피하려 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해본다. 일제는 철도 부설 과정에서 때로 유적을 피했고, 때로는 관통했다. 사천왕사 터 중심을 가로지른 선로처럼 설명하기 어려운 선택도 있었고, 동궁과 월지처럼 두 번이나 급격한 방향 전환을 감수하며 피해 간 구간도 있었다. 일제가 유산을 전적으로 아꼈다고는 말할 수 없겠지만, 전면적으로 파괴하려 했다고도 단정할 수 없는 대목이다. *‘천년 고도(故都) 경주의 근대화와 철길’ 이야기는 (하) 편에 이어집니다.

2025-07-30

숲, 가장 오래된 기억에서 깨어나는 생명의 서사

숲, 가장 오래된 기억에서 다시 깨어나는 생명의 서사이다. 나무들이 모인 곳, 숲 그 이름만으로도 마음이 안정되고 힐링 되는 기분이다. 숲은 모임의 장소, 만남의 장소, 삶의 터전이며 시장과 같은 생명체가 모여드는 공공의 장소이다. 숲은 많은 동물과 식물도 마찬가지겠지만, 인간이 태어난 최초의 자궁이다. 4억 년 전 숲이 지구에 생겨난 후, 그로부터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난 200만 년 전, 인류가 처음으로 숲의 품속에서 첫 공기를 들이마시면서 첫울음 소리를 내질렀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시절의 인간은 거대한 숲의 품 안에서 열매를 따 먹으며 살았다. 나무 위는 적들로부터 피난처였고, 숲속의 바위 아래에서 눈비를 피했다. 뇌는 작고 언어도 없었지만, 본능은 또렷했고, 바람과 빛, 동물의 발소리를 기억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았다. 숲은 도시였고, 나무는 집이었고, 물은 길이었으며, 짐승은 두려움의 대상이자 친구였다. 인간의 가장 깊은 무의식 속에는 그 숲에서 살아온 기억이 고스란히 세포의 유전자 DNA에 담겨 남아 있다. 조선시대 주막을 운영한 김설보 여인 월포만 해풍 막기 위해 조성한 비보림 홍수 때 마을 구한 역사적 사실로 기록 노거수회 이삼우 회장, 숲의 가치 발굴 ‘여인의 숲’이라 이름 짓고 기념비 조성 공동체 위한 헌신·공익 위한 정신 상징 원초적 기억은 문명이 발달해도 오늘날까지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다. 직립보행을 하며 불을 다루고, 언어를 익히고, 도구를 만들기 시작한 인류는 점차 사유하는 존재로 진화해 갔다. 그때부터 숲은 단지 생존의 터전이 아니라, 생각과 감정을 품는 공간이 되었다. 사계절 따라 다른 얼굴을 보여주는 숲의 풍경은 인간의 정서를 풍요롭게 했고, 존재의 의미를 되묻게 했다. 숲의 자연은 사람을 안정시키고 또한 깨우치며, 아름다움을 형성했다. 숲은 인간 삶의 그 모든 기능을 수행해 온 최초의 스승이자, 인류 정신의 뿌리였다. 이처럼 숲은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왔다. 그 깊은 연대감은 단순한 상징이나 은유를 넘어, 실제적인 구원으로 드러나는 순간이 있다. 경북 포항 하송리 ‘여인의 숲’이 바로 그런 사례다. 경북 포항 하송리 ‘여인의 숲’을 아내와 함께 찾았다. 낙동정맥이 동해를 향해 마지막 숨을 고르는 포항-울진 간 7번 국도변에 인접한 포항시 청하면 하송리 마을에는 오래된 인공 숲 하나가 있다. 숲에는 봄이면 녹색 잎의 꽃을 피우고, 여름엔 짙은 녹음 아래 새소리가 적막을 깼다. 가을엔 누렇게 익은 들녘 곁에서 단풍이 붉게 타오르고, 겨울이면 가지마다 나뭇잎을 떨꾼 채 하늘 향해 팔을 벌렸다. 하지만, 숲이 진정 위대한 것은 이런 계절의 풍경이 아니라, 그 안에 깃든 의로운 여인의 용기와 따뜻한 마음 때문이다.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조선 말기, 관동에 찰방이 주둔함에 따라 외역이 되어 번성했던 하송리 마을에는 김설보라는 여인이 있었다. 주막을 경영하며 큰 부를 쌓게 된 그녀는, 마을을 향한 사랑과 책임으로 한 가지 결단을 내린다. 월포만에서 불어오는 거센 해풍을 막고 마을이 배 형태인 고로 풍수 사상에 따라 ‘수구막이 숲’을 조성한 것이다. 참나무, 쉬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등 활엽수를 심어, 마을 앞으로 열려 있던 자연의 틈을 가로막았다. 그것은 단순한 조경이 아니라, 마을의 생명과 복을 지키는 숭고한 장벽의 비보림 숲이었다. 그리고 운명처럼, 어느 해 거대한 홍수로 안청계리 소재 저수지가 범람하여 마을과 전답을 덮쳤다. 이때 이 숲이 그 걸름막 역할을 하게 되었다. 떠내려가던 가구랑 볏단이며, 가축, 그리고 사람들까지 이 숲에 걸려 살아났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그 숲을 ‘식생이 숲’ 곧 생명을 살린 숲이라 불렀고, 간편하게 ‘외역숲’이라고 불렀다고 하는 이야기다. 이는 그냥 전설이라기보다 실제 일어난 역사적 사실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이름도 사라지고 기억도 희미해졌을 무렵, 노거수회 이삼우 회장이 숲의 가치를 다시 발굴했다. 김설보 여사의 공덕을 기리며 숲의 존재 가치를 고무시키기 위해 기념비를 세우고, 그 숲을 ‘여인의 숲’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 단순히 여성이 만든 숲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이름에는 공동체를 향한 사랑과 헌신, 그리고 사적인 부를 넘어 공익을 위해 나선 담대한 기부 실천이 담겨 있다. ‘여인의 숲’의 진정한 의미는 단순한 풍수적 기능이나 홍수 방지책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곧 ‘공동체적 기억의 공간’이다. 마을을 지키기 위해 한 여인이 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했다는 이야기와 그녀의 결단이 자연을 이기려 하지 않고 품으려 했다는 사실, 그리고 그것이 마을 주민과 홍수에 떠내려가는 가축 등 뭇 생명을 구했다는 감동적인 전설은 지금 시대에도 잔잔한 울림을 준다. 오늘날 우리가 다시 ‘여인의 숲’을 찾는 이유는 단지 자연을 보기 위함이 아니다. 그 숲에 깃든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그 마음을 닮고자 함이다. 포항 하송리 ‘여인의 숲’은 바로 그러한 이야기의 보고다. 그늘에서 참나무 씨앗인 도토리를 두 손으로 품에 안고 기도하는 다람쥐를 보며, 우리는 숲을 만든 한 여인의 손길을 느낄 수 있다. 여름의 녹음 아래 매미 소리를 들으면서, 가을에 누렇게 익은 풍성한 벼들을 바라보면서, 겨울의 쓸쓸한 가지 틈으로 하늘을 올려다볼 때, 고요한 침묵 속에 여인의 용기 있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름에는 단지 여성이 조성한 숲이라는 뜻만이 담겨 있지 않다. 그것은 사적인 부를 넘어 마을 공동체를 위해 자신의 재산을 내어준 한 여인의 용기 있는 실천 그리고 생명을 품은 결단의 기록이자, 우리가 숲에서 다시 배워야 할 고귀한 정신을 상징한다. 도시는 숲을 떠났지만, 인간은 끝내 다시 숲을 찾고 있다. 이는 단지 쉼의 욕구가 아니다.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생태계의 법칙을 무시해 온 인간이 그 법칙 앞에 다시 무릎 꿇는 과정이다. 숲은 지금도 스스로를 가꾸고, 생명을 순환시키며, 인간이 잃어버린 질서를 조용히 되돌려주고 있다. 포항 하송리 ‘여인의 숲’은 단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우리가 다시 회복해야 할 숲과 인간의 관계를 상징하는 현재형이다. 나무 아래 드리운 그늘에서 우리는 김설보라는 이름의 손길을 느낄 수 있고, 가지 사이로 비치는 하늘을 보며 삶의 의미를 되묻는다. 숲은 말이 없다. 그러나 그 나무들은 오늘도 이렇게 속삭이고 있다. “김설보의 숲은, 아직도 마을을 지키고 있다. 그리고 인간에게 되돌아올 길을 가르쳐주고 있다.” 수구막이 숲, 생명을 품은 ‘여인의 숲’이라는 이름으로 오늘도 우리에게 깊은 교훈을 깨닫게 해 주고 있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설보 여사 송덕비는… -김설보(金薛甫) 여사: 본관은 청풍김씨(淸風金氏), 헌종 7년(1841) 12월 30일생, 고종 37년(1900, 광무4년, 更子年) 1월 18일 60세를 일기로 사망. 그해 9월 8일 내연산 계조암에 논 5두락(5마지기, 약 1500평 정도)을 시주하였고, 남편 윤기석 공의 영정이 보경사에 봉안. 묘는 현재 포항시 북구 송라면 방석1리 뒷산에 남편 윤기석 묘역 내에 있다. -송덕비 : 出身坡平尹公琦碩妻淸風金氏薛甫不忘碑(출신파평윤공기석처청풍김씨설보불망비) 出義捐財 壬年我藪 百堵頌德(출의연재 임년아수 백도송덕) 罕覩基人 幾滅更新 銘此采隣(한도기인 기멸갱신 명차채린) 光武元年丁酉九月日外一二三洞立(광무원년정유구월일외일이삼동립) 재물을 희사하여 임년에 조성한 우리 숲을 백대로 송덕하노니 보기 드문 그 분이 거의 사라질 뻔한 것을 새롭게 하였으매 옥돌을 캐어다 이를 새겨 두노라. -남편 윤기석 : 여인의 남편 윤기석(尹琦碩)은 무과에 급제해 부사과(副司果, 조선시대 종6품 무관 벼슬)를 지냈으며, 고승 대덕의 영정만이 안치되는 보경사 원진각에 영정이 봉안될 정도로 예우를 받았다. /자료 제공: 이삼우 노거수회 명예회장

2025-07-30

4차 산업혁명 흐름 맞춰 디지털·스마트농업 생태계 기반 마련

예천군 농촌은 지금, 깊은 변곡점에 서 있다. 고령화와 인구 감소, 농촌 일손 부족이라는 삼중고는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비대면 소비 확대, 1인 가구 증가 등 소비 트렌드의 급변은 기존의 농산물 생산과 유통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람의 손과 농기계에 의존해 온 전통농업은 한계에 봉착했고, 지금 이 순간에도 농촌의 기반은 약화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예천군은 농업의 대전환을 준비 중이다. 단지 농산물을 생산하는 곳이 아닌 기술과 데이터,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농업의 산업화를 이끄는 중심지로 도약하려는 전략이다. 예천군은 지속 가능한 농업 구조를 위해 청년 창업농 유입, 농업 디지털화, 산업 생태계 구축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맞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스마트 기술이 접목된 첨단 농업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RE100 기반의 친환경 농업시설과 같은 지속 가능한 시스템도 함께 도입하여, 농촌 재도약의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농촌 위기 극복” 대전환 프로젝트 준비 청년 창업농 유입 등 농업종합계획 수립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으로 영농 첨단화 200억원 투입 곤충양잠산업단지 추진 임대형 수직스마트농장에도 100억 투자 농업 구조 전환 넘어 지역 혁신 모델로 □ 예천 디지털혁신 농업타운 이 같은 배경 아래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예천 디지털혁신 농업타운’이다. 농업의 첨단화를 기반으로 한 이 거점 단지는 단순한 시설 조성을 넘어 청년 농업인 육성과 농업의 산업화, 그리고 농촌의 재도약까지 아우르는 미래 농업의 플랫폼을 지향한다. 지보면 매창리 일원 20ha 부지에 구축되는 이 혁신 단지는 곤충양잠산업거점단지, 임대형 수직농장,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이라는 3대 핵심 축으로 구성된다. □ 곤충양잠산업 거점단지 예천군은 국내 최초로 곤충엑스포를 개최하고 곤충연구소를 운영하는 등 이미 곤충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져왔다. 이러한 기반 위에 총 사업비 200억 원 규모로 혁신지원센터, 곤충먹이원보급센터, 곤충 스마트농장, 가공지원센터 등 곤충산업의 전 주기를 아우르는 핵심 인프라가 집약된다. 혁신지원센터는 유통지원실, 교육전문실, R&D 실을 갖추고 산업화 기반을 제공한다. 곤충스마트농장에서는 갈색거저리, 흰점박이꽃무지 등의 사육이 진행된다. 생산된 산물은 가공센터에서 식품·소재로 가공되어 유통까지 연계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농가 중심 구조에서 전문기관과 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전환하는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대한민국 곤충산업의 전진기지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임대형 수직농장 디지털농업의 또 다른 축은 임대형 수직농장이다. 총 사업비 100억 원이 투입된 이 시설은 수직 공간을 활용해 엽채류, 허브류 등을 생산하는 스마트 농장으로,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완전 제어형 시스템이다. 생산동 3동과 교육연구동 1동이 조성되며, 청년 창업농에게 저렴한 임대 형태로 제공된다. 교육연구동은 단순한 교육시설을 넘어, 자동화 수직농장 모델 개발 및 신작물 실증연구까지 가능한 복합시설이다. 이를 통해 청년 농업인은 생산과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체계적으로 갖추고, 안정적으로 농업에 안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임대형 스마트팜은 청년 창업농에게 가장 실질적인 영농기회를 제공하는 핵심 시설이다. 총 200억 원을 들여 2ha 부지에 스마트팜 2동(총 8구획)을 조성하며, 각 구획당 4320㎡(약 1300평)를 3인 1팀 청년농업인이 임대 운영하게 된다. 생산 작물은 딸기(2구획), 토마토(6구획)로, 향후 오이, 파프리카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청년 농업인은 예천군 관내에 주소를 두거나 또는 이주 예정자 중 보육사업 수료자에게 우선 제공되며, 기본 3년, 최대 6년까지 임대가 가능하다. 이는 초기 진입장벽이 높은 농업 분야에서 청년들이 자산을 축적하고 안정적으로 창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사다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예천형 디지털농업 혁신 예천 디지털혁신 농업타운은 단순한 농업시설 조성을 넘어 지역사회 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청년층의 유입이다. 스마트팜, 수직농장, 곤충산업 단지 등 각 시설은 청년 농업인들에게 안정적이고 실질적인 창업 기반을 제공한다. 이는 자연스럽게 귀농·귀촌을 촉진하고, 고령화된 지역 인구 구조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직농장과 스마트팜 같은 첨단 농업시설의 도입은 고정비용을 절감하고 계절의 제약 없이 안정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농가 소득을 안정화에 기여한다. 곤충양잠산업의 경우도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가공과 유통까지 연계된 구조로 전환함으로써 농업의 부가가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농업 분야의 산업화는 지역 내 관련 기업를 촉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관 산업(가공, 물류, 교육 등)의 활성화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는 단기적인 성과에 그치지 않고, 중장기적으로 예천군 전체의 농업경제 체질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농업 혁신타운은 예천의 기존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곤충도시에서 첨단농업 중심지로의 전환은 예천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타 지역과의 차별성을 확립하는 전략적 자산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결국 예천군의 디지털농업으로의 혁신은 농업의 구조 전환을 넘어, 청년 유입, 경제 활성화, 도시 이미지 개선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지역 혁신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2025-07-30

푸른 쉼표 하나 ‘콕’ 찍어가는 회색빛 공업도시 울산의 대반전

어쩔 수 없다. ‘회색빛 공업도시’라는 선입견을 뗄 수 없는 명찰처럼 달고 지내온 도시가 울산광역시다. 지난 세기. 한국 경제 발전의 한 축을 담당해온 주역 가운데 하나지만, 칙칙한 ‘주홍 글씨’를 쉽사리 지워내지 못했다. 기자의 생각도 보편의 인식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가보지 않고, 여행해보지 않은 이들에겐 울산에 관한 선입견과 주홍 글씨의 색채가 더 강하게 의식을 지배해온 것이 부정할 수 없는 사실. 그러나, 최근 부산광역시(부전역)에서 출발해 강원도 강릉시로 가는 동해선 기차가 멈추는 곳 가운데 하나인 태화강역 인근에서 이틀을 머물며, 울산을 돌아보고는 생각이 바뀌었다. ‘울산은 관광도시로의 성장 가능성이 어느 지역보다 크다’는 느낌을 받은 것. 그런 감정을 실질적으로 증폭시킨 울산의 여행지를 딱 2곳만 꼽으라면 ‘대왕암 출렁다리’와 ‘장생포 고래박물관’ 일대를 지목하고 싶다. 왜냐고? 아래가 그 이유다. 포항역~울산 태화강역 1시간5분 소요 ‘장생포고래박물관·대왕암 출렁다리’ ‘태화강 국가정원’ 시티투어 2개 코스 비수기엔 3000원으로 투어버스 이용 아슬아슬 낭만 쌓는 ‘대왕암 출렁다리’ 고래잡이 재현한 ‘장생포 고래단지’선 반세기 전 어촌 풍경 산책하듯 감상 ‘고래문화마을~영상관~고래박물관’ 1.3㎞ 모노레일 위에선 울산이 한눈에 글 싣는 순서: 1. 철도 왕국 일본에서 찾는 ‘지역 관광’의 미래 2. ‘당일치기 여행’ 맞춤 일본 철도 3. 관광으로 인구 소멸 위기 ‘호쿠리쿠’ 살리기 4. 일본 기차 여행의 꽃이 된 ‘도시락’ 5. 울산, 이제는 ‘유잼(U-재미) 도시’다 6. 철도 불모지 경북, 동해선 개통 후 새 역사 시작 7. 이번 역은 “천만관광 해양도시 삼척입니다” 8. 강릉, ‘철도 날개’ 달고 동해안 비상 ▲상반기 이용객 100만 명, 부정할 수 없는 동해선 인기 최근 한국철도공사는 근래 개통된 6개의 기차 노선 이용자 숫자를 조사해 발표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최고의 인기를 누린 노선은 다름 아닌 동해선. 6개 노선 이용객 250만 명 중 동해선 기차에 오른 여행자가 100만 명에 육박한 것이다. 조사 대상이 된 노선은 강릉과 부전, 강릉과 동대구를 운행하는 동해선을 필두로, 서울·청량리에서 부전을 오가는 중앙선, 판교와 문경을 잇는 중부내륙선, 홍성에서 서화성으로 가는 서해선, 홍성-평택-천안-홍성 구간을 차례대로 순환하는 포승·평택선, 대곡과 의정부를 보다 가깝게 만들어준 교외선이다. 이 가운데 동해선이 이용자 숫자 면에서 단연 수위를 차지했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동해선 기차를 타고 부전-강릉 사이를 오간 여행자는 1일 평균 5500명이다. 그러니, 누적 승객이 99만2000명에 이른다. 주말이면 동해선 기차 티켓을 구하기 위한 ‘예약 전쟁’이 일어나는 이유가 있었던 것. 지난 15일 포항역에서 출발하는 ‘ITX-마음 1252 열차’를 타고 울산 태화강역을 향했다. 소요 시간은 1시간 5분. 날렵하게 디자인된 빨간색 기차의 깔끔한 객실은 쾌적했고, 도착도 예정 시간에 정확히 맞춰줬다. 6월 중순 일본에서 타본 신칸센이나 선더버드 기차 못지않았다. 태화강역엔 울산의 주요 관광지를 효율적으로 이어주는 시티투어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태화강 국가정원 일대를 순환하는 버스와 장생포 고래박물관과 대왕암 출렁다리 등을 오가는 또 다른 버스가 있다. 동해선 기차를 타거나, 자동차를 이용해 울산을 찾은 관광객들은 이 2가지 코스 중 자신의 취향에 맞는 걸 선택해 지역 주요 명소를 보다 손쉽게 돌아보는 게 가능하다. 시티투어 버스의 승차권 가격은 7월 현재 3000원. 비수기라 50%가 할인되고 있으니, 시내버스 2번 탈 돈으로 하루 종일 5~6군데의 관광지를 돌아보는 게 가능한 셈이다. 이른바 ‘가성비’도 좋다. ▲기차 타고 울산 대왕암 출렁다리를 찾은 청춘들은… 울산에 도착한 다음 날 아침. 대왕암 일대와 고래박물관을 오가는 시티투어 버스에 탔다. 한산한 평일이었으니 주말에 비해 관광객은 적었다. 그럼에도 여행하는 사람의 즐거움이 줄어들지는 않았을 터. 울산을 찾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빼놓고 싶지 않은 관광지 대왕암에 도착하니 가장 먼저 짙푸른 바다가 사람들을 반긴다. “울산 최초의 출렁다리이자 동구 최초의 대규모 상업관광시설. 대왕암공원 내 해안산책로의 햇개비에서 수루방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 303m, 높이 42.55m 규모로 만들어졌다. 중간 지지대 없이 한 번에 연결되는 방식이다. 전국 출렁다리 중 경간(徑間) 장로의 길이가 가장 길며, 바다 위로 이어진 다리이기에 대왕암 주변의 해안 비경을 마음껏 즐길 수 있다”는 한국관광공사의 설명은 과장이 아니었다. 고소공포증만 없다면 남녀노소 누구나 오갈 수 있는 긴 다리는 사파이어 빛을 닮은 동해와 어우러져 절경을 연출했다. 기장역에서 기차를 타고 울산에 왔다는 20대 젊은 연인이 출렁다리 가운데서 장난을 친다. 남자친구가 짐짓 다리를 흔들 것처럼 폼을 잡으니, 조그만 키의 여학생이 놀라며 비명을 지른다. 그런데 정작 얼굴은 겁을 먹은 게 아니라 웃고 있다. 청춘은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나 빛나고 아름다운 것. 이런 시 한 편이 절로 떠올랐다. 제 힘에 이 무거운 다리 흔들릴 리 없건만 끙차, 소년은 다리를 흔든다 까짓 다리 위 흔들림이 무서울 까닭 없지만 꺄악, 소녀는 비명을 지른다 청춘의 연애는 출렁다리 위에서 유치하고 유치해서 아름답고. ▲울산에 갔다면 ‘고래의 고향’ 장생포를 빼놓으면 서운하지 동해선 기차의 유유자적한 낭만과 대왕암 출렁다리의 아슬아슬한 낭만을 함께 맛보며 환하게 웃는 청춘남녀를 뒤로 하고, 고래박물관과 장생포 일대를 편하게 앉아서 조망할 수 있는 모노레일이 있는 울산 장생포 고래관광단지로 발길을 옮겼다. 사실 울산, 그 가운데서도 장생포는 ‘고래의 마을’이라 불러도 무방하다. 포경업(捕鯨業)이 금지되기 전엔 적지 않은 고래를 잡아 해체하는 풍경이 드물지 않게 펼쳐진 곳. 고래잡이배(捕鯨船)의 작살수와 고래 해체 전문가는 한때 의사와 변호사도 부럽지 않은 수입을 올렸던 직업이다. 울산의 어르신들은 아직 그 기억 속에서 살고 있다. 2015년 조성된 울산 고래문화마을은 예전 장생포 고래잡이 어촌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방문자들의 탄성을 불러낸다. 익살스런 인형과 낡은 건물들이 하모니를 이루며 만들어낸 반세기 전의 어촌 풍경은 정겹고 애틋하다. 기자 역시 거기에 매료돼 오랜 시간 머물며 산책하듯 관광을 즐겼다. 실물 크기의 고래를 형상화한 조형물과 얼마 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대 암각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야외 공간도 여행자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고래박물관 지척에서 티켓을 구입해 모노레일에 올랐다. 고래문화마을-입체영상관-고래박물관으로 이어지는 1.3km 노선. 30여 분 남짓 모노레일에 타고 있으면 출렁이는 장생포 바다와 고래문화마을, 울산대교와 울산공단까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기자가 거길 찾은 건 7월 중순. 아직 꽃잎을 채 떨구지 않은 수국이 푸른색 전등처럼 반짝이며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었다. 봄에는 벚꽃이, 가을에는 샛노란 단풍이 수국의 역할을 대신한다고 하니, 어느 계절에 찾아도 좋을 듯했다. 조그만 전시관에서 커다란 고래를 해체하는 사진을 보던 80대 어르신이 곁에 선 아내에게 말했다. “세상 좋아짔고 울산도 좋네. 기차 타모 1시간이믄 온다 아이가. 살아있으모 내년에 또 오자.” 두 분은 부산에서 온 관광객이 분명해 보였다. 그들이 지나온 시간을 떠올리니 원시의 동해처럼 아득해졌다.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2025-07-29

자연이 빚은 찻사발··· ‘람사르습지’ 등재되며 세계 명승지로

‘문경돌리네습지’는 자연이 빚은 찻사발이다. 산이 움푹 파여 문경 찻사발 같다. 이렇게 산이 찻사발처럼 움푹 파인 것을 ‘돌리네(doline)’라고 한다. 지하의 석회 기반암이 지하수에 의해 용해돼 형성된 지형적 요지(凹地)를 말한다. 이런 돌리네가 문경에는 50여개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대부분 물이 없다. 석회암의 무른 특성으로 구멍이 생겨 물이 빠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경돌리네습지는 물이 빠져나가는 구멍에 점토가 막아 습지를 형성하고 있어 매우 특이하다. 이런 돌리네습지는 세계에서도 6개 밖에 없다. 산북면 굴봉산 자락 15만평 규모 여름엔 물놀이장 겨울엔 썰매터 주민들에겐 ‘서것바다’로 불려 2011년 항공촬영때 돌리네 발견 ‘습지’ 지정 때 주민들 전격 동의 ‘람사르’ 인정되면서 글로벌 명성 □ ‘노아의 방주’ 같은 전설 전해져 ‘문경돌리네습지’는 문경시 산북면 우곡리 읍실마을에 있다. 문경의 오지 중 오지다.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내려오는 문경산맥 중간 쯤, ‘배너미산’ 앞 ‘굴봉산’ 자락에 있다. 면적이 0.494㎢( 15만여평)에 이른다. 이곳은 읍실마을 사람들이 농사짓던 생활 근거지였다. 논과 밭을 일궈 자식 키우고, 집안을 일구던 터전이었다. 사람들은 이곳을 ‘서것바다’라 했다. 마을 뒤로 가파른 사면을 넘어가야 했다. 그 재가 ‘돌재’다. 지금 해설부스가 있는 곳이다. 아이들에게는 여름 물놀이장이었고, 겨울 썰매장이었다. 마을 사람들에게 ‘습지’라는 말은 없었다. 그저 돌재 넘어 서것바다에 가서 놀았고, 서것바다에 가서 일했다. 돌재에서 보이는 ‘배너미산’의 신비한 전설에 상상력을 키웠다. 태초에 이곳은 바다였고, ‘배너미산’ 2개의 봉우리 사이로 배가 넘어 다녔다는 전설. 노아의 방주 같은 이야기가 이곳에서 대대로 전해왔다. 서것바다에 나던 버드나무를 꺾어다가 ‘키’, ‘채반’을 만들어 산북장, 산양장으로 팔러 다녔던 그 이전의 생활들이 전설로 박제되기 시작했다. 70호 집들이 20호로 쪼그라들면서 사람들은 늙었고, 마을은 점점 소멸의 길로 가라앉고 있었다. 마을은 1450년대에 영월 엄씨가 약초 캐러 왔다가 정착해 살면서 시작됐고, 임진왜란 때 평해황씨가 자기 조상 위패를 모시고 피난 와 옥련정에 모셔놓고 그 앞을 지나다니면서 읍(揖)을 했다고 읍실이라고 전해온다. 서것바다에는 미나리, 달래, 냉이 등등 철마다 갖은 나물들이 나왔고, 가축들에게도 먹이의 보고였다. 이곳에 소를 갖다 놓으면 도망을 안 가고 이 바닥에서만 놀았다. 그런 서것바다에 비가 오면 물이 차올라 농사에 큰 지장을 주었다. 물 빠지는 구멍은 자꾸 막혀 작아졌다. 그러면 물 빠질 때까지 두 달을 기다려야 했다. 농사짓는 사람들은 두 달을 기다릴 수 없었다. 물이 빠지는 구멍을 정으로 뚫어 넓혔다. 그러면 인천 채씨들은 밤에 와서 그 구멍을 막았다. 조상 산소들이 많았는데, 산소 밑에 물이 있으면 명당이라며 그 물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해야 했다. 서것바다 물은 구멍으로 빠져 어디로 갈까. 6~70년대 사람들도 그것이 궁금했다. 그때 어른들은 왕겨를 물에 부었다. 그리고 며칠 뒤 그 왕겨가 서것바다 서쪽 넘어 호계면 선암리로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 20여 년 전에는 외지 연구자들이 소금하고 색소를 넣었더니 마찬가지였다. 그 거리는 1km정도. 단양 고수동굴이 1.3km니까 서것바다 밑에도 그런 동굴이 있는 것으로 마을사람들은 믿는다. 마을사람들은 거기에 동굴이 2층으로 있다고 믿는다. 위에 있는 동굴은 선암리로 가고, 밑에 동굴은 호계면 부곡리 암굴, 수굴로 이어졌다고. 서것바다 높이가 해발 290m. 부곡리 암굴, 수굴 높이가 해발 145m. 직선거리로 3km 남짓하니, 마을사람들의 믿음이 허황하지는 않다. □ 천지개벽, 세계적 관광지 부상 그러던 이 마을 생활터전이 2011년 환경부 국립생태원의 항공촬영으로 ‘돌리네’다, ‘습지’다 하면서, 대단히 희귀한 연구가치가 있다고 알려지기 시작했다. 공무원들이 드나들고, 박사들이 왔다 갔다 했다. 마을사람들은 ‘습지’로 지정하는데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주민설명회 2번으로 100% 찬성했다. 우리나라 습지 지정하는데 이런 사례는 흔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라에서 습지지구에 들어가는 토지를 사들이는데도 보상가격에 토를 달지 않고 15만평을 다 내주었다. 그러자 2017년 우리나라에서 스물세 번째 산지형 습지로 지정을 받았고, 돌리네습지로는 유일했다. 마을은 이때부터 천지개벽이 시작됐다. ‘서것바다’라는 이름이 ‘문경돌리네습지’로 개명됐다. 도로가 넓어지고, 상하수도시설이 놓이고, ‘돌재’는 등산하는 사람들의 코스로 변하고, 다른 곳으로 새로운 길이 훤하게 뚫렸다. 자동차가 올라가고, 전동차가 드나들고, 탐방센터가 들어섰다. 탐방객들이 주말이면 2~300명씩 찾아와 마을이 북적거렸다. 집집마다 지붕이 개량되고, 마을 안길도 예쁘게 다듬어졌다. 서것바다에 가면 불통이었던 휴대폰도 돌리네습지에 가면 팡팡 터졌다. 지난해에는 ‘람사르습지’로 인정돼 세계화로 나갔다. 24일에는 문경시가 ‘람사르습지도시’가 됐다. 습지로서 써야할 월계관은 모두 쓰게 됐다. ‘문경돌리네습지’에는 세계 돌리네습지 6개 중에 유일하게 750평의 논농사를 짓고 있다. 전통방식으로 초등학생들이 와서 손으로 모심고, 낫으로 벼 베고, 도리깨로 탈곡한다. 그러면 체험한 학생들에게 나락을 찧어 쌀 2kg씩 보내준다. 가을철에는 학생들이 와서 메뚜기체험도 한다. 처음 조사할 때는 이곳에 생물 다양성이 731종이었었는데, 땅을 사들이고 농약을 안 썼더니, 2020년 조사한 걸로 보면 천연기념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등을 포함해 932종이나 됐다. 논농사를 지으니까 지금 멸종위기종으로 국외반출 승인대상인 물방개도 나온다.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

2025-07-29

형산강 절벽, 금장낙안의 아름다움에 젖다

가파른 비탈을 따라 땀 훔치며 오르니 형산강 품은 거대한 누각 전신 드러내 시내 전체 훤히 보이는 지형적인 이점 임진왜란 땐 조선군 군사 지휘본부로 절벽 아래 북천·형산강 만나는 ‘예기소’ 얽힌 이야기 김동리의 ‘무녀도’ 모티브 강물 굽이치는 절벽에 앉은 기러기 떼 금장낙안 전설은 ‘팔괴’ 중 하나로 꼽혀 ■산책하기 좋은 금장대습지공원 막 해가 솟았다. 강 표면을 가늘게 감싸던 물안개가 서서히 흩어진다. 안개 너머로 나무의 실루엣이 드러나고, 그림자는 물속으로 가 겹겹이 번진다. 물속에서 흔들리며 다시 태어나는 나무, 그렇게 나무는 제 모습을 가만히 관조한다. 잎사귀 하나가 파르르 물결에서 흐려지고, 이내 찰랑대며 떠내려간다. 바람이 스치면 그림자는 부서졌다가도 다시 이어져, 강은 나무의 또 다른 형상이 된다. 공기는 눅눅하고 맑으며, 습지는 아직 잠에서 덜 깬 듯 고요하다. 습지의 고요를 깨우는 건 숲 어디에서 들려오는 또 다른 소리다. 풀숲이 갈라지고, 한 마리 뱀이 몸을 낮춘 채 지나간다. 소스라치게 놀라지만 나쁘지 않은 생물이다. 나 역시 해할 의도는 없다. 이따금 철새가 날아든다. 갈대숲 깊은 곳, 사람의 눈이 닿지 않는 어디에 둥지를 짓고 알을 품는다. 물 내음과 바람 사이로 새의 숨결이 이어지고, 물 위로 부는 바람이 둥지를 스치며, 새벽 습지를 다정하게 어루만진다. 강 한가운데, 깊지 않은 수면에 갑작스러운 파문이 인다. 물 위로 튀어 오른 거대한 생물, 잉어다. 상상조차 하지 못할 크기다. 물결이 퍼지며 길에 선 나그네의 사유를 흔든다. 놀란 눈동자가 잉어가 사라진 물가에 꽂힌다. 강은 이내 다시 고요해진다. 방금의 소란도 습지의 익숙한 장면처럼 안개 속에 잠긴다. ■금장사터에 지은 누각, 금장대 낮은 산자락에 난 길로 발을 들인다. 금장대는 생각보다 높지 않은 언덕 꼭대기에 자리하고 있다. 금장대로 오르는 길은 묘한 사색을 부른다. 오래된 소나무 사이로 난 흙길을 따라 산책하듯 천천히 걸으면, 이따금 강물 소리가 바람을 타고 올라온다. 오래된 시간을 통과하듯 짧지 않은 20여 분의 길. 이 길 위에서는 말수가 줄고 마음속 기억들이 하나둘 걸음을 맞춘다. 가파른 비탈을 따라 땀을 훔치며 오르니, 마침내 나무 사이로 금장대가 모습을 드러낸다. 지붕 선 하나, 이내 용마루가, 다시 다섯 칸 정면과 네 칸 측면의 거대한 누각이 전신을 드러내는 게 아닌가. 놀랍다. 눈앞에 펼쳐진 누각은 상상보다도 크고 묵직하다. 커다란 누각이 마치 형산강 물줄기를 다 품겠다는 듯 버티고 서 있다. 사방을 휘감은 나무와 강마저 누각의 위용에 움츠러든 듯하다. 금장대는 형산강 물줄기를 굽어보며 그 흐름을 한껏 껴안는 형국이다. 고개를 들고도 시야는 지붕 끝까지 단번에 닿지 못한다. 서너 걸음 물러서야 비로소 전체의 윤곽이 잡힌다. 단순히 물리적 건물이 아니라, 시간을 이고 선 하나의 산세 같다. 금장대는 1996년 복원된 것이다. 신라시대 금장사 터였던 이곳은, 발굴을 통해 석축 기단이 확인되었다. 안압지 건축양식을 반영해 단청을 더했다. 처마 선마다 새겨진 문양은 하늘 아래에서도 빛바래지 않고, 기둥은 세월을 견뎌내는 등뼈처럼 굳건하다. 신라의 숨결이 다시 누각으로 세워진 셈이다. ■조선군 군사지휘본부 마루에 올라서면 사방이 활짝 열린다. 북쪽으로는 알천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형산강 본류가 둥글게 휘돌아 들어온다. 두 물줄기는 마주 부딪히며 깊은 소(沼)를 만들고, 강물은 마침내 한데 섞여 동쪽 영일만으로 흘러간다. 물이 바위벽을 치고 맴도는 곳, 예기소에서 물이 뒤섞이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형산강은 스스로 길을 꺾고 휘돌며 곡선의 강변을 빚어낸다. 부드럽게 휘어지는 곡선은 물길을 따라 유연하게 이어진다. 마치 붓끝이 비단 위를 미끄러지는 듯한 동양화의 선 같다. 선은 물안개와 들풀 사이를 은근히 적신다. 누각 마루에 서니 경주 시내가 한눈에 담긴다. 크고 작은 지붕들이 어깨를 맞대고, 사이사이 불국사와 대릉원, 황룡사지, 황성공원 같은 옛 터가 점처럼 흩어져 있다. 금장대 위에 서면 시간이 달라진다. 사람의 시간은 낮게 흘러가고, 땅의 시간은 깊게 내려앉는다. 그 둘이 겹치는 순간, 금장대는 더 이상 누각이 아니라 기억의 언덕이 된다. 어떤 시간은 바람처럼 가볍고 얕게 흐르는데, 땅의 시간은 나무뿌리처럼 천천히, 그러나 지워지지 않게 스며든다. 저 아래 강은 쉼 없이 움직이지만, 그 곁의 들판과 고분들은 묵묵히 자리를 지킨다. 발아래 펼쳐진 풍경은 마치 오래된 경전의 한쪽처럼 조용히 말을 건다. 문득 깨닫는다. 금장대는 단지 풍류의 자리가 아니라, 사라진 것들과 남은 것들이 함께 머무는 기억의 언덕임을. 이 누각은 단지 경관을 위한 자리가 아니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게 함락된 경주읍성을 되찾기 위해 조선군이 금장대를 군사지휘본부로 삼았다. 시내 전체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지형적 이점을 살려 방어선과 공략로를 살피기에 유리했다. 그때 이 누각은 병사들의 발걸음과 명령, 수군의 함성이 뒤섞인 요충지였다. 그러나 이제는 사람들의 탄식도, 북소리도 사라지고, 강물만이 그 기억을 밀고 흘려보낸다. ■김동리의 ‘무녀도’와 신라 기생 을화 절벽 아래엔 북천과 형산강이 만나는 깊은 소(沼)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자비왕(신라 제20대 왕) 시절, 기생 을화가 왕과 연회를 즐기다 이 절벽에서 실족하여 빠져 죽었다고 전해진다. 그 자리가 ‘예기소’라 불리는 곳이다. 이 이야기는 훗날 김동리의 ‘무녀도’의 모티브가 되었다. 예기소(예기청소, 藝技淸沼)는 한번 빠지면 깊이와 소용돌이로 인해 헤어나 올 수 없다고 한다. 사람과 동물 가리지 않고 삼켜버린다고 해서, 경주 사람들은 ‘애기도, 청년도, 소도 빠져 죽는다’ 하여 ‘애기청소’라 부르기도 했다. 무녀와 목사, 딸과 어머니의 갈등이 이 깊은 물 아래 깃들어 있는 듯, 소설의 무대는 그렇게 강물처럼 삶과 죽음, 믿음과 슬픔을 흘려보냈다. 조선시대 시인과 묵객들은 이 누각에 올라 ‘금장낙안(金藏落雁)’이라 불리는 풍광을 노래했다. 기러기가 앉는 들녘과 강이 어우러지는 이 장엄한 조망 앞에서, 인간 삶의 덧없음을 읊고 또 읊었다. 물의 유속이 바위에 부딪혀 일으키는 포말은 그 시절 한 사람의 울음처럼 짧고, 바람은 세월을 넘겨 오늘의 시간까지 닿는다. 풍경은 달라졌다. 사람도 길도 옛 모습은 아니지만, 고요히 스며드는 정취만큼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눈앞의 세상이 달라져도 마음에 닿는 울림은 여전히 오래된 그때와 맞닿아 있는 듯하다. ■신라 삼기팔괴(三奇八怪) 중 하나 경주에는 예로부터 신령한 기이함이 풀리지 않는 물건과 괴이함을 간직한 땅이 있다. 사람들은 그것을 ‘삼기팔괴(三奇八怪)’라 불렀다. 하늘에서 내린 금척과 바다에서 얻은 만파식적, 불을 피운 수정구슬은 신라 왕가에 전해진 세 가지 기이함이자 신권과 왕권의 상징이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신통한 힘이 왕에게 깃들었고, 그 힘은 병을 고치고 나라를 지켰으며, 혼란을 잠재웠다. 그러나 기이한 것이 하늘에만 머문 것은 아니었다. 땅에는 땅의 신비가 스며 있었다. 여덟 가지 괴이한 풍경은 경주 곳곳에 흩어져 있고, 그중 하나가 바로 금장대다. 형산강이 굽이치는 절벽 위, 기러기 떼가 마치 기다렸다는 듯 떼 지어 내려앉았다는 금장낙안의 전설은 이곳을 경주의 8괴 중 하나로 세웠다. 사람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높이에 기러기들이 무리 지어 내리는 모습은, 자연의 이치 너머에 있는 조화로움을 보여주는 듯하다. 금장대는 단순한 누각이 아니다. 금장대에 서면 하늘의 기이함과 땅의 괴이함이 하나의 시선에 포개진다. 그 순간 금장대는 시간이 쌓인 누각이자, 하늘과 땅의 신비가 깃든 자리로 다시 태어난다. ■청동기 시대 새겨진 석장동 암각화 금장대를 내려와 바위 앞에 섰다. 청동기 암각화를 보겠노라 여러 차례 왔지만, 매번 바위는 침묵했다. 풍화가 깊었다. 형체는 쉽사리 드러나지 않았다. 그저 오래된 바위만 있을 뿐, 시간은 모든 흔적을 지운 듯 보였다. 그러던 오늘, 바위가 불쑥 말을 걸어온 게다. 눈에 익지 않은 무언가가 음영으로 보이는 게 아닌가. 흐릿한 곡선에서 어떤 발자국이 이어진다. 동물 발자국이다. 도토리와 칼, 꽃 같은 형상이 모두 99점이라는데 아직 그들은 침묵 중이다. 모든 그림이 정교하거나 화려하진 않지만, 하나하나가 삶을 향한 바람처럼 느껴진다. 청동기 사람들은 이 바위에 풍요와 다산을 빌었다. 기도였고, 염원이었고, 흔적이었다. 그림은 말보다 오래 남는다. 그들은 바위가 시간이 되어줄 거라 믿었던 것 같다. 무수한 세월이 그림을 마모시켰지만, 언젠가 다시 누군가의 관심에 의해 ‘툭’ 살아날 것만 같다. 들리지 않던 이야기들이 바위에서 피어오르는 듯, 마음이 먼저 선을 따라 움직인다. 다시 내려간다. 내리막길은 오르막보다 짧지만, 마음은 오히려 더 길어진다. 금장대를 내려서는 동안 형산강의 굽이진 물줄기와 도시의 옛사람들이 남긴 발자국이 아득히 따라온다. 강은 지금도 흐르고, 이야기는 지금도 이어진다. 금장대는 단지 높은 누각이 아니라, 수천 년의 시간을 굽어보는 눈이다. 그리고 그 눈길 아래, 잠시 멈춰 선다. 현재로 되돌아가는 길목에서, 오래된 시간이 한 번 더 등을 어루만진다.

2025-07-23

‘객주’ 청송의 왕버들, 전설 간직한 채 살아나

소설가 김주영 선생의 고향이자 소설 ‘객주’의 배경이 된 경북 청송군 진보면과 인접한 파천면 관리 721번지, 한적한 도로변에는 오랜 세월을 말없이 견뎌온 왕버들이 전설을 간직한 채 살아가고 있다. 여름에는 무성한 잎으로 몸을 감싸지만, 겨울에는 잎을 모두 떨군 나목의 몸으로 세찬 바람과 마주 선다. 그 곁엔 오래전부터 함께한 마을 공동 우물이 있고, 한때는 나란히 선 소나무 노거수 한 그루도 있었다. 마을 공동 우물터와 왕버들, 소나무라는 소재로 구성된 한 세트의 농촌 풍경은, 겉보기와는 다른 청춘 남녀의 지고지순한 사랑의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사랑과 이별, 기다림과 아픔이 얽힌 이야기의 증인이며, 전설의 무대이자 마을의 심장이었다.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한 채 스러져간 사랑, 그리움이 나무가 되어 뿌리내린 이야기이다. 그것은 단지 하나의 전설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전해지는 삶의 가르침이기도 하다. 1968년 천연기념물 제193호 지정 18필지 땅에 뿌리 내린지 470여 년 높이 18m 부챗살처럼 퍼진 가지들 한 총각이 사랑하는 여인의 부친 대신 전쟁터에 나서며 심었던 ‘약속의 나무’ 조선시대 청춘남녀의 변치 않는 사랑 오랜세월 이겨낸 ‘철인’ 같은 왕버들 그 옆에 새순 돋아난 소나무 ‘만세송’ 민속과 사랑의 전설 간직한 자연유산 청송 관리의 왕버들은 1968년 3월 9일 천연기념물 제193호로 지정된, 민속문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 자연유산이다. 나이 470살, 키 18m, 몸 둘레가 5.7m, 앉은 자리 폭 23m로 그의 넓은 품은 키보다도 5m나 더 크다. 품고 있는 토지가 무려 18필지나 된다고 한다. 왕버들은 1560년경 심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전설의 주인공이다. 원줄기에 난 굵은 가지는 태풍에 부러지거나 잘려 나갔으며, 원줄기에서 바로 뻗은 가지들이 부챗살 모양의 수형을 이루며 하늘에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모습이다. 오랜 세월 속에서 줄기 속이 동공되어 외과수술을 받아 이물질을 안은 채 통증을 견디며 여전히 굳건히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철인 같은 인상을 준다. 왕버들은 한 총각이 이웃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처녀의 늙은 아버지 대신 대리 출정을 나서며, 훗날을 기약하며 심었다는 전설을 간직한 채 변치 않는 약속의 상징물로 남아 있다. 우물과 함께 마을의 시간을 지켜온 산 증인이며, 신분을 뛰어넘어 애틋한 사랑을 지켜낸 한 여인의 정한이 깃든 존재이다. 오래된 공동 우물은 예부터 마을 사람들의 쉼터이자 교류의 장소였고, 사랑이 움트고 이별이 고여 있던 공간이었다. 지금은 시간이 많이 흘러 소나무 노거수는 생을 마감하였고, 어린 후계목 소나무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나무는 조용히 한 편의 전설을 떠올린다.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하고 끝내 이루지 못한, 조선시대 청춘 남녀의 슬픈 이야기이다. 마을에 채씨 성을 가진 예쁜 처녀가 늙은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었다. 그녀는 정숙하고 곧은 심성으로 마을 사람들의 귀감이 되었다. 그러던 중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나라에서는 의병을 모집하게 되었다. 그런데 엉뚱하게도 60세가 넘은 아버지 채 노인에게 출정 징집 명령 영장이 왔다. 이미 환갑을 넘긴 노인이 어찌 전쟁터에 나갈 수 있으랴. 딸은 어떻게든 막아보려 했지만, 당시 여인의 입장으로는 달리 방법이 없었다. 걱정만 하고 있던 터에, 이웃 마을에서 머슴살이 하던 젊은 청년이 찾아왔다. 그는 검게 그을린 손으로 생계를 이어가던 가난한 총각이었다. 평소 처녀를 흠모해 왔던 총각은 신분 차이를 알면서도 감히 그녀에께 마음을 품고 있었다. “제가 대신 출정하겠습니다. 부친을 지키는 일은 그대의 몫이고, 나라를 지키는 일은 제가 하겠습니다.” 그 말에 처녀는 가슴이 벅차올랐다. 진심이 담긴 말에 그녀는 말없이 고개를 끄덕였고, 전쟁이 끝나 돌아오면 부친의 허락 아래 백년가약을 맺기로 약속했다. 처녀는 오직 한마음으로 총각이 무사히 돌아오기만을 기다리기로 굳게 결심했다. 출정을 하루 앞둔 전날 밤, 두 사람은 우물가에서 남몰래 만났다. 그때 총각은 손에 들고 온 어린 왕버들 한 그루를 처녀에게 보이며 “이 나무를 우물가에 심어 놓고 가겠으니, 날 보듯 고이 길러달라”고 부탁했다. 그녀는 총각이 떠난 뒤 매일 나무에 물을 주고 정성을 다해 보살폈다. 그를 기다리는 마음은 날마다 한결같았다. 왕버들은 점점 자라났지만, 총각의 소식은 들려오지 않았다. 전쟁은 끝났지만, 그는 돌아오지 않았다. 아버지는 딸이 처녀로 늙어가는 것이 안타까워 다른 사람과의 혼인을 서둘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처녀는 총각이 떠날 때 심어 놓은 나무를 어루만지며 상념에 젖었다. 드디어 결혼식 전날이 다가왔다. 마지막 순간까지 약혼자가 돌아오기만을 기다렸으나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그녀는 모든 것을 단념하고 깊은 밤중에 아버지 몰래 집을 빠져나갔다. 아버지께 용서를 빌고는, 불효막심한 이 여식을 용서해달라는 유서를 남긴 채, 명주 수건으로 왕버들 가지에 목을 매고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아무 말도 남기지 않은 채, 단 하나의 사랑만을 간직한 채, 그녀는 세상을 떠났다. 이후 마을 사람들은 놀라운 광경을 목격했다. 왕버들 옆에서 새순 하나가 솟아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누구도 그곳에 나무를 심지 않았지만, 그 자리에 한 그루 소나무가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소나무가 처녀의 일편단심 그리움이 환생한 것이라 여겼다. 전쟁터로 떠나면서 총각이 왕버들을 날 보듯 가꾸어 달라고 부탁했기에, 그 누구도 왕버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소나무는 처녀의 넋이 환생한 것이며, 한결같은 기다림이 나무가 되어 돌아온 것이다”라고 말했다. 지고지순한 사랑은 세월에 묻혀 사라지고 없지만, 지금도 왕버들과 우물터, 후계목 소나무는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죽은 처녀의 넋이라고 전해지는 소나무는 ‘만세송’이라 불리다 2006년경 고사 되었다. 두 나무 모두 마을의 당나무로서 음력 정월 14일 동제를 지내고 있으며, 이때 사용한 종이로 글씨 연습을 하면 글씨를 잘 쓰게 된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이처럼 애달픈 전설을 간직한 왕버들은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이다. 소나무와 왕버들, 두 나무는 서로를 바라보듯 나란히 서 있다. 거대한 왕버들과 그 곁에 조용히 선 소나무. 이 두 나무는 세월을 이긴 풍경이며, 사랑이 끝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이야기이다. 왕버들은 말한다. 사랑은 신분을 넘고, 죽음을 넘으며, 기다림은 뿌리가 되어 세월을 감싼다. 그리고 지금의 인연을 더 소중히 여겨야 한다고 말이다. 왕버들은 여전히 푸르고 우람한 모습으로 서 있고, 처녀의 넋이라 전하던 만세송은 세월 앞에 스러졌지만, 후계목으로 인해 그 기억은 잊히지 않았다. 나무는 말하지 않지만, 침묵 속에 많은 것을 전한다. 버들가지에 매달린 약속, 소나무에 스며든 그리움, 그리고 우물가에 흐르던 눈물까지도 나무는 기억하고 있다. 살아 있는 우리는 그 이야기를 듣고 오늘의 사랑을 더 간절히 품어야 한다. 기다림이 뿌리가 되어 하늘을 향해 자라는 나무처럼, 삶 또한 그리움과 약속의 뿌리 위에서 피어난다. 왕버들과 만세송이 전하는 이야기는 단지 옛사랑의 전설이 아니라, 지금 우리 모두에게 보내는 조용한 울림이기도 하다. 만세송(萬歲松) 기념비의 내용은… 우리 지역의 예나 지금이나 산자수명하여 골짝 굽이굽이 늘 푸른 소나무가 많기로 유명하다. 이런 연유로 우리 군의 군목은 역시 소나무다. 생각컨대 옛 조상들이 청송이라 칭한 심오한 뜻이 어찌 없으랴. 문헌상 많은 기록이 있지만 이를 깊이 생각하고 정리 해 보면 아마 청(靑)은 오색지수(五色之首)이며 송(松)은 만수지장(萬樹之長)이라 하여 우리 지역 지명을 청송이라 칭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헤아려 보면 우리 지역의 지명을 청송이라 칭하고 군목을 송(松)으로 삼은 지가 어언간 많은 세월이 흘렀건만 우리 군을 표징하는 장송(長松)이 없었다. 이에 우리 군민의 뜻을 모아 한데 모우고 우리 청송을 더욱 빛내기 위해 고을 안에 있는 소나무 중 가장 크며 고송(古松)인 이 나무를 우리 군의 수호목으로 삼아 그 이름을 만세송이라 짓고, 나무 주변 땅을 매입하여 먼 후대까지 길이길이 보호하고 관리코자 여기에 이 비를 세워 그 뜻을 기록해 둔다. -1995년 5월 6일 입하(立夏) 청송군민 일동. /글·사진=장은재 작가

2025-07-23

추억은 맛과 향기로부터… 기차여행 먹거리 다시 풍요로워지길

미나토 쓰루가 플로트 홀(Minato Tsuruga Float Hall). 쓰루가 산차회관(山車會館)을 달리 부르는 이름이다. 여기엔 화려하고 거대하며, 독특한 수레 3대가 전시돼 있다. 그걸 ‘산차(山車)’라고 부른다. 5000원 정도의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면 높이가 10m에 가까운 산차가 앞뒤로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웅장한 음악을 배경으로. 가을 초입 쓰루가 6개 마을의 자존심을 건 ‘야마’들 귀한 재료로 장식한 ‘야마막’ 두르고 퍼레이드 장관 도야마 시내 한복판을 순환하는 노면전차(트램) 자동차와 나란히 달리는 모습 그 자체로 구경거리 ‘역에서 파는 도시락’ 에키벤, 장식부터 맛까지 일품 포항 ‘물회’, 영덕과 울진‘대게’, 겨울 강릉 ‘도루묵’ 등 동해선 특산물 도시락 상상만으로도 입맛 다시게해 글 싣는 순서 1. 철도 왕국 일본에서 찾는 ‘지역 관광’의 미래 2. ‘당일치기 여행’ 맞춤 일본 철도 3. 관광으로 인구 소멸 위기 ‘호쿠리쿠’ 살리기 4. 일본 기차 여행의 꽃이 된 ‘도시락’ 5. 울산, 이제는 ‘유잼(U-재미) 도시’다 6. 철도 불모지 경북, 동해선 개통 후 새 역사 시작 7. 이번 역은 “천만관광 해양도시 삼척입니다” 8. 강릉, ‘철도 날개’ 달고 동해안 비상 ▲만약 가을이 시작될 때 쓰루가를 여행하게 된다면… 산차의 윗부분엔 중세시대 일본의 유명 장수를 형상화한 인형이 놓인다. 내가 유심히 본 산차엔 화려한 갑옷을 입고 긴 칼을 든 이시다 미츠나리(石田三成)의 인형이 올라있었다. 이시다는 임진왜란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명령으로 조선을 침공한 병사들의 우두머리 중 하나. 한국인이 볼 땐 ‘우리 조상들을 욕보인 악당’이지만, 일본에선 섬기는 이들이 적지 않은 학자(學者) 스타일 장수였다고 한다. 가을의 초입인 매년 9월 4일이 되면 쓰루가의 6개 마을이 자존심을 걸고 ‘산차’를 장식해 일본 사람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게히신궁(氣比神宮) 앞에 모인다. 이어서 장관이라 부를 만한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그 도시 최고의 마츠리(祭·축제)다. 쓰루가 시민들은 물론, 많은 외국인이 행렬을 보려 몰려든다고. 산차의 앞뒤와 좌우를 장식하는 ‘산차막(山車幕)’은 예술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수십 명의 사람이 짧게는 보름, 길게는 3개월에 걸쳐 10~15자(3~4.5m) 크기의 천에 수를 놓는다. 금과 은, 희귀한 염료가 다량 사용될뿐더러, 일본의 신화(神話)와 구전(口傳)을 한 폭의 막(幕) 속에 상징적으로 담아내는 것이라 가격이 한국 돈 1~2억 원을 넘는 것도 있다고. 그렇기에 오랜 시간 ‘산차막’을 만들어온 사람은 한국의 무형문화재급 대접을 받는 장인(匠人)들이다. 만약 당신이 오사카나 나고야에서 기차를 타고 축제가 열리는 9월 초순 쓰루가를 방문한다면 위에 열거한 정보를 염두에 두고 ‘산차 행렬’을 지켜보면 어떨까? 세상 무엇이건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니. ▲조용하고 한산해서 평화로운 여행지 도야마(富山) 도야마는 오사카, 교토, 나라, 쓰루가와 함께 이번 취재에서 기차를 타고 돌아본 도시들 중 하나다. 언급된 다섯 개의 여행지 중 가장 조용하고 한산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또한 평화롭게 보였다. 한자로는 ‘富山(부산)’이라 쓰는, 먹을거리와 볼거리 많은 관광지 도야마는 어떤 내력을 가진 곳일까? 이 궁금증에 ‘나무위키’가 답한다. “남쪽에는 일본 알프스 중 하나인 히다 산맥이 위치하고 있다.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고카야마의 갓쇼즈쿠리 마을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히다 산맥과 가미이치마치와 다테야마마치에 걸친 쓰루기다케(劔岳)는 해발 2999m에 달한다. 일반 등산객이 오를 경우 위험도가 가장 높은 산이다.” 신오사카역을 출발해 쓰루가역까지 가서 기차를 갈아타고 도야마역에 도착하려면 3시간이 걸린다. 포항역에서 서울역까지 가는 시간보다 조금 더 길다. 오전 11시경 오사카를 출발했으니 점심을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다. 큰 기대 없이 신오사카역 상점가에서 도시락을 하나 구입해 기차에 올랐다. 일본인들은 이 도시락을 에키벤(えきべん)이라 부른다고. 도야마를 찾았던 때는 6월 중순. 그럼에도 햇살은 눈이 부셨고, 날씨는 한국의 7월 같았다. 도야마역 주변은 밝고 환하면서도, 괴괴한 정적이 맴돌고 있었다. ‘느와르 영화’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했다. 느닷없는 무더위를 피해 숙소에 잠시 누웠다가 이른 저녁을 먹으러 거리로 나섰다. 도야마는 메밀국수(soba)로 유명한 지역이라고 했다. 마침 역 지척에 이른바 ‘도야마 메밀국수 맛집’이 있었다. ‘어떻게 하면 편하게 도야마 시내를 돌아볼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그때 눈에 띈 게 트램(tram)이다. 모양과 색깔이 조금씩 다른 여러 대의 노면전차(路面電車)가 자동차, 버스와 나란히 도로 위를 달리는 모습은 그 자체로 구경거리였다. 도야마역 관광안내소로 들어가 트램 티켓을 판매하는 곳을 물었다. 그리고, 5분 후엔 도심 번화가를 30분가량 순환한 후 출발지인 도야마역으로 돌아오는 트램에 올라섰다. 쓰루가에 도시의 주요 관광지를 하루 종일 돌아다니는 ‘빙글빙글 쓰루가 버스’가 있다면, 도야마엔 백화점·대형 마트·관공서·은행·우체국 등이 밀집한 시내 한복판을 순환하는 노면전차(트램)가 있었다. 폭염 속에 땀을 흘리면서라도 ‘걸어서 낯선 도시의 곳곳을 돌아보고 싶다’는 여행자는 그렇게 하면 된다. 반면 ‘나는 편하고 빠르게 도시를 파악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관광객이 있다면 도야마에선 ‘순환선 트램’ 탑승을 권한다. 도야마엔 비단 도심 순환선만 있는 건 아니다. 또 다른 2~3개의 노선에서 트램이 운행 중이니, 어느 노선을 선택하건 한국에서라면 경험해보기 쉽지 않은 ‘노면전차 타기’를 즐기시길. ▲일본 기차여행을 보다 행복하게 만들어준 ‘에키벤’ ‘역에서 파는 도시락’을 의미하는 에키벤을 처음 맛본 건 신오사카역에서 쓰루가역으로 달리는 기차 안에서였다. ‘소고기덮밥’이었는데 맛이 기가 막혔다. 도시락 아래 달린 실을 잡아당기면 발열제가 작동해 데워 먹도록 해뒀으니, 따끈하게 즐길 수 있어 더 좋았다. 몇 번의 일본여행에서 대부분의 한국인 여행자들처럼 편의점 도시락을 사먹곤 했다. 그것들도 가격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에키벤은 편의점 도시락과는 레벨이 달랐다. 에키벤은 보통 한국 돈 1만5000원에서 2만5000원 정도로 값이 형성돼 있는데, 싸다고는 할 수 없는 가격이지만, 먹다보면 그런 생각이 눈 녹듯 사라진다. 또 먹고 싶어지는 것. 에키벤에 매료된 기자는 도야마역에서 오사카역으로 돌아올 때도 ‘새우튀김 에키벤’을 샀고, 심지어 쓰루가에 머물 땐 일부러 역까지 걸어가서 ‘장어구이 에키벤’을 사와 숙소에서 먹기도 했다. 하나하나의 도시락 모두가 장식에서부터 맛까지 나무랄 데가 없었다. 기차를 타고 여행을 해본 60대 이상의 한국인이라면 조그만 플라스틱 바가지에 담아주던 ‘대전역 가락국수’를 기억하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추억은 향기와 맛으로부터 온다. 일본인들에겐 기차여행의 즐거움이 에키벤에 있다면, 20세기 한국 기차여행의 행복감 속엔 사이다와 삶은 계란, 맥주와 훈제 소시지가 있었다. 세기가 바뀌었고, 젊은 세대의 입맛도 변했다. 20세기의 운영 방식으로 한국 기차여행의 먹을거리가 풍요로워질 수 있을까? 없다. 동해선 기차여행의 인프라 확장과 프로그램 개선 방안 가운데 하나가 ‘지역 특산물을 재로로 만든 도시락 개발’이 돼야 마땅한 이유다. 울산-포항-영덕-울진-삼척-동해-강릉. 동해선 기차가 달리는 도시엔 갖가지 물고기와 벌건 등이 입맛을 다시게 하는 대게 등 싱싱한 해산물이 얼마나 많은가. 포항역에선 ‘물회 도시락’, 영덕역과 울진역에선 ‘대게 도시락’, 겨울의 강릉역에선 ‘도루묵 도시락’을 사서 동해선 기차에 올라타는 날을 기다리는 사람이 기자 하나만일까? <계속>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2025-07-22

‘주식회사 예천군’ 캐치프레이즈로 새로운 공공행정 모델 확립

“지자체를 기업처럼 경영해야 합니다. 저는 영업부장이고, 공무원들은 직원이며, 군민은 주주입니다” 최근 TV 대담프로그램에서 한 김학동 군수의 말에서 ‘주식회사 예천군’이라는 표현이 단순한 구호가 아님을 느낄 수 있다. 공공행정에 기업경영 마인드를 접목해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는 그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행정에 기업 경영 마인드 접목 지자체 운영 새 패러다임 제시 사회안전망 평가서 ‘전국 1위’ 도청신도시-원도심 균형 모색 ‘생활인구 1천만 명’에도 도전 □ 새로운 공공행정의 추진모델 ‘주식회사 예천군’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종종 기업경영 방식을 언급하지만, 실제로 이를 체계적으로 도입해 성과를 내는 사례는 드물다. 그런 점에서 민선 8기 3년차를 맞은 김학동 예천군수의 ‘주식회사 예천군’ 운영 방식은 눈여겨볼 만하다. 김 군수는 행정을 공익비즈니스로 접근하며, 과거 공직사회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해 실적과 성과를 중요시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형식과 절차를 지키되, 결과 중심의 행정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취임 후 김 군수가 가장 먼저 추진한 것은 조직문화 혁신이었다. 경직된 수직적 조직을 유연한 수평적 조직으로 바꾸고, 부서 간 협업을 강화했다. 공직자들에게는 주인의식을, 군민들에게는 파트너십을 강조하는 접근법이 특징이다. □ 숫자로 증명된 성과, 군민들의 삶이 달라졌다. 김 군수의 경영 마인드가 빚어낸 변화는 객관적 지표로 증명됐다. 예천군은 2023년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군부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또한 2024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지역발전지수 평가에서는 주민활력 분야가 10년 만에 153위에서 59위로 급상승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의 공약이행 평가에서 4년 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6대 분야 총 44건의 공약사업 중 현재 73.9%의 이행률을 보이고 있어, 민선 8기 임기 내 100%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과는 김 군수가 강조하는 ‘예산 확보 노력’에서 비롯됐다. 그는 취임 후 공직자들과 함께 국회와 정부 부처를 수시로 방문하며 적극적인 예산 확보와 공모사업 유치에 나섰고, 이는 다양한 사업 추진의 원동력이 됐다. □ 도청신도시-원도심 균형발전 전략 경북도청 이전으로 형성된 도청신도시는 예천군에 역사적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동시에 원도심 공동화라는 도전과제도 가져왔다. 김 군수는 두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도청신도시에는 복합커뮤니티센터, 범우리공원 숲속놀이터, 태교숲, 송평천 수변공원 등 생활편의시설을 신속히 확충했다. 경북인재개발원, 경북체육회, 경북도립예술단 등 주요 기관의 이전도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다. 산업 기반 마련을 위해 KT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유치했고, 도시첨단산업단지와 e스포츠국가대표훈련센터 등도 추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북도와 함께 돌봄융합특구사업으로 영유아창의문화센터를 운영하고, 송평천에는 가족친화영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용역을 준비중에 있다. 또한 경북도, 안동시와 함께 경국대학교 의대 신설과 부속병원을 도청신도시에 건립하기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경기악화로 인해 지연되고 있는 2단계 개발지역에 계획된 4000 여 세대의 공동주택도 연내 분양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원도심에는 단샘어울림센터, 청년센터, 아이사랑 안심케어센터, 희망키움센터, 평생학습센터 등 주민 편의시설을 구축했다. 전선지중화사업과 간판현대화 사업으로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읍면 소재지마다 기초생활거점사업을 통해 주민 여가시설을 확충했다. □ ‘생활인구 천만 명’을 향한 야심찬 도전 예천군의 주목할 만한 전략 중 하나는 ‘생활인구 천만 명’ 목표다. 2030년까지 달성을 목표로 한 이 계획은 단순히 정주인구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관광과 업무 등 다양한 목적으로 예천을 찾아 머무는 인구를 증가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 군수는 이를 위해 스포츠 마케팅, 체류형 관광, 축제와 먹거리 개발이라는 세 가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스포츠 마케팅분야에서는 양궁과 육상에서 국제대회를 비롯, 크고 작은 다양한 대회를 개최하며 전지훈련으로 많은 선수단과 관계자들이 예천을 방문하고 있다. 육상교육훈련센터와 양궁훈련센터 건립으로 최적의 전지훈련장소로 지위를 확고히 다지고, 다양한 종목의 생활체육대회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특히, e스포츠 국가대표훈련센터는 미래 스포츠 산업의 핵심 시설로 예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전망이다. 관광 분야에서는 우선, 관광지를 권역화하고 완성도를 높인다. 또한 방문객들의 동선을 각 권역에서 신도시와 원도심으로 이어지도록 해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을 목표로 한다. 삼강과 회룡포를 전동차로 연결하고 대형 전망대를 건립하는 등 각 권역별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원도심의 남산공원 야관경관단지 ‘벅스루미나’와 신도시의 도립미술관 건립을 통해 원도심・신도시로 관광객을 유인해 지역경제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곤충축제, 활축제, 농산물축제 등 대표 축제의 콘텐츠를 강화해 매력도를 올리고, 예천 한우특화센터를 중심으로 한우를 비롯한 지역 특색을 살린 먹거리, 즐길거리가 풍부한 고장이 되도록 치밀하게 준비하고 있다. 예천군의 미래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축은 청년정책과 가족복지다. 김 군수는 청년정책이 지역 발전과 직결된다는 관점에서 청년들이 예천에 정착해 경제활동을 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청년센터와 희망키움센터를 통해 청년들의 취업, 창업, 자산형성, 주거지원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디지털혁신농업타운을 통해 IT 기반 일자리와 첨단농업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또한 미혼 청년들을 위한 커플매칭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출산부터 육아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내년 개원 예정인 공공산후조리원을 비롯해 아이사랑 안심케어센터, 다함께 돌봄센터, 24시간 운영 돌봄센터 등 시설을 확충했다. 경북도의 융합돌봄특구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된 것도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돌봄 사각지대 없는 복지도시 구현을 위해 김 군수는 복지정책의 수준이 도시의 수준을 결정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분야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노인복지 분야에서는 독거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돌봄과 행복도우미 사업을 추진하고,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으로 활기찬 노후를 지원한다. 특히 70세 이상 어르신 대중교통 무료화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아이사랑 안심케어센터, 다함께 돌봄센터, 지역아동센터, 공동육아나눔터, 24시간 운영 돌봄센터 등 다양한 돌봄 시설을 확충해 ‘돌봄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있다. 경상북도의 융합돌봄특구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된 것은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예천군은 전국 최고 수준의 돌봄 체계를 갖췄다고 자부하고 있다. □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명품 교육도시’ 전략 예천군 인구 유입과 지역 발전의 핵심 요소로 교육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김 군수는 인구 이동의 중요 요인 중 하나가 교육이라며, 아이를 낳아 돌보고 교육하기 좋은 도시 만들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 문제를 지역사회 전체의 과제로 인식하고, 교육청, 학교, 지자체, 주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한 점이 돋보인다. 교육장, 군의장, 군수가 공동위원장을 맡는 ‘예천교육발전협의회’를 발족해 지역 교육 현안을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했다. 예천군은 경북도교육청과 함께 미래교육지구사업과 교육발전특구사업에 선정되어 다양한 방과 후 학습프로그램, 영어원어민 교육, 해외 연수 기회 등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생들을 위한 ‘희망아카데미’와 1 대 1 맞춤형 진학컨설팅을 제공하는 ‘입시카페’는 지역 학부모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와 함께 경북도와 공동으로 창의과학 수업을 진행하고 창의과학교육센터 건립을 추진해 도청신도시를 창의과학교육지구로 발전시키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장기적 투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주식회사 예천군의 남은 과제 예천군 경영은 지방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업 경영 기법을 단순히 도입한 것이 아니라 공공성과 효율성을 조화시키는 균형 잡힌 접근법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군민들과의 직접 대화를 통해 나온 다양한 정책들은 높은 체감도와 만족도로 이어지고 있다. 생활인구 확대, 청년 지원, 복지 강화, 교육 투자 등 주요 정책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e스포츠국가대표훈련센터, 도시첨단산업단지 등 미래 성장동력이 될 핵심 사업들의 차질 없는 진행과 의대 부속병원 유치를 통한 의료 인프라 확충, 그리고 인구 유입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도청신도시와 원도심 간 균형발전을 넘어 실질적인 통합과 상생의 모델을 만들어가는 것도 앞으로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다. 김 군수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자연재해의 위기 속에서도 예천군은 힘차게 전진해 왔다”며, “어려운 시기이지만 군민들의 이해와 협조, 그리고 공직자들의 열정이 있다면 예천군은 반드시 발전하고 신도시와 원도심의 상생발전으로 우뚝 성장할 것”이라는 자신감을 보였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2025-07-22

‘관광특구 1돌’ 대구 동성로, 젊음과 낭만으로 물들어 간다

대구 동성로가 지역 최초로 관광특구로 지정된 지 1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7월 대구시가 동성로를 관광특구로 지정하며 옛 명성을 회복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으나, 아직까지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성과를 거두지 못한 상태다. 이는 그동안 사업이 준비 단계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올해부터 대구시와 중구청이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서면서 점차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특히 젊은 층을 겨냥한 문화·예술 공간 확충과 거리 경관 개선 사업을 통해 젊음과 낭만이 공존하는 활기찬 동성로의 모습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본지는 관광특구 지정 1주년을 계기로, 지난 1년간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점검해봤다. 문화관광·상권·교통·도심공간 4개 분야 ‘르네상스 프로젝트’ 추진 중 올 39개 신규 사업 116억 투입… 지역경제·관광산업 중심지 발전 도모 다양한 외국어 통역 해설사 호평 ‘골목 투어’ 하루 평균 100∼200명 발길 △동성로, 대구 첫 관광특구에 지정되다 지난해 7월 대구시 중구 동성로·약령시 일원 1.16㎢가 관광특구로 지정됐다. 관광특구는 기초단체가 신청하면 광역단체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해 지정한다. 중구는 지난 2021년에 동성로 관광특구 지정에 도전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실패한 바 있다. 외국인 관광객 기준은 최근 1년간 외국인 관광객 수 10만 명 이상이어야 하지만 코로나19 등으로 그 수를 채우지 못했다. 하지만, 2023년 동성로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13만 명을 넘어서면서 기준을 충족했다. 관광특구에 지정되면 관광진흥개발기금 우대금리 융자지원, 관광특구 활성화 국비 지원사업 추진, 옥외광고물 허가기준 완화 등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침체된 동성로에 활력을 대구시는 관광특구에 지정된 동성로 일대를 ‘서울 홍대 거리’처럼 문화관광의 핵심지로 조성하려 한다. 대구시는 앞서 2023년 7월부터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문화관광·상권·교통·도심공간 등 4개 분야로 나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성로 공실의 대구·경북권 대학 도심 캠퍼스 활용, 버스킹 무대 마련, 옛 중앙파출소 광장의 랜드마크화 등 젊은이들을 모으는 방안이다. 특히, 관광 인프라 확충과 축제 개최에 중점을 두고 계획을 추진 중이다. 대구시는 지난 5월 한 달간 동성로 일대에서 축제를 진행했다. 약령시 일원에서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 국채보상로 일대에서 국내 대표 퍼레이드 축제 ‘파워풀대구페스티벌’,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대구생활문화제’, 그리고 동성로 일원에서 ‘동성로축제’를 진행했다. 동성로 인근 전체가 하나의 무대가 되는 축제를 만든 것이다. △동성로 상권 활성화 사업 본격화 대구시는 올해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인 ’동성로 상권 활성화 사업‘의 2차 연도 사업을 본격화하고, 콘텐츠 강화에 나섰다. 앞서 지난해 60억 원 규모의 5개년 사업으로 상권 활성화 구역 고시와 상권관리기구를 지정하는 등 기반 조성을 마쳤다. 올해는 공동브랜드 홍보, 팝업스토어 운영, 점포 컨설팅, 동성로 패스 발행 등 체감도에 중점을 뒀다. 중구청도 올해 동성로 관광특구를 지역 경제와 관광산업의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39개 신규 사업에 총 116억6000만 원을 투입한다. 중구청은 글로벌 관광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로컬 관광콘텐츠 개발 △지역 관광인프라 구축 △관광 협력체계 강화 △관광 홍보 마케팅 차별화 △관광편의 서비스 향상이라는 5대 전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또 동성로에 뉴욕 타임스퀘어처럼 미디어 거리를 조성하기 위해 기반 시설을 신설 및 정비하고, 동성로 주요 구간을 ‘옥외광고물 특정 구역’으로 지정해 지역 브랜드를 강화할 계획이다. 특정 구역에 지정되면 옥외광고물 크기, 수량, 설치 위치 등 관련 기준이 완화된다. 관광특구 활성화를 위해 ‘분과별 관광특구 행정협의체’와 ‘민관 관광특구 협의회’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관광 콘텐츠 개발과 사업 추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발전 방안을 여러모로 모색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동성로 인지도 향상을 위해 국내외 박람회 참가, 홍보용 쇼츠 영상 제작, 동성로 관광안내소 설치해 외국어 해설사를 상시 배치, 외국인 취향 맞춤형 테마관광 코스 개발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외국인 관광객에게 큰 인기 ‘골목 투어’ 대구 중구의 ‘골목 투어’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골목 투어는 10인 이상의 단체관광객들이 사전에 예약을 신청하면 문화해설사가 무료로 지원된다. 특히, 영어, 중국, 일본어 등 다양한 외국어 통역이 가능한 해설사가 배치돼 있어 대구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로부터 호평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골목 투어는 5개 코스(제1코스 경상감영달성길, 제2코스 근대문화골목, 제3코스 패션한방길, 제4코스 삼덕봉산문화길, 제5코스 남산100년향수길)로 구성돼 있다. 각 코스마다 주제가 뚜렷하고 체험행사도 마련돼 있다. 체험행사는 투어 곳곳의 실내에서 무더위를 잠시나마 식힐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마련돼 더욱 인기다. 지난 18일 제2코스 근대문화골목 투어에 참여한 라이언(21· 미국 버지니아대)씨는 “투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역사적 관계를 알게 됐다”면서 “빌딩 숲속과 역사적 공간이 조화롭게 이뤄져 있어 대구의 성장과 발전상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해설사의 유창한 영어 실력에 놀랐다. 한국의 역사와 대구의 역사를 모르는 외국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고 했다. 같은 날 골목투어에 참여한 봉백초라나이(21·여·캄보디아)씨도 “3·1운동 벽화를 인상 깊게 봤다. 내가 한국의 중요한 역사 현장에 와있어 너무 놀라웠다”고 전했다.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골목투어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면서 하루 평균 100∼200명 이상의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근대 골목 투어는 지난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네 차례나 ‘한국 관광 100선’에 뽑혔다. 또 2015년 ‘한국 관광의 별’ 선정에 이어 2023년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로컬 100(지역문화 매력 100선)’에도 포함되는 등 여러 곳이 관광명소로 이름을 올렸다. “새로운 생태계 조성과 상권 활성화 온힘” 인/터/뷰 이준호 동성로 상점가 상인회장 “동성로 관광 특구 지정 1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합니다.” 지난 2020년부터 동성로 상점가 상인회를 이끌어 온 이준호(57) 회장의 말이다. 그는 쇠퇴한 상권을 되살리고 상인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꾸준히 활동해 왔다. 이 회장은 “대구에서 처음으로 지정받은 동성로 관광 특구는 사업 초기 순조롭게 진행됐지만, 현재는 조금 주춤한 거 같다”며 “스마트폰을 예로 들며 앱의 부족한 콘텐츠를 채워 나가야만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그 과정이 미흡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구청과 동성로 상인회는 기반을 열심히 만들었고, 현재 사업의 일부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콘텐츠를 잘 만드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특구 전담 인력 및 예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콘텐츠 개발로 동성로 활성화의 가능성을 엿보기도 했다. 관광특구 지정 이후 첫 동성로 축제가 ‘파워풀페스티벌’과 연계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냈다. 또 동성로 상권 및 관광 활성화를 위해 ‘동성로 놀장 축제’를 지난 5~6월 총 네 차례 시범운영을 했었다. 축제는 시민들 호응에 힘입어 소위 대박이 났다. 동성로 놀장 축제는 오는 12월까지 ‘동성로 보행자전용도로(CGV 한일~동성로28아트스퀘어~관광안내센터)’의 약 300m에서 매주 주말 오후 1시부터 밤 9시까지 열린다. 이 회장은 “이 거리는 평소 밤 8시가 넘으면 상점이 문을 닫아 껌껌했지만, 야간 조명을 밝히고 먹거리와 볼거리, 체험 등 행사가 열려 밤늦은 시간까지 사람들로 넘치는 거리로 탈바꿈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외국인 관광객뿐만 아니라 유학생, 이주 노동자, 구미, 경산 등 손님들이 대경선과 대중교통을 이용해 동성로를 찾는다는 걸 체감하고 있다”면서 “동성로의 쇼핑거리를 탈피하고 보행자 전용 도로를 활용해 안전하고 다양한 볼거리를 즐길 수 있는 관광지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상인들과 불법 간판, 주차 등 환경 개선을 이어갈 방침이다. 4년째 장기표류 중인 대구백화점 본점 매각에 대해선 “건설 경기가 활성화되면 당연히 매각될 것이다. 하지만 개발 과정에서 철거와 신축을 하게 되면 약 5년가량 동성로는 공사판이 될 것”이라면서 “대구시 등이 인수해 공익적인 용도로 이용되는 것이 제일 좋은 방안”이라고 했다. 끝으로 이준호 회장은 “관광특구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동성로의 새로운 생태계 조성과 상권 활성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

2025-07-21

동해에 최적화된 돌김 품종 개발, 어촌 새 수익 모델로 육성

높은 파도, 급한 경사의 해안선, 영양염류(질소, 인)의 부족, 계절에 따른 극심한 수온 변화까지…. 동해는 김 양식장이 들어서기에 불편한 조건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갯벌에서 공급되는 풍부한 유기물질과 다도해 섬들이 천연 방파제를 형성해 파도에서 자유로운 환경을 배경으로 일찍이 양식장이 번창한 서해, 남해와는 대조를 이룬다. 그렇다고 동해에서 김 재배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삼국사기 연오랑세오녀 편엔 2세기 경 김(해조류) 채취와 관련한 기록이 보이고,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구룡포에서 암해태(岩海苔)를 장려했다는 문헌도 나온다. 울릉도 죽암리에서 겨울철 한철 생산되는 돌김은 이미 식도락가들의 ‘Must Eat’ 필수템이 되어 있기도 하다. 김 양식업 위기가 현실화되는 가운데서도 어민 고소득 품목에 돌김 등 해조류들이 부상함에 따라 경북도에서도 지역 특성에 맞는 돌김 종(種)을 규명하고 양식 시설을 구축해 소득 작목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2024년 ‘육상김양식 개발연구’ 수립 포항·영덕등 자생 김 품종 종묘 육성 흥해 자생 ‘둥근돌김’ 유력 후보 중 하나 연안 양식 보다 스마트양식장에 무게 김양식 기술 성공 땐 민간·식품사 이전 글 싣는 순서 ① 바다에서 육지로, 김 산업의 변화 ② 국내 스마트 김 양식장 현장을 가다 ③ 일본 김 양식장 세노수산 취재기 ④ 세노수산의 돌김 양식 성공 비결 ⑤ 경북도의 육상 김 양식 기술 개발 □ 2024년 ‘육상 김양식 연구 계획’ 수립… 첫걸음 경북도는 스마트 양식장 등 김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해 2024년 ‘육상 김양식 기술개발 연구 계획’을 수립했다. 또 5억 원을 들여 지역 특성에 맞는 종(種) 배양 시스템 구축에도 나섰다.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경북도수산자원연구원은 지역 특성에 맞는 종자를 채취한 후 배양 테스트를 거쳐 양식장 활성화 및 기술 표준화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도수산자원연구원은 국립수산과학원과 전북도, 전남도, 삼척시 등 자치단체와 풀무원, 대상 등 기업연구소를 대상으로 김 양식 현장 조사를 벌이며 세부 전략을 다듬고 있다. 경북도가 특히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울진, 영덕, 포항, 경주, 울릉 등 경북 동해안 지역에 서식, 자생하는 돌김의 품종을 분석하는 일이다. 옛날 문헌에 동해안 지역에 돌김이 다수 자생했다는 기록이 보이고, 실제로 지역별로 독특한 품종들이 많이 관찰되고 있는 만큼 종자를 복원시켜 이를 숙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도는 현재 해안가의 자생 김 채취는 ‘가내(家內) 어업’ 형태에 머무르고 있지만 그 ‘전통어업’에서 경북도 김 양식의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현지답사 외에도 해조류와 관련된 고문헌들을 조사하며 지역 돌김 양식의 채취지역, 품종, 유통 등 전반을 들여다보고 있다. □ 동해안 환경, 영양 수온, 식생에 맞는 품종 개발 그동안 서, 남해안의 김 샘플에 집중해 온 경북도는 최근 들어서는 경기도와 경북 동해 지역의 돌김 종자를 주목하고 있다. 남해안과 동해안의 해수 온도와 영양, 여건 등이 차이가 나 서 남해안의 종자를 무조건 들여오는 것은 다소 위험 요소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경북도가 선호하는 종(種)은 ‘긴잎돌김’과 ‘둥근돌김’종자다. 특히 둥근돌김은 포항시 흥해읍 오도리에서 채취된 것이어서 관심도가 더 높다. ‘돌김속’에 속하는 홍조류 일종인 둥근돌김은 이름처럼 둥근 주름이 많고 모란꽃처럼 포개진 형태를 하고 있다. 짙은 보라색을 띠며 크기는 3~10cm 안팎이며 깨끗한 바위 표면에 부착하여 자라는 특성이 있다. 경북도는 위의 두 종(種) 외에도 동해안 환경, 수온, 식생에 맞는 자연산 돌김 종자 확보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현재 ‘해삼먹이생물동(棟)’을 일부 개조해 배양 시스템을 구축하고 종자 배양을 위한 기술 개발에도 들어갔다. □ 원근해 양식서 육상 김양식장으로 방향 전환 경북도는 2년 여 연구 과제를 수행해오면서 시행착오도 여러 번 겪었다. 처음 입안(立案) 단계에선 동해안 연안 및 외해(外海) 양식을 구상했었지만 여러 한계에 부딪혀 계획을 일부 수정했고,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실제, 연근해 양식장을 설치하려면 ‘지주식(支柱式)’이나 ‘부류식(浮流式)’을 선택해야 하는데 수심이 깊은 동해에서 장대를 꽂아 그물망을 설치하는 지주식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스치로폼이나 부표로 그물을 띄우는 부류식도 동해의 파도, 수온 상황에서는 역시 많은 약점이 있다. 경북도는 이런 동해안의자연적인 한계상황 때문에 여러 번 노선을 변경했다. 김 양식 업계와 경북 동해안 어민들 사이에선 그간 다소 에너지가 소모되긴 했어도 매우 적절한 판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경북도의 돌김양식은 육상 김양식, 스마트 양식에 무게가 쏠린다. 이에 따른 대안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지난 회에서 소개한 부안의 ‘지평선 김양식장’같은 스마트양식장이고, 다른 하나는 풀무원처럼 대형 수조에서 김을 생산하는 ‘중성포자방식’이다. 전자(前者)의 경우 바다양식장을 육상으로 옮겨 오는 것이기 때문에 대형시설을 갖춰야 한다. 고집적, 고밀도 방식으로, 상당한 시설 투자는 필수적이다. 수온, 광량(光量), 영양염류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해줘야 하기 때문에 AI, IoT 등 스마트 시설도 갖춰야 한다. 지주식, 부류식의 경우 유묘(幼苗) 확보를 위해 배양을 해야 하며, 이 경우 육묘를 위한 조개류나 굴 껍질을 활용한 패각(貝殼) 배양시설을 따로 갖춰야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풀무원의 예처럼 ‘중성포자방식’을 택할 경우도 육묘 배양을 위한 실험실과 성장 재배를 위한 대형 수조는 필수적이다. 이곳 역시 실내 김 양식을 위한 스마트, IT 환경 설치는 불가결 요소다. 다만, ‘중성포자방식’은 유묘들이 중성(中性)상태에서 스스로 자기 복제를 통해 번식, 성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리사상체 배양실이 따로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 돌김계획 완성되면 민간, 식품회사에 이전 현재 경북도수산자연연구원에서는 유리사상체 배양실을 마련하고 종묘 육성을 위한 패각(貝殼)사상체 시설 설치를 서두르고 있다. 미래양식팀 이영준 팀장은 “내년부터 경북도는 본격적으로 육상 김양식 배양기술 개발과 적합한 모델 확립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의 자체 개발 돌김 품종의 사업화 여부는 2030년 이후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경북도의 3단계에 걸친 프로젝트가 모두 끝나기 때문이다. 모든 과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면 경북도에서 개발한 김양식 기술을 민간에 이전 하고 확보된 돌김 종자를 어가(漁家)나 원하는 식품사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도의 한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100년 동해 어민들을 먹여 살릴’ 우수 김 종자가 개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상국 원장도 “웰빙시대를 맞아 남해의 김이 K-푸드 시대를 열어갔다면 동해의 돌김은 거친 입자를 바탕으로 한 ‘조미(調味) 김’으로 슈퍼푸드의 새 장을 열어갈 것”이라고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인터뷰] 정상원 경북도 해양수산국장 고대사 ‘김 자료’ 첫 등장 지역이 동해 지역 해양에 적합한 종자 육성으로 승부 “우리나라 고문헌에서 김(해조류) 채취에 대한 최초 공간적 배경으로 등장하는 곳이 경북도입니다. 국제 해양산업의 트렌드도 어획 일변도에서 벗어나 기르는 어업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김 역사, 인문학의 태동지인 경북도에서 김 양식에 나선 것은 어쩌면 역사적으로 필연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김 양식 프로젝트를 진두지휘하고 있는 정상원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을 만나 현 상황과 포부에 대해 들어봤다. -많은 해조류 어업자원 중 왜 돌김인가? △한반도 역사에서 김에 대한 자료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곳이 포항이다. 2세기 연오랑세오녀가 바위에서 채취한 돌김, 미역 등 해조류는 근기국에서 널리 유통되고 일본에까지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역사, 인문학적 상징에도 불구하고 지역에서는 김에 대한 역 연구가 소극적이었다. 그 이유는 동해에서 김양식을 추진하는데 많은 핸디캡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침 스마트 김 양식에 대한 연구가 전국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경북도에서도 돌김 연구에 뛰어들게 되었다. -경북도가 육상 김양식 사업에 나선 이유는? △지금 지구촌 해양산업의 트렌드는 어획 중심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해수온 상승과 산성화로 상당수 해역에서 어류 자원이 감소하거나 어장이 이동하고 있다 사물 인터넷(IoT), AI, 로봇 등 스마트 양식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런 흐름을 가속시켰다. 동해는 남해보다 수온이 차고 한·난류가 교차해 양식에 불리한 요인들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저온성 어종이나 해조류에게는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다. -결국 사업 승패를 결정하는 요인은 동해에 적합한 김 종자를 찾아내는 일이 아니겠는가? △2012년에 국립수산과학원이 ‘김 21호’를 개발했다. 생육이 빠르고 고(高) 영양가인데다 병 저항성까지 강해 김산업 확대와 어민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했다. 경북도도 이번 프로젝트의 승부 포인트를 우수한 종자 확보로 보고 있다. 현재 지역에 자생(自生)하는 돌김은 물론 서, 남해안의 종자들까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스마트 김양식, 육상 김 양식에만 집중할 것인가? △동해안의 여러 지형, 생태, 기후, 환경적 요인 탓에 원근해 양식장 설치는 회의적으로 보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외해(外海) 양식장 설치를 포기한다는 건 아니다. 동해와 환경이 비슷한 부산시 강서구 명지동 앞바다에서 ‘명지 김’(일명 낙동김)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고, 동해안에도 후포나 구룡포, 영일만 등에 파도, 풍랑에서 안전한 곳들이 일부 있어 양식장 설치도 여러 대안 중의 하나로 검토하고 있다.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2025-07-20

“로봇·배터리·첨단소재 삼각 구축” 구미시, 산업지도 새로 쓴다

구미시가 로봇·이차전지·첨단소재부품 산업을 3축으로 한 첨단산업 전략을 본격화하며 미래 제조업 중심 산업도시 경쟁력 제고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과 탄소중립 기조에 대응하고, 침체된 제조업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AI 기반 자율 제조 △친환경 공정 △스마트 인프라를 핵심으로 첨단산업 육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여기에 에너지 자립률을 높여 제조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로 시민 삶의 질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새정부 국정 기조 맞춰 신산업 구체화 산·학·연·관 협력 로봇산업 생태계 구축 첨단산업 고도화, 방산·항공·우주로 확장 ‘에너지 조례’ 제정 에너지 산업 기반 확대 □ 로봇산업, AI 기반 융합산업 거점으로 구미시는 지난해 7월, ‘AI 첨단로봇 융합도시 구미 비전선포식’을 열고 차세대 로봇산업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이를 계기로 산·학·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지역 로봇 생태계를 구축하고, 로봇산업의 전략적 육성 기반을 다진다는 전략이다. 특히 시는 ‘스마트 이송·물류 자율주행로봇 플랫폼 구축사업(2023~2025, 123억원)’을 통해 자율주행 로봇의 핵심부품 국산화와 성능 고도화에 나서고 있으며, ‘글로벌 로봇 생산거점 지원사업(2024~2026, 15억원)’을 통해 기업 맞춤형 기술개발과 글로벌 진출을 적극 뒷받침하고 있다. 소상공인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봇 보급도 확산 중이다. ‘AI 서비스로봇 보급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에게 방역·서빙로봇 도입 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도서관·과학관 등 공공시설에는 오는 9월부터 안내로봇을 도입해 실증(2025, 4억원)한다. 올해 6월에는 산업부 공모 ‘로봇플래그쉽 지역거점 구축사업(2025, 22억원)’에 선정되며 방산, 이차전지, 신공항 물류 등 다양한 산업과 로봇산업의 융복합 기반을 마련했다. 여기에 제조공정에 AI 기반 로봇장비를 도입하는 ‘AI 팩토리 시스템 개발’ 공모사업에 총 4건, 353억원의 사업비 확보를 목표로 전력을 다하고 있다. □ 이차전지, 소재부터 재사용까지 전주기 생태계 구축 이차전지 분야에서도 구미시는 소재·부품·장비부터 재사용까지 전 주기 산업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LG-HY BCM 양극재 공장 가동을 계기로 연구개발, 실증, 인증 지원, 투자유치 등이 활발하다. 2026년 설립 예정인 ‘이차전지 육성 거점센터(2023~2026, 309억원)’는 원소재, 전구체, 양극재 개발을 위한 물성 및 전지 특성 평가 인프라를 갖추고, 기업의 시제품 제작과 공정기술 고도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사용후 배터리의 재사용과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배터리 활용성 증대를 위한 BaaS(Battery as a Service) 실증기반 구축사업(2023~2027, 271억원)’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준공 예정인 클라우드 서비스모델인 ‘서비스형 백엔드(BaaS)’ 시험실증센터는 사용후 배터리의 안전성·신뢰성 검증 플랫폼을 마련해 배터리 구독형 서비스 등 기업 접근성을 높일 방침이다. 사업 주관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은 센터 준공 이후 대구경북본부를 구미로 확장 이전해 중소기업을 위한 R&D 과제와 맞춤형 지원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또한 ‘AI 기반 사용후 배터리 평가 및 재사용 지원 기반 구축사업(2025~2029, 234억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인 'ESS, 농기계, 무인운반차량 (AGV), 선박 등 모든 분야의 배터리를 진단·평가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게 됐다. ‘AI 자율제조 기반 리튬인산철 (LFP) 수계 전극 제조 통합시스템 개발(2025~2027, 93억원)’ 사업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디지털트윈 기술과 장비 간 자동화 시스템을 접목해 친환경 공정을 개발하고, 고품질 전극 생산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 첨단소재·부품 기술 고도화… 방산·항공우주로 확장 구미시는 소재·부품 산업을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보고 △반도체 △이차전지 △방산 △항공 △우주 등 전략산업에 대응 가능한 기술 기반을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올해 1월 준공한 ‘반도체·이차전지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2022~2025, 244억원) ’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 필수소재인 인조흑연의 특성 평가, 성능 검증, 시제품 제작이 가능한 전주기 실증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와 기업 기술자립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이차전지 장비의 핵심부품인 하이테크 롤의 국산화와 고도화를 위한 ‘하이테크 롤 첨단화 지원 기반 구축사업(2023~2027, 201억원)’도 추진하고 있으며, 첨단화 지원센터가 올해 11월 준공될 예정이다. 방산·항공우주 분야로의 확장도 가속화하고 있다. ‘방산항공우주용 탄소소재부품 랩팩토리 구축사업(2023~2026, 335억원)’으로 2026년 7월까지 센터를 준공하고 고신뢰성 부품 개발과 양산 테스트를 지원한다. 구미시는 이를 통해 첨단소재 기반의 방산·항공·우주 부품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기술 상용화와 시장 진출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방침이다. □ 에너지 자립·복지로 녹색도시 전환 구미시는 지난해 ‘에너지 기본 조례’를 제정하고, 지난 4월 ‘구미시 에너지위원회’를 출범했다. 지역 에너지 전략계획 수립 용역도 올해 내 마무리 예정으로, 에너지산업 기반 확대를 위한 제도적 토대를 마련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2025년 10억원)’을 통해 지난해까지 811개소에 재생에너지를 보급했고, 올해는 10억원의 예산으로 141개소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경제 활성화도 박차를 가한다. 지난해 ‘수소경제 예비수소전문기업 육성지원사업’으로 중소기업 1개사에 지원해 매출 4억 원(57%) 증가 성과를 거뒀으며, 올해는 3억원을 투입해 3개사를 지원 중이다.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지원, 농어촌 LPG 소형저장탱크 보급 사업도 활발하다. 지난해 산동읍, 사곡동 등 5개소에 도시가스 공급관 1,726m를 설치했으며, 내년에는 옥계동 일대 550m 추가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 새정부 기조 맞춘 미래 인재·신산업 기반 마련 구미시는 새정부 국정기조에 맞춰 신산업 구상을 구체화하고 있다. ‘AI 기반 로봇·SW 융합 인재 양성 거점’을 조성해 AI·소프트웨어 인재를 양성하고, 배터리 분야에서는 ‘차세대 배터리 전극제조 장비부품 테스트베드’, ‘수요확대형 배터리 테스트베드 구축’을 추진한다. 이는 에너지·AI·배터리 분야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미래 첨단산업 육성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며 “산업 구조의 대전환 속에서 구미가 첨단산업의 메카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류승완기자 ryusw@kbmaeil.com

2025-07-20

왕실 숲, 천 년의 그늘에서 놀다

■발걸음을 유혹하는 그늘 지금 경주는, 초여름이지만 불볕더위가 기승이다. 땡볕은 대지를 데우고, 숨통마저 조인다. 대지가 토해내는 열기는 걷는 이들을 더욱 지치게 한다. 해는 구름을 허락하지 않고, 마른하늘은 비 한 줄 허락하지 않는다. 점점 느려지는 걸음과 기진맥진한 육신을 가까스로 이끌며 지쳐가던 그때, 멀지 않은 곳에서 나뭇잎이 흔들린다. 이쪽으로 오라는 듯. 사람들은 마치 무언가에 홀린 듯, 한 방향으로 발길을 옮긴다. 누구도 어디로 가는지에 대해 말하지 않았지만, 모두가 같은 길을 따라 걷고 있었다. 태양이 스러지는 경계, 나뭇잎이 엮어내는 짙은 그늘이 앞서 걸어가는 사람들을 조용히 불러들이는 듯했다. 나도 이끌리듯 숲으로 몸을 들인다. 마치 오래전부터 누군가 기다리고 있던 곳에 도착한 것처럼. 바람보다 먼저 다가온 건 그늘이다. 숲은 아무 말 없이 나를 감싼다. 신선한 초록은 눈이 아니라 마음을 먼저 식힌다. 순간, 나는 무언가 오래된 주문에 이끌려 이상한 세계로 들어온 듯한 착각에 빠진다. 탈해 이사금 9년 3월의 봄밤 ‘시림숲’ 황금빛 궤짝 속서 걸어나온 사내아이 김씨 왕통 시조 ‘김알지’의 신화 간직 아름드리로 서 그늘 내리는 숲 어귀엔 신화의 기록 증명하는 표지석이 반겨 숲 끝자락서 이어지는 신라 궁전 월성 첨성대·대릉원 봉분들 한눈에 보이는 성터 능선서 옛도심 정취 가슴에 담아 ■신화의 문턱이 된 계림 대지의 열기 위에 오직 숲만 살아 있는 듯하다. 숲은 천 년의 신화가 여전히 꿈틀대는 듯, 싱그럽다. 나무들은 말없이 나를 받아들이고, 나는 비로소 숲에 섞여 든다. 마치 오래전부터 이 숲을 알고 있었던 사람처럼. 계림숲, 나무들은 모두 아름드리로 서서 그늘을 내리고, 한 줄 빛이 스치면 그늘 속에 몸을 숨긴 사람들도 그림자를 드리운다. 숲 사이로 한복을 차려입은 한 무리 앳된 청춘들이 지나가고, 신라 복장을 한 외국인들도 숲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며 각자의 모습을 담는다. 여러 나라 언어가 자유롭게 스쳐 가는 숲 사이로, 천 년의 시간을 건너온 바람은 오래된 나뭇가지부터 흔든다. 숲 어귀에 다다르니, 가장자리 나무 아래 커다란 표지석이 서 있다. ‘계림(鷄林)’이라 또렷이 새겨진 표지석이다. 무심히 서 있는 듯한 돌은 이 숲이 언제, 어떤 전설로부터 시작된 이름임을 증명하고 있는 듯하다. ‘계림’이라는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신화와 기록‘이 포개진 이름이다. ■계림에서 시작된 김 씨 왕통 ‘삼국사기’ 권 1 신라본기 제1 탈해 이사금 조나 ‘삼국유사’ 권 1 기이편 제2 김알지(金閼智) 설화 조에는 ‘김알지 신화’가 기록되어 전해진다. 두 기록을 간추려 이야기로 재구성해 보면 다음과 같다. 탈해 이사금 9년(65년) 봄 3월, 밤이었다. 서라벌 들판은 바람조차 멈춘 듯 고요했고, 금성 서쪽 시림(始林)의 숲은 어둠 속에 잠겨 있었다. 그날 밤, 왕은 어떤 소리를 듣고 잠에서 깼다. 창 너머 어딘가에서 닭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단순히 새벽을 울리는 닭 울음이 아니었다. 울음은 금성의 중심에서 서쪽 숲 끝자락까지 뻗어 나갔고, 왕의 가슴을 두드리며 파고들었다. 왕은 흘려듣지 않았다. 이튿날 새벽, 궁중 신하 호공에게 명을 내려 시림을 살피도록 했다. 호공은 시림으로 들어갔다. 칠흑 같은 새벽, 나무들이 웅크린 채 잠든 시림의 깊은 곳으로부터 짙은 어둠 사이로 환한 빛이 새어 나왔다. 자줏빛 구름이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꽂히고, 빛 안에 황금빛 궤 하나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다. 그 아래에는 흰 닭 한 마리가 요상하게 울고 있었다. 빛은 궤에서 쏟아졌고, 숲은 그 빛을 기꺼이 받아내고 있었다. 호공은 숨죽여 궤가 있는 곳으로 다가갔다. 마치 신의 계시 같았다. 소식을 들은 왕은 직접 숲으로 향했다. 그리고 나뭇가지에 매달린 금빛 궤짝을 조심스레 내려 열었다. 그 안에는 어린 사내아이가 곱게 누워 있었다. 왕을 보자 아이는 놀랍게도 몸을 일으켜 궤 밖으로 나왔다. 얼굴은 단정했고, 기이하리만치 용모가 빼어났다. 왕은 숨죽인 채 아이를 바라보았다. 곁에 있던 신하들도 모두 숨을 죽였다. 왕은 이윽고 조용히 말했다. “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내린 아들이 아니겠는가.” 아이는 곧 궁으로 들어와 왕의 손에서 자랐다. 자랄수록 총명하고 영특한 아이였다. 왕은 ‘어린아이’를 뜻하는 ‘알지’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또한 금빛 궤에서 나왔기에 성을 ‘김(金)’이라 삼았다. 원래 성스러운 숲이란 뜻의 ‘시림’은 이후 흰 닭이 울던 숲이라 하여 ‘계림(鷄林)’으로 불리게 되었다. 탈해 이사금은 하늘이 내려준 아이라 여긴 알지를 태자로 삼았지만, 그는 끝내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그러나 김알지로부터 여섯 대를 내려가, 마침내 김미추가 신라 제13대 왕으로 즉위하면서 김 씨 왕통이 실현되었다. 계림숲 안에 자리한 봉분은 신라 17대 왕 내물마립간의 무덤으로 전해진다. 김 씨로서 두 번째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이때부터 신라 왕권은 김씨 세습의 형태로 이어졌고, 계림은 기원이 숨 쉬는 상징의 숲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신화의 뿌리에서 궁성으로 계림숲의 끝자락에서 그늘을 빠져나오면 천 년 전 신라 궁성이었던 월성의 흙 능선이 모습을 드러낸다. 낮은 언덕을 따라 성터의 능선은 부드럽게 펼쳐진다. 파사왕 22년에 쌓은 이곳은 한 왕조의 정치와 제사의 중심이었다. 지금은 땅속 깊이 잠든 유적 발굴이 한창이다. 탐방로 초입에는 신라의 얼음을 품었던 석빙고가 숨어 있고, 그 주변엔 수백 년을 산 듯한 소나무들이 바람결에 몸을 맡긴다. 월성 능선에 오르면 숲과 도시가 함께 눈에 들어온다. 첨성대의 단아한 모습과 대릉원의 봉분들이 서라벌 가운데 불쑥 솟아오르고, 그 아래로 경주의 옛 도심이 아득하게 펼쳐진다. 이 풍경은 임금이 거닐며 나라를 생각했을 풍경이고, 지금은 여행자가 발걸음을 늦추며 숨을 고르는 자리다. 바람은 언덕을 타고 흐르며 계림에서의 전설을 이 언덕에도 조용히 건넨다. 계림이 신화가 시작된 곳이라면, 월성은 신화가 몸을 이루고 살았던 자리다. 나무 아래서 깨어난 알지가 궁궐을 품은 이 언덕을 올려다보았을 것이다. 전설이 삶이 되고, 숲이 성이 되는 흐름 속에서, 이 두 곳은 결코 나뉠 수 없는 곳이다. 지금도 숲은 왕의 숨을 기억하고, 성터는 나무들의 속삭임을 듣고 있을 것이다. 계림과 월성은 서로의 시간 속을 비추며, 신라의 심장을 오늘까지 이어오고 있었다. ■천 년의 그늘에 잠시 계림숲은 겸허하다. 위대한 전설이 태어난 자리였다 해도 무엇 하나 화려하거나 거추장스럽지 않다. 그저 나무들이 사람을 맞고, 겸손한 모습으로 그늘을 내어주는 공간일 뿐이다. 어디선가 새 한 마리가 높이 날아오르고, 청솔모가 나뭇등걸을 타고 사라진다. 바람이 이파리를 뒤집을 때마다 숲은 눈부시게 반짝거린다. 한 그루 나무 아래서 잠시 걸음을 멈춘다. 신비한 느낌이 감도는 나무다. 수령이 무척 오래된 듯한 나무는 속을 훤히 비우는 중이고, 곧 소멸하려는 자세로 세상을 응시하고 있다. 문득 김알지의 궤가 걸려 있던 나무가 아니었을까. 아니면, 알지의 탄생 빛을 가장 먼저 목도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나무에게 물어보고 싶다. 그날 어린 사내아이를 기억하느냐고. 황금 궤가 걸려 있던 장면이 스친다. 흰 닭이 울었다는데 멀지 않은 어디선가 지금도 들리는 듯하다. 나무 곁으로 조금 더 다가선다. 오랜 세월을 견디느라 힘든 기색이 역력한 나무에 손을 올려 본다. 파르르 떨며 그날의 이야기를 하려는 듯하다. 누군가는 이 숲을 지나가며 자신의 기원을 되새겼을 것이다. 알지 역시 그렇게, 땅 위에 남겨졌을 것이다. 숲의 경계에 다다랐을 때 시야가 훤히 열린다. 나무 그늘은 물러서고 너른 벌판 위 첨성대가 보인다. 그리고 멀지 않은 곳에 월성 언덕 능선이 그림처럼 이어진다. 계림은 전설의 첫 장이었고, 월성은 그 이야기가 머문 궁성이었다. 숲을 벗어나 성 능선에 올라선다. 성안의 바람은 숲보다 더 깊고, 침묵은 더 낡은 결을 품고 사람들을 맞는다. 언덕 위에 서니 경주가 한눈에 들어온다. 이 모든 시작이, 방금 지나온 계림의 그늘 속에 있었다.

2025-07-16

‘장사리 마을 숲’이 기억하는 그날의 기억

파도는 언제나 그 자리를 잊지 않는다. 동해의 먼바다 물결이 장사 해변에 부딪히는 파도 소리를 들으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먼바다 수평선이 하얗게 열려 있었고, 내 앞엔 그날의 기록이 무연히 남아 있는 전승 기념관이 해변의 얕은 바다에 홀로 떠 있었다. 그리고 그 해변에는 바다를 향해 절규하고 있는 듯한 전몰 용사위령탑이 발길을 붙들었다. 풍경은 단지 추모의 대상이 아니라, 시간의 갈피 속에서 되풀이되는 한 민족의 기억이자 울림의 아픈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이었다. 1950년 9월 새벽 동해안 장사리 해안 장사상륙작전에 참여한 학도병718명 139명 전사… ‘우국 청년의사’로 불려 그 바다는 한민족의 아픈 역사로 남아 2009년 천연기념물 지정 ‘도천마을숲’ 400년 전 ‘마을 보호하는 숲’으로 조성 정월대보름땐 마을 평안 기원 당제 등 마을 공동체 중심, 세월 품은 공간으로 장사상륙작전은 1950년 9월 14일 새벽 4시, 마침내 동해안의 장사리 해안에 정박한 문산호는 나이 17~19세 고등학생, 정식 군번도 계급도 없는 대부분 대구, 밀양에 거주하는 고등학생으로 편성된 학도병 718명을 태우고 있었다. 그들은 단지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우국충성심 하나로 총을 들었고, 악천후 속에서도 상륙을 감행했다. 정규 군대가 아닌 청소년들은,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최전선으로 내몰렸다. 그러나 그들은 포기하지 않았고, 무려 4일간 고지를 사수하며 북한군의 보급로를 끊어냈다. 작전이 성공함으로써 인천상륙작전은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 단순한 전술적 성공이 아니라,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결정적인 계기였다. 그러나 그 대가는 139명이 전사하고 92명이 부상, 수십 명이 행방불명되었다. 그들은 누구의 아들이자 친구였으며, 이름 없이 스러진 ‘우국 청년의사’라는 칭호로만 남았다. 그들의 넋이 아직도 바다를 감돌고 있는 듯, 하늘과 바다의 경계에 눈을 두고 한참을 서 있었다. 바다에는 젊은 청소년들이 해수욕을 즐기고 송림 아래에서는 나이 드신 피서객이 조용히 시원한 바닷바람을 쐬고 있었다. 문득 해수욕을 즐기는 청소년들과 전쟁에 희생된 학도병들의 얼굴과 겹쳐 보였다. 지금의 평화는 그때의 희생 위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다시 한 번 위령탑에 고개를 숙이고 그들의 희생을 숙연한 모습으로 오랫동안 묵념을 했다. 이곳 해변에서 조금 떨어진 도천리 마을, 그곳에는 2009년 12월 30일 천연기념물 제514호 면적 1만9064㎡로 지정된 도천마을숲이 있다. 400년 전 조성한 마을 숲은 바다에서 목숨을 내던져 나라를 지켰던 장사리의 기억과는 달리, 이곳은 시간을 지키고 공동체를 품어온 마을 숲이었다. 도천숲은 마을이 처음 생길 때 조성되었다고 전해 오고 있다. 앞산의 뱀 머리 모양이 마을을 해친다는 풍수적 해석에 따라, 이를 막기 위한 비보림(裨補林)으로 숲을 조성했다고 한다. 숲은 자연의 방패로 바람과 액운을 막는 신령의 집이었다. 주민들은 나뭇가지 하나 꺾지 않았고, 바람에 부러진 나뭇가지 하나도 가져가지 않았다. 불어오는 바닷바람을 두려워하며 숲에 예를 다했다. 나무 한 그루, 돌 하나까지도 살아 있는 존재로 여기던 주민들의 마음속에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한다는 오랜 철학이 뿌리내려 있었다. 정월 대보름, 숲속 당집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당제가 열린다. 다른 마을과는 달리 마을 청년들이 모두 참여하고, 다른 곳으로 떠날 때는 제당에 들러 인사를 하고 떠난다. 숲은 단지 녹색의 공간이 아니라, 공동체의 중심이었다. 그들은 삶을 자연에 의지했고, 자연은 그들에게 응답했다. 지금은 줄어들었지만, 한때 숲은 산기슭에서부터 하천을 따라 남쪽 국시당들까지 이어졌고, 이 울타리 덕분에 도천리는 영덕 제일의 부자 마을로도 이름을 날렸다. 지축을 흔드는 전쟁 때도 도천리 숲은 마을을 숨기고 주민의 안녕을 품었을 것이다. 숲 안에는 삼베를 삶던 ‘삼굴’이라는 남한 유일의 구조물이 남아 있다. 조상의 손길이 담긴 노동의 자취, 땀방울이 스며든 생명의 흔적. 숲은 단지 눈으로 볼 수 있는 풍경이 아니라, 조용히 귀 기울이면 들려오는 역사였다. 나무 데크가 깔린 숲길을 걸었다. 발밑에서 들려오는 나무의 숨결, 머리 위로 퍼지는 녹음의 향기. 어느새 말없이 자연에 감싸여 있었다. 느티나무, 이팝나무, 말채나무, 회화나무, 팽나무 등 숲은 수백 년 된 노거수로 가득 차 있었다. 숲속 당집은 단정하게 기와집으로 돌담에 둘러싸여 있었다. 2006년 제7회 아름다운 숲 전국 대회에서 마을 숲 부분 장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해양 문화와 내륙 문화가 연계된 융합의 독특한 문화를 향유하면서 마을 주민들의 안녕과 건강을 담보하고 있었다. 문득, 폐교된 도천국민학교의 교문 곁에 서 있는 히말라야시다 한 그루가 눈에 들어왔다. 1960년 개교와 함께 심어진 나무는 1994년도에 폐교되었지만, 지금도 굳건히 자라고 있었다. 아이들은 떠났지만, 나무는 남았다. 그것은 기다림이자 기억이었다. 나무 옆에 세워진 교적비가 말해 주고 있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의 평화와 일상은 얼마나 많은 이들의 이름 없는 땀과 희생, 지혜와 인내 위에 놓여 있는가. 바다는 기억하고 숲은 품었다. 그 둘이 있기에, 우리는 오늘을 살아갈 수 있다. 장사리의 바다와 도천리의 숲. 하나는 격렬한 희생의 장소이고, 다른 하나는 조용한 보전의 터전이다. 그러나 이 둘은 모두 ‘공동체’를 위한 헌신이었다. 앞서간 이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후대의 평화는 없었을 것이다. 무너진 뿌리를 회복하지 못한 마을은 더 이상 공동체로 남을 수 없었을 것이다. 두 장소는 대척점에 있는 듯하지만, 본질은 하나다. 바다는 나라를 지키기 위한 외적 헌신의 장소였고, 숲은 마을을 지키기 위한 내적 보전의 상징이었다. 바람은 장사리에서 울고, 나무는 도천리에서 속삭인다. 그리고 모든 것을 듣고 전하는 이들은 바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다. 역사는 전쟁과 평화, 파괴와 창조, 죽음과 삶이 공존하는 모순의 기록이다. 그러나 그 속에서도 반드시 지켜야 할 가치는 존재한다. 그것은 ‘기억’이다. 장사리의 젊은 넋들을 기억하는 일, 도천리의 숲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일, 이 모두가 우리가 이 땅 위에서 누리는 자유와 평화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일 것이다. 오늘 장사리 해안의 시원한 바람을 등에 지고 도천숲 그늘에 잠시 쉬어 간다. 그 어느 곳보다 고요하고, 그 어느 곳보다 숭고한 두 장소가 전해주는 말 없는 가르침 속에서, 다시 나의 일상으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나 또한 이 땅에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누군가의 기억이 되고, 누군가에게 이어질 지혜의 숲이 되기를 소망하면서 아내와 함께 평화가 깃든 시골 전원주택으로 향했다. 장사상륙작전은… 6.25 전쟁 교착상태 타개를 위한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을 성공하기 위한 양동작전으로 실제 상륙지역인 서해안 인천의 반대편에 있는 동해안 장사리 해안을 기습 상륙을 감행함으로써 적으로 하여금 상륙지역을 오판하도록 하여 경인 지역으로 병력 증원을 방지하고, 북한의 수뇌부와 적들의 주의를 동해안 지역으로 집중시키고, 아울러 낙동강 전선에서 방어 중이던 국군 3사단이 포항 남쪽에서 반격을 개시할 때 적의 후방을 교란하여 적의 진로를 차단하며, 아군의 전진로를 계척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1950.8.24 대구, 밀양에서 772명(대다수 학생) 대원 모집 8.27 육군본부 직할 독립 제1유격대대 창설(편성) 8.27~8.30 밀양에서 훈련 9.10 육군 작전명령 제174호 출동 명령 하달 9.13 오전 출정식(부산 부두, 육군참모총장 정일권, 국방부 장관 신성모 참석) 9.13 14시 LST 문산호 부산항 출발 9.14 04:30 장사 해안 도착 9.14 14:50 상륙 성공, 적의 주 보급로 포항 영천 방면 국도 완전 차단. 적군 후방 활동 마비. 적 2개 연대, 전차 4대 영덕 방면 유인 장사상륙작전 당시 평양방송. 유엔군 2개 연대 동해안 상륙 보도. 육군본부에서 “우국 청년의사”라고 칭호.(육군 교보 제13840호 1952.12.27) 미군 군사전문가들조차 성공 확률 5000분의 1로 점치며 만류했던 20세기 마지막 상륙작전인 인천상륙작전에 성공케 만든 장사상륙작전은 경주, 부산을 사수하고 서울을 수복하는 6․25전쟁의 전세를 역전시키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였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2025-07-16

은어물회·튀김에 불향 가득 화로구이까지! 은어 맛 ‘대향연’

무더위를 시원하게 잡을 봉화군의 ‘봉화은어축제’가 관광객을 맞는다. 오는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내성천 일원에서 열리는 제27회 봉화은어축제는 ‘여름잡은 봉화, 입맛 잡은 은어!’라는 슬로건 아래 한층 풍성해진 프로그램으로 돌아왔다. 축제의 문을 여는 개막식은 26일 오후 1시 내성천 수변 특설무대에서 펼쳐진다. 봉화군의 지명성을 담은 특별 제작 ‘봉화대’를 통해 고대 봉수대의 불빛 재현과 동시에 오색 연막 퍼포먼스로 축제의 시작을 강렬하게 알린다. 특히 올해 축제는 다채로운 체험과 먹거리, 전통시장과의 상생 프로그램까지 더해져 역대급 축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글로벌 세대를 아우르는 공연부터 참신한 체험,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미식 콘텐츠까지 다양하게 구성해 한여름 내성천 일대를 문화·미식·체험의 장으로 탈바꿈시킨다. 또한 기록적인 폭염 속에서도 방문객들이 쾌적하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대형 천막 쉼터와 그늘막, 실내 놀이공간 ‘힐링스테이션’, 루프트러스 구조의 ‘딜리버리존’ 등 시원한 휴식 공간도 곳곳에 마련된다. 반두잡이·맨손잡기 매일 펼쳐져 연예인 전통시장 돌며 분위기↑ 청년창업가들 주류 부스 선보여 ‘10초 구이’ 눈맛·입맛 사로 잡아 최우진·김다현 등 화려한 개막쇼 27일엔 ‘1회 봉화 글로벌 가요제’ 지역 문화예술인들 야간공연도 △ 반두‧맨손잡이와 은어로드 챌린지 등 아찔한 모험 대기 중! 올해 은어축제는 기존 인기 프로그램과 더불어 새롭게 기획한 프로그램을 대거 도입해 무더위를 잊게 할 다채로운 즐길거리를 선사한다. 은어 반두잡이와 맨손잡이는 축제기간 동안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하루 3~4회 운영된다. 체험비는 1만 2천원이며, 현장 결제 시 5천원 상당의 봉화사랑상품권이 환급된다. 온라인으로 사전 예매를 하면 현장보다 저렴한 1만원에 이용할 수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입장권과 연계한 패키지 체험권(1만 3천원)도 온라인과 현장에서 모두 구매 가능하다. 축제 시그니처 프로그램인 반두잡이와 맨손잡이 경기도 다채롭게 준비하고 있다. 7월 27일에는 외국인 관광객 대상 글로벌 반두잡이 ‘캐치미이프유캔’ 대회가 열리며, 28일부터 8월 1일까지는 봉화군 내 기관들이 경쟁하는 ‘은어 챔피언십: 연대의 전쟁’ 토너먼트가 진행된다. 8월 2일에는 사전 접수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한 전국 반두·맨손잡이 선발대회가 개최되어 물속에서의 진정한 승부를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해 큰 호응을 얻은 ‘퐁당! 어린이 워터파크’와 ‘내성천 모래놀이장’ 외에도 올해는 내성천을 가로지르는 외나무다리를 건너는 ‘은어로드 챌린지’와 대형 천막 아래 어린이 쉼터이자 실내 체험 공간인 ‘은어 힐링스테이션’이 새롭게 도입되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난다. △ 골목이 들썩 들썩! 활력 충전 스타마켓투어 & 딜리버리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과의 상생 프로그램도 빼놓을 수 없다. 8월 2일 진행되는 ‘스타마켓투어’에서는 트로트 가수 강혜연과 남승민이 팬클럽과 함께 봉화의 신시장과 구시장을 돌며 상인들과 직접 소통하고 현장 분위기를 띄운다. 전통시장에서 최고의 봉화 산 농산물 등을 구매하는 재미도 쏠쏠할 예정이다. 한편 축제장 내 마련된 ‘딜리버리존’에는 200인치 LED 스크린이 설치돼 주무대 공연이 실시간으로 중계된다. 전용 그늘막과 테이블이 비치된 이 공간에서는 현장에서 주문한 봉화 지역 먹거리를 즐기며 공연을 관람할 수 있어 무더위 속에서도 편안하게 축제를 만끽할 수 있는 특별한 관람존으로 기대를 모은다. 지역 청년 창업가들이 운영하는 주류 판매 전용 부스도 새롭게 운영된다. 이 공간은 오전 10시부터 자정까지 문을 열며, 특히 밤 10시 이후부터는 야간 피서와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전환되어 늦은 시간까지 축제를 즐기는 방문객들에게 시원한 쉼터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체류 시간을 자연스럽게 늘리고 지역 상권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불향 가득 10초 은어구이부터 은어물회까지, 은어 맛 대향연 축제의 입맛을 책임질 대표 먹거리도 한층 강화됐다.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봉화대 10초 은어구이’는 달궈진 화로 위에서 단 10초 만에 구워내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식감을 자랑하며 관광객의 입맛과 눈길을 동시에 사로잡는다. ‘바삭! 은어 튀김장터’도 축제장 한편에 마련되어 지역 상인들이 직접 튀긴 은어 튀김을 맛볼 수 있어 더욱 풍성한 미식 체험을 선사한다. 이와 함께 대형 식당에서는 구이와 튀김은 물론 은어무침, 은어물회와 같은 새롭고 참신한 은어요리를 선보이며 축제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여름철 별미를 제공할 예정이다. △ 은빛 은어 물결 타고 울려 퍼지는 밤의 선율, 장르별 테마 공연 축제기간 동안 한여름 밤을 수놓을 음악과 퍼포먼스가 매일 밤 특설무대에서 펼쳐진다. 7월 26일 오후 8시 최우진, 김다현, 라잇썸, 김연지(씨야), 윤민수 등 인기 아티스트들이 출연하는 개막 축하공연이 화려한 포문을 연다. 이어 27일 오후 7시 30분에는 제1회 봉화 글로벌 가요제가 개최되어 전국에서 모인 재한 외국인 12명이 총상금 1,250만 원을 놓고 한국어 노래 경연을 펼친다. 이와 함께 울랄라세션, 박서진, 장예주가 축하무대에 오르며 축제를 국제적인 문화축제로 한층 끌어올린다. 28일과 29일에는 ‘봉화 예술인의 밤’과 ‘오! 은어 실버나잇’ 등 지역 예술인들의 공연이 있다. 30일에는 어린이 전용 ‘캐치! 티니핑 싱어롱쇼’에 이어 딜리버리존에서 ‘창현의 거리노래방’으로 무대를 꾸며 야간 관광 수요에도 적극 대응한다. 31일에는 김성수(쿨), 김원준, 채연, Ref, 노이즈가 펼치는 ‘레전드 물벼락쇼’가 무대를 뜨겁게 달군다. 8월 1일에는 이짜나 언짜나, 브브걸, 싸이버거, DJ 박명수가 참여하는 ‘은어 워터비트나이트’, 8월 2일에는 오유진, 유지우, 강혜연, 남승민이 꾸미는 ‘은어 트롯트레인’이 이어진다. 축제의 대미는 8월 3일 양지은, 신승태, 류지광, 소유미, 서지오, 강승연, 강예슬, 이미리가 출연하는 폐막축하공연과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낙화놀이’가 장식한다. 올해 처음 선보이는 ‘낙화놀이’는 불꽃이 떨어지는 환상적인 퍼포먼스로 여름밤을 감성적으로 물들 일 것으로 보인다. 박현국 봉화축제관광재단 이사장(봉화군수)은 “올해 봉화은어축제는 체계적인 기획과 다채로운 콘텐츠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축제로 준비했다.”며 “여름의 정취를 만끽하러 백두대간 봉화로 오신 모든 분들께서 시원한 휴식과 특별한 추억을 맘껏 누리고 만들어가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봉화군은 축제 개막에 앞서 모든 현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 매뉴얼 숙지와 응급 대응 교육을 철저히 실시하고, 얼음조끼와 쿨링타월 등 온열질환 예방 물품을 필수로 비치하는 등 관광객과 운영진 모두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 /박종화기자 pjh4500@kbmaeil.com

2025-07-16

‘호쿠리쿠 패스’로 기다림 없이… 쾌적한 ‘선더버드 19호’

지난 6월 중순. ‘선더버드(thunderbird)19호’ 기차에 올랐다. 신오사카역에서 쓰루가(敦賀)로 달렸다. 1시간 20여 분이 소요됐다. 한국도 한때, 또는 지금도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 등으로 기차를 호칭했었지. 선더버드도 마찬가지다. 헌데, 조금 더 재밌다. 기차 이름이 ‘천둥새’라니. 북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선더버드’를 고귀한 영혼을 지낸 새로 숭배했다고 한다. 어쨌건. 일본인 특유의 ‘철저한 질서 지키기’ 탓이었을까? 달리는 기차 객실 안에선 전화 통화를 하는 사람도, 통로를 뛰어다니는 아이도, 사소한 이유로 시시콜콜 다투는 승객도 없었다. 깊은 산 속 절처럼 조용한 기차 내부. ‘호쿠리쿠 패스’로 하루 전 미리 예약을 하고 좌석을 배정받았으니, 신오사카역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며 시간을 낭비할 필요는 없었다. 글 싣는 순서: 1. 철도 왕국 일본에서 찾는 ‘지역 관광’의 미래 2. ‘당일치기 여행’ 맞춤 일본 철도 3. 관광으로 인구 소멸 위기 ‘호쿠리쿠’ 살리기 4. 일본 기차 여행의 꽃이 된 ‘도시락’ 5. 울산, 이제는 ‘유잼(U-재미) 도시’다 6. 철도 불모지 경북, 동해선 개통 후 새 역사 시작 7. 이번 역은 “천만관광 해양도시 삼척입니다” 8. 강릉, ‘철도 날개’ 달고 동해안 비상 길지 않았던 기차 여행은 더없이 쾌적했다. 한국의 ITX나 KTX처럼 객실과 화장실 청소 상태도 좋았다. 드문드문 도시락을 먹는 이들이 적지 않았는데, 얼핏 보기에도 향과 맛이 다 괜찮아 보였다. 한자로 ‘돈하(敦賀)’라 읽는 일본의 떠오르는 관광지 쓰루가. 거긴 어떤 도시일까? 짤막한 소개를 ‘위키백과’를 통해 들어보자. “쓰루가시(敦賀市)는 일본 후쿠이현에 있는 도시다. 고대부터 항구가 번성했다. 호쿠리쿠 지방과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위치에 있다. 메이지시대 이후엔 철도를 비롯한 육상 운송수단의 발달로 교통 요지가 됐다. 원자력 발전소가 있고, 다시마가 특산물이다.” ▲나이 지긋한 일본인들 “느린 기차가 낭만적이었지” 선더버드19호 기차는 늦은 오후 쓰루가역에 기자를 내려놓았다. 사전에 파악한 정보가 있으니, 항구 도시의 싱싱한 생선으로 만든 요리와 다시마를 우려내 갓 지은 솥밥을 먹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 없다. 여행자의 즐거움 중 최고는 여행지의 맛집을 찾아가는 게 아니던가. 쓰루가역 앞에 늘어선 식당 가운데 하나를 골라 출입문을 열었다. 70대로 보이는 오너 셰프의 능숙한 칼질을 눈앞에서 볼 수 있는 가게였다. 나중에 알고 보니 업력이 반세기에 가깝다고 했다. 운이 좋았다. 도미 뱃살을 번철에 굽고, 따끈한 일본식 된장국에 찜통에서 요리한 새우, 거기에 생강 줄기까지 갖춘 저녁 정식을 청했다. 한국 돈으로 1만6000원 정도였으니 가격도 비싸지 않았다. 맛? 주절주절 설명할 필요가 없을 듯하다. 그곳에서 식당 주인과 어린 시절부터 친구라는 일본 노인 하나를 만났다. 70대 중반인 그도 혼자서 저녁을 먹으러 온 터였다. 이름은 도토가와 유우지(都外川 勇二). 젊은 시절부터 쓰루가항구를 오가는 배를 수리하며 살았다고 했다. 그는 한국말을 한마디도 못하고, 기자는 일본어를 하지 못한다. 다행히 식당 주인의 딸이 중간에서 소통을 도와줬다.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오갔다. 한국어와 일본어, 영어가 뒤죽박죽 섞인 독특하고 해괴한(?) 인터뷰였다. “나이가 적지 않으신데 독한 일본 소주를 잘 드시네요.” “뭐 그렇지. 험한 일 하는 사람이라 그래. 자네는 어디서 뭘 하러 쓰루가에 왔나?” “한국에서 왔습니다. 일본 철도여행에 관해 궁금해서요.” “그렇군. 나도 어린 시절엔 오사카나 나고야로 아주 느리고 낡은 기차를 타고 다녔지.” “아, 그래요? 그때 이야기 좀 들려주시죠.” “무슨 옛날이야기를... 짧게 오사카 처녀와 연애를 했는데, 50년 전엔 기차가 너무 느렸어. 마음은 벌써 그 여자가 사는 오사카에 가있는데, 이놈의 기차는 더디게만 달리지…. 그래도, 그때가 낭만적이었어. 그나저나 멀리 한국에서 왔으니, 내 술 한 잔 받아.” 오사카에서 쓰루가로 가기 전 또 한 명의 나이 지긋한 일본인을 만났다. 미조하타 히로시(溝畑宏·65). 그는 한국을 수백 번 오고간 일본 내 대표적인 한국통(韓國通) 가운데 한 사람이다. 현재는 ‘공익 재단법인 오사카관광국’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기자가 일본을 찾았던 때는 ‘2025 오사카 엑스포’가 열리고 있던 시기. 나이와는 어울리지 않게 분홍색 문어 인형을 머리에 쓰고 인터뷰에 나섰던 그는 “엑스포 기간에 자연환경이 아름답고, 음식이 맛있으며, 사람들도 친절한 오사카로 많은 한국인이 와주길 바란다”고 했다. 자신이 맡고 있는 직책을 보자면 당연한 부탁이었다. 그런 뻔한 이야기보다 정작 기자의 마음을 찡하게 했던 건 미조하타 이시장의 마지막 말. “일본의 신칸센이나 한국의 KTX처럼 빠른 기차로 오사카 주변의 매력적인 도시를 돌아보는 것 참 좋지요…. 근데, 난 창문을 통해 바깥 풍광을 감상할 수 있는 느린 기차가 더 좋아요”라는. ▲빠르게 달리는 기차를 타더라도, 여행은 여유롭게 어떤 인간도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 한국과 일본이 모두 마찬가지. 그러니 몇몇 노인들이 ‘느린 기차의 서정(抒情)’을 그리워한다고, 일본의 신칸센과 선더버드, 한국의 KTX와 ITX를 멈춰 세우고, 20세기 기차를 가져와 동해선 철로에 올릴 수는 없는 노릇. 바뀐 환경에선 적응이 중요하다. 그러니, 시속 300km의 현란한 속도로 달리는 고속철을 타더라도, 마음만은 관광객 특유의 느긋함을 가지는 게 21세기형 기차여행을 제대로 즐기기 위한 자세가 아닐지. 그런 차원에서 권하고픈 쓰루가의 유용한 여행 아이템이 ‘빙글빙글 쓰루가 버스(くるくる敦賀バス)’다. 한국식으로 쉽게 이야기하면 ‘쓰루가 투어 버스’쯤 되겠다. 역 바로 코앞에 위치한 버스정류장엔 쓰루가시(市) 곳곳의 인기 좋은 관광지만을 효율적으로 연결해주는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한국 돈 5000원가량을 운전기사에게 지불하면 ‘1일 자유티켓’을 사는 게 가능하다. 그것만 가지고 있다면 추가 요금 없이 하루에 100번도 버스를 타고 내릴 수 있다. 1회 승차는 2000원을 받으니, 2~3군데 관광지만 오가도 본전은 뽑는다. 게다가 자유티켓엔 40대 이상 한국 관광객의 추억을 소환하는 ‘은하철도 999’의 주인공 ‘메텔’과 ‘철이’가 프린팅 돼있다. 이 애니메이션의 원작자는 일본 사람 마츠모토 레이지(松本零士). 그 티켓엔 ‘기차로 우리 도시에 와서 흥미로운 장소를 여유롭게 돌아보라’는 여행자를 향한 일종의 은유적 메시지가 담겨있는 것 같았다. 두툼한 참다랑어 회를 얹은 초밥과 어른 손바닥보다 큰 가리비 구이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는 쓰루가 수산시장과 소나무 숲이 아름다운 해변, 호쿠리쿠 지역을 수호하기 위해 축조된 게히신궁(氣比神宮) 등이 이름도 재밌는 ‘빙글빙글 쓰루가 버스’를 타고 돌아본 곳들. 쓰루가가 ‘떠오르는 일본의 신흥 관광지’로 알려지면서 찾아오는 외국인 여행자들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인과 중국인은 물론, 숙소 공동목욕탕에선 인도 첸나이에서 온 단체관광객들을 만날 수 있었고, 늦은 밤 주점에선 저 먼 동유럽의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서 왔다는 청년과도 인사를 나눌 수 있을 정도였다. 그러니, 앞서 언급한 쓰루가의 유명 관광지는 이제 더 이상 ‘나만의 추억’을 머리와 가슴에 새길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어느 곳을 가도 여행자들로 북적이고 있으니까. “그렇다면, 어디를 가봐야 할까?”라는 물음이 이어질 듯하다. 추천한다. 쓰루가 투어 버스를 타고 다소 고적(孤寂)한 동네에 내려 5~10분쯤 걸으면 만나볼 수 있는 ‘미나토 쓰루가 산차회관(山車會館)’이다. 거기가 어떤 곳이냐고? 궁금증이 증폭되면 답을 얻었을 때 만족감이 더 커진다. ‘산차회관’에 대한 소개는 다음 회에.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2025-07-15

3대 걸쳐 돌김 양식 노하우 축적, 세토내해 양식장 ‘평정’

‘전지적 김의 시점에서’ 세노수산 홈페이지에 등장하는 금언(金言)이다. ‘한길 물속은 알아도•••.’ 로 시작하는 한국 속담도 있지만 양식업자들에게 이 ‘한길 물속’은 각자의 수십 년 지식과 경험이 투영되는 공간이다. 수온과 광량(光量), 영양, 염도에 따라 천양지차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육묘 배양에서 수확에 이르는 약 6개월 기간 이 시기 세노수산 직원들의 모든 주파수는 김과 맞춰진다. 김처럼 생각하고 해초처럼 느껴야 대상에 최대한 가깝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9월 본격 육묘 작업, 패각에서 어린묘 배양 매년 2000여장 김발 설치, 연간 10t 수확 수확한 돌김 원형 그대로 건조, 식감·향 일품 양념김·김밥용 김 등 20여가지 가공김 생산 글 싣는 순서 ① 바다에서 육지로, 김 산업의 변화 ② 국내 스마트 김 양식장 현장을 가다 ③ 일본 김 양식장 세노수산 취재기 ④ 세노수산의 돌김 양식 성공 비결 ⑤ 경북도의 육상 김 양식 기술 개발 이렇게 10년을 거듭하면서 세노수산은 자신들 만의 독특한 김양식법을 완성했다. 현재 세노수산의 선진 양식 법은 가와현 뿐만 아니라 인근 혼슈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세노 수산 ‘환자채’(幻紫菜)는 이런 공로를 인정 받아 가사오카시, JR오카야마가 2015년 11월 실시한 ‘제3회 고향 우수식품’에서 ‘고향 살리기 프로젝트 우수상’ 을 받았다. □ 김밥용 ‘스사비놀리’와 돌김 ‘환자채’ 생산 ‘스사비놀리’와 돌김 ‘환자채’ . 세노수산은 두 종류의 김을 생산한다. 스사비놀리는 우리가 ‘판(板)김’이라고 부르는 김밥용 김이고, 환자채(幻紫菜, 뿌려 먹는 김 종류)는 세노수산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돌김이다. 이 두 김은 생육시기가 한 달 정도 어긋나 있어 작업에 여유를 가질 수 있지만, 반대로 공정이 겹칠 때는 양식과 가공을 동시에 할 때도 해야 할 때도 있어 심야까지 작업이 이어질 때도 있다. 세노수산에서 본격적인 작업은 5월에서 9월에 이르는 약 5개월에 집중된다. 먼저 5월이 되면 김망 세척을 준비하기 시작한다. 마당에 김망이 쌓이기 시작하면 본격 어기(漁期)의 시작을 의미한다. 취재진이 현지를 방문했을 때 세노수산 앞 방파제엔 김망이 넓게 펼쳐져 있었다. 세노 유키(妹尾祐輝) 씨는 “깨끗이 씻겨진 김망은 그물에 달린 이물질들을 모두 제거한 후 9월 쯤 인공 채종(採種)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세척이 끝난 김망은 다시 중첩망(重疊網) 작업에 들어간다. 그물의 전체 구조를 살피며 차곡차곡 질서 있게 중첩, 배열해 흔들림이 없도록 단단히 살피는 과정이다. 김망 준비가 끝나고 9월이 되면 본격 육묘작업에 들어간다. 보통 김 씨앗은 패각(貝殼)에서 키운다. 배양된 유엽(幼葉)은 수조로 옮긴 후 양식그물에 활착 시킨다. 김망(그물)이 감긴 수차를 회전시켜 접목 시키는 방식이다. 물레방아가 수류를 일으키면 물결을 따라 씨앗들이 그물에 달라붙게 된다. 유엽 정착이 확인되면 바다로 싣고 나가 그물을 양식장에 펼친다. 수온이 21도 이하가 되면 김망을 해상(海上)에 노출시켜 유엽(幼葉)의 싹을 크게 키운다. 김은 햇빛, 건조에도 강하기 때문에 그물을 오랜 시간 해면 위로 올려도 생장에 지장이 없다. 이 작업을 ‘건출’(乾出)이라고 부른다. 세노수산에서는 매일 새벽 6시부터 이 작업을 계속한다. □ 2000여채 그물에서 연간 10t 이상 김 생산 육묘가 끝난 그물은 일단 냉동 보관했다가 수온이 18도 이하로 내려가면 김망을 해상에 펴는 데 이 작업을 하리코미(Harikomi)라고 부른다. 10월 하순이 되면 ‘단장’(單張)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단장이란 포자가 붙은 김 그물을 한 장씩 낱장으로 바다에 설치하는 과정을 말한다. 세노수산에서는 매년 2000장 정도의 그물을 해상에 펴고 있다. 단장을 끝낸 김망은 약 한 달 후 수확에 들어간다. 육묘, 단장을 끝낸 김망이 성체로 자라 수확을 하는데 1~2개월이 걸리는 셈이다. 완전히 자란 김은 약 10~20cm 정도인데 이것들은 모구리선이라는 전용 선박을 이용해 수확한다. 첫 수확 한 김은 전체 김 중 색채도 좋고 맛이 부드러워 최상의 품질을 자랑한다. 세노수산에서는 이 ‘첫 따기’로 수확한 김을 활용해 각종 가공식품을 생산한다. 타카유키 씨는 “세토내해에서 자란 돌김은 단맛과 씹는 맛이 뛰어나고 특유의 향기와 세토 우치의 풍부한 맛이 꽉 채워져 있다”고 설명했다. 입안에서 부드럽게 녹는 식감도 일품이라, 여러가지 요리에 뿌려 먹으면 음식의 풍미를 좋게 해준다는 것. 11월부터는 수확기의 연속이다. 작황이 좋은 때는 3월 초까지 수확에 이어져 소득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수온이 올라가거나 해류, 영양, PH 등 악조건에 노출되면 12월에 모든 작업이 끝날 때도 있다. 수확한 돌김(환자채)는 원형 그대로 건조시킨다. 그래야 채취 당시 본래의 맛과 향기가 그대로 응축되기 때문이다. 김밥용 김 ‘수사비놀리’는 양식장 근처에 공장으로 직행한다. 가공 목적에 따라 절단된 후 깨끗이 씻어 기계로 탈수, 건조, 박리(剝離) 공정을 거치면 김밥용 김인 판김이 완성된다. 2000여 채 그물에서 생산되는 김(연간 10t)이 워낙 많아 11월부터 3월까지는 가공 공장이 24시간 동안 풀가동을 한다고 한다. 현재 세노수산에서는 판김(김밥용 김), 환자채, 양념김 등 20여가지 가공 김을 판매하고 있다. 맛과 풍미가 워낙 뛰어나 한번 맛을 본 손님들은 대부분 재구매로 이어진다고 한다. [인터뷰] 세노수산 세노유키(妹尾祐輝) 대표 고온 해수에 강한 돌김 개발 특허 준비 최근 열대 어류 급증 양식장 파괴 심각 “옛날에는 그물만 쳐 놓아도 바다가 다 알아서 키워줬지만 환경이 변했습니다. 이젠 어부가 바다에게 묻고 답을 구해야 합니다. ‘어부와 바다의 지혜로운 상생(相生)’, 바로 세노수산이 추구하는 영업 전략입니다.” 조부, 부친 세노 타카유키(妹尾孝之)에 이어 3대째 세노수산을 운영하고 있는 세노유키씨를 만나 그의 김양식 성공 비결에 대해 들어봤다. -고온의 해수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김 종자를 개발했는데 앞으로 계획은? △현재 변리사를 통해 특허 출연 중에 있다. 올해 내로 라이센스를 확보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종묘 상업화, 생산 확대 등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해수 온난화를 극복할 수 있는 종묘로 주목 받으면서 각계 관심이 쏟아지고 있는 건 사실이다. -최근 20 여년 사이 세토내해 김 양식장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고 들었다. △옛날 카사오카 앞바다는지주, 부표가 끝이 안 보일 정도로 김 양식이 성업했었다. 10여년 사이 해수 온도가 올라가면서 폐어가 급증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몇 곳만이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해수 온난화 외에 김 양식을 위협하는 변수는 없나? △해수 온도가 올라가면서 열대어 같은 열대성 어류가 급증하고 있다. 바다 생태계 변화는 전 세계적 현상이니 어쩔 수 없다쳐도 문제는 열대어들이 김을 먹이로 삼으면서 어장이 황폐화되고 있다. 단순히 유엽(幼葉)을 뜯어먹는 차원이 아니라 성체(成體)까지 사냥에 나서며 전체 생산량의 30~40%를 먹어 치우고 있다. 현재 세노수산의 가장 큰 적은 해수 온난화보다 열대어종의 급증으로 인한 양식장 파괴다. -연간 김 생산량은 얼마나 되나? △돌김과 판김(김밥용 김) 전체 생산량은 약 10t 정도 된다. 물고기들이 달려들어 양도 줄고 상품성도 떨어져 걱정이다. 아직은 판김 생산이 80%고 돌김(이와노오리)은 20% 정도다. 자체 생산 공장을 운영하기 때문에 전량 가공식품으로 활용해 사업성이 어느 정도 담보 되는 편이다. -김 생산도 중요하지만 판로 확보도 중요할 것 같다. 환자채(幻紫菜)를 시식해 보았는데 조미를 한 것처럼 맛이 뛰어나다는 느낌을 받았다. △생산, 가공된 김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판매한다. 한 번 먹어본 사람은 상당수 단골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도쿄나 오사카에 있는 온라인 단골들이 휴가나 여행 중에 일부러 가게를 찾아오기도 한다. -현재 한국의 김양식장은 해수온난화로 조업 일수가 20~30% 줄어들고 있다. 일본도 난류로 인한 양식장 피해가 심각하다고 들었다. 어떻게 극복했나. △우리는 조부 때부터 50년 가까이 김 양식장을 경영해왔다. 솔직히 2대까지는 자연이 주는 대로 거두어도 창고가 늘 가득 찼다. 세토내해에도 10여년 전부터 온난화라는 자연 재앙이 일상화 되었다. 다행히 부친 때부터 쌓아온 노하우가 있어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종자를 조금씩 개량해서 위기를 타개할 수 있었다. 특허등록이 완료되면 해외에 종자 수출, 분양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카사오카시에서 한상갑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2025-07-13

산타전망대·친환경 숙박시설 곧 마무리··· ‘체류형 관광지’ 도약

봉화군이 다년간 추진해 온 핵심 문화관광사업이 마침내 완성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군은 체류형 관광도시로의 전환을 목표로, 분천산타마을을 중심으로 한 관광 인프라 확충과 체험형 콘텐츠 개발, 친환경 숙박시설 조성 등 굵직한 프로젝트들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폐교 활용 친환경 숙박시설 조성 카페·회의실·업무 라운지 등 완비 40억 투입 ‘리틀포레스트 봉뜨락’ 체험 기반 어린이 교육시설 활용 분천산타마을, 철도여행 명소 육성 대표적인 사업인 ‘산타전망대’는 마을 경관을 해치던 폐채석장을 활용해 루돌프 썰매 형상의 전망대로 탈바꿈시킨 상징물이다. 이 전망대는 사계절 관광지로 거듭나는 분천산타마을의 상징이자, 방문객 체류 시간 확대를 유도하는 핵심 인프라다. 계절별 체험시설도 꾸준히 보강되며, 마을 전체가 머무르고 싶은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폐교된 분천분교를 리모델링해 만든 친환경 숙박시설은 15실의 객실과 카페, 회의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숲과 어우러진 감성적인 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휴식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숙박을 기반으로 한 관광 수요 확대와 함께, 분천 지역 상권 활성화도 기대된다. 아동과 가족 단위 관광객을 위한 ‘리틀포레스트 봉뜨락’은 실내외 놀이시설과 짚코스터 등 모험 콘텐츠를 결합한 복합 체험공간이다. 아이들의 창의성과 사회성을 길러주는 체험형 공간으로 조성 중이며, 올해 개관을 앞두고 막바지 마무리에 들어갔다. 이와 함께 청소년 문화체험장 연계사업, 경관 드라이브길 조성 등 연말까지 마무리될 다양한 관광 프로젝트들이 추진되고 있어, 봉화군은 관광도시로서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군은 민관 협력을 통한 안정적 운영 기반을 구축하고, ‘누구나 찾고, 살고 싶은 봉화’ 실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현국 봉화군수는 “분천산타마을의 산타전망대, 리틀포레스트 봉뜨락, 그리고 지역특화형 친환경 숙박시설 등 봉화군 핵심 문화관광사업이 모두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연내 차질 없이 마무리 지어 봉화 관광의 내일을 굳건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산타전망대 품은 분천산타마을 봉화군의 대표 관광지인 분천산타마을이 2025년을 맞아 ‘지역다움’을 강조한 변화로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분천산타마을은 사계절 크리스마스를 즐길 수 있는 테마열차 여행지로 알려지며 많은 이들의 발길을 끌어왔다. 분천역을 중심으로 산타를 테마로 마을을 브랜딩하면서 지역주민과 봉화군, 경상북도, 코레일, 산림청이 함께 협력해 철도여행의 명소로 성장시켜왔다. 최근에는 분천산타마을을 테마형 관광지로 확장하기 위해 사계절썰매장, 미니기차, 슬라이드 등 다양한 체험형 시설을 도입해 계절에 관계없이 방문객들이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마을 경관을 해치던 폐채석장을 활용한 ‘산타전망대’ 조성이다. 봉화군은 이 일대에 등산로를 정비하고 가로 90m, 세로 40m 규모의 전망대를 설치해, 분천마을은 물론 국도 36호선까지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산타전망대는 루돌프가 끄는 썰매를 형상화한 역동적인 디자인으로 마을의 새 상징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산타마을이 단순한 테마 관광지를 넘어, 사계절 머무르고 즐길 수 있는 지역문화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을 주민과 함께 만든 이 변화는 봉화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 지역특화형 숙박시설 완공 분천산타마을의 관광인프라 완성도를 한층 높여줄 ‘지역특화형 친환경 숙박시설’ 또한 지난 6월 완공됐다. 폐교된 분천분교를 활용해 연면적 1603.4㎡, 건축면적 950.58㎡ 규모로 조성한 이 시설은 15실의 객실과 카페·회의실·업무 라운지를 갖추고 있다. 객실은 2명에서 최대 4명까지 머물 수 있도록 설계했으며, 창문 너머로는 분천역 뒤편의 울창한 숲과 국도 36호선의 드넓은 풍광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삼각 오두막 형태의 유리 통창으로 둘러싸인 1층 카페는 숲속 캠핑장의 ‘우리만의 아지트’ 같은 여유로운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봉화군은 올해 개관을 목표로 설비 점검과 안전 검수를 병행하며 최종 마무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향후 잔여 부지 수목 식재와 울타리 전정을 포함한 조경공사를 진행해 한층 쾌적한 휴식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동시에 민간사업자 모집을 통해 전문성과 효율성을 갖춘 운영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숙박시설 완공으로 분천산타마을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관광지를 넘어 ‘머물며 체험하는’ 체류형 관광지로 탈바꿈했다. 유휴 시설의 재탄생으로 새로운 관광거점을 마련함으로써 관광객의 체류 시간이 늘고, 상권 활성화와 권역 확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기반을 다졌다. □ 리틀포레스트 봉뜨락 올해 개관 봉화군이 총사업비 40억 원(도비 15억·군비 25억)을 투입해 2022년부터 추진해온 ‘리틀포레스트 봉뜨락 조성사업’이 올해 준공을 앞두고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봉화읍 석평리의 옛 승마교육장 부지를 활용한 이번 사업은 체험 기반 어린이 놀이·교육 공간이 부족한 지역 현실을 반영해 추진된 것으로,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창의력과 사회성을 키울 수 있는 체험 기반 교육환경이 조성된다. 리틀포레스트 봉뜨락은 실내 놀이시설과 실외 어드벤처 코스, 카페·전시실이 어우러진 복합 공간으로 구성되며 트램펄린, 플레이짐, 튜브슬라이드 등 신체 활동 중심의 놀이기구와 높이 13m, 길이 150m의 짚코스터가 짜릿한 체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봉화군은 이번 조성을 통해 지역 아동 복지 향상은 물론, 가족 단위 관광객 유치와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준공 후 안전점검과 인허가 절차를 거쳐 올해 정식 개관할 예정이며, 본격적인 운영이 시작되면 봉화군은 ‘아이와 가족이 함께 즐기는 체험 놀이터 도시’로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봉화군은 이들 사업과 더불어 청소년 문화체험장 연계 활성화 사업, 미슐랭 경관 드라이브길 조성 사업 등 주요 관광 프로젝트를 올 연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업들은 단기적 관광객 유입을 넘어 관광 경쟁력을 한층 높여 주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종화기자 pjh4500@kbmaeil.com

2025-07-10

신라 왕도 북방을 지키던 숲에서 민중의 삶 품는 공원으로

박목월노래비와 목양 오세재선생 문학비 황성공원의 숲길을 걷다 보면, 나무와 나무 사이 조용히 서 있는 비석 하나를 마주하게 된다. 박목월의 시 ‘나그네’가 새겨진 노래비다. 시인은 이곳 경주 출신이다. 낙엽이 지는 숲길을 따라 떠도는 마음을 노래한 시는, 낯선 도시의 공원에 놓인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이 나고 자란 고장, 경주의 흙과 바람 속에 놓여 있다. ‘강나루 건너서 / 밀밭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라는 구절이 돌판 위에서 바람과 함께 울리고 있다. 떠남과 고독의 정조가, 고향 땅의 숲속에서 다시 유순해진다. 시를 따라 걷는 이에게 이 비(碑)는 단지 감상의 대상이 아닌, 한 시대와 개인의 생을 가로지르는 공명의 지점이 된다. 노래비에서 멀지 않은 자리에는 목양 오세재 선생의 문학비가 있다.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학자였던 오세재는 경주의 산수와 심성을 읊은 시로 이름을 남겼다. 그의 글은 당대의 문풍 속에서도 수수한 경관과 겸허한 마음을 담아내려 했고, 그 정신은 지금도 비에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풍월은 산에 들고 / 마음은 물과 더불어 흘러간다’ 목양의 문장은 산책자가 걷는 걸음보다 한 걸음 앞서 흘러간다. 유려한 글과 고요한 마음이, 오늘의 나무숲에서조차 숨결을 남긴다. 두 문인의 문학비는 단지 글을 새긴 돌덩이가 아니다. 황성공원의 나무들 사이에 숨겨진 정신의 표식이다. 자연을 노래한 시와 마음을 기른 문장이 한곳에 나란히 놓여 있다는 것은, 이 공원이 단순한 쉼터가 아니라 사유와 성찰의 공간임을 말하기 위해서다. 걸음을 멈춘 이에게 문장은 다가오고, 마음은 비로소 조용히 가라앉는다. 한 사람의 시선과 언어가 숲에 새겨질 때, 그것은 비로소 자연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황성공원의 문학비들은 이렇게, 계절과 시간이 흘러도 지워지지 않는 침묵의 목소리로 남는다. 도시의 소음 벗어나 시민의 활력이 되고 아이들 웃음·노년의 산책 이어지는 숲 박목월 시비·최시형 동상·충혼탑 등엔 문학과 종교·역사와 사색 새겨져 있어 ■충혼탑과 임란 의사 추모공원 숲을 따라 좀 더 깊숙이 들어선다. 나무들 사이로 비석 몇 기가 모습을 드러낸다. 공원 중앙에 우뚝 솟은 충혼탑이 보인다. 비바람에 오래 닳은 듯한 표면은 그 자체로 세월을 증언한다. 이 탑은 이름 없는 이들의 이름을 기억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무명의 병사, 알려지지 않은 희생, 묵묵히 스러져간 이들의 영혼을 기리기 위한 자리다. 도시의 한복판에 세워진 탑은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묻는다. 무엇이 이 땅을 지켜왔는지. 숲의 끝자락, 바람이 멈추는 방향에 이르면 임란 의사 추모공원이 있다. 아늑한 언덕 아래, 지극히 조용한 자리다. 박무의공비, 창의거병기념비, 충모탑은 안압지 길가에서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세운 것이다. 사람의 눈길이 잘 닿지 않는 곳이지만, 묵직한 비문들은 읽는 이의 마음에 잔잔한 파장을 일으킨다. 단지 글이 아니라, 검과 불, 흙과 땀으로 쓰인 생의 기록이다. 꽃 한 송이 없어도, 담백하게 서 있는 비(碑)들은 오히려 더 많은 말을 전한다. 거기엔 체념이 없고, 다만 끝까지 버틴 사람들의 혼이 남아 있다. 추모공원은 황성공원이 단지 녹음의 공간만이 아니라 역사의 한 페이지가 숲의 구석에 남아 있고, 우리는 그 기억의 그늘 아래를 지나고 있음을 각인시켜 주는 셈이다. ■해월 최시형 선생 동상 황성공원 서편, 실내체육관과 씨름장 사이 나무 그늘 속, 해월 최시형 선생의 동상이 서 있다. 이 동상은 1979년, 천도교 경주교구와 용담교구, 그리고 동학을 사랑하는 시민과 학생들의 정성으로 세워졌다. 경주가 동학의 발상지임에도 불구하고 동학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져 가는 현실 속에, 이 동상은 민중 속 동학의 뿌리를 되살리고자 하는 시대적 응답이었다. 최근에는 시민들과 종교단체의 노력으로 동상 옆에 해월 선생을 소개하는 안내판이 설치되었다. 안내문에는 도올 김용옥이 쓴 ‘해월 최시형에 관한 글’과 ‘동학과 우리의 역사’가 담겨 있다. 무심히 지나치던 동상의 의미가 다시금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황성공원에 세워진 해월의 동상은 단순한 기념 조형물이 아니다. 이는 동학이 추구했던 인간 존엄과 민중 주체의 사상을, 경주라는 고도 한가운데 다시 불러내는 정신의 상징이다. 천년 왕도의 북쪽 가장자리에 조용히 놓인 해월의 동상은, 존재만으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지금 우리는 사람을 하늘처럼 대하고 있는가.” 박목월과 오세재의 시비가 자연과 언어의 조화를 보여주는 한편, 해월 최시형의 동상은 인간과 삶의 무게를 품는다. 황성공원은 그렇게 문학과 종교, 역사와 사색이 교차하는 경주의 살아 있는 정신 지도 위에 서 있다. ■신라의 터에서 경주 시민의 공원으로 숲을 빠져나오며, 오래된 나무 한그루를 돌아본다. 바람 한 줄기 잎을 흔들고, 그 흔들림은 문득 마음속 어떤 결을 건드린다. 황성공원은 단지 그렇고 그런 도시공원이 아니다. 신라 귀족의 사냥터였고, 화랑들의 훈련장이었으며, 이제는 시민들의 일상이 스며든 공공의 숲으로 거듭났다. 계급과 시대, 목적이 달라질 때마다 이 땅은 목적과 형상을 바꿔왔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그늘과 바람, 그리고 숲에 깃든 쉼의 본질이었다. 통일신라의 북방 균형을 위해 의도적으로 조성된 인공의 숲은, 천 년 뒤 경주 시민들의 활력이 되고 있다. 아이들의 웃음이 놀이기구 사이를 누비고, 맥문동 꽃밭 사이엔 어머니들의 웃음이 끊이질 않는다. 또 노년의 고요한 산책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이어진다. 숲은 사람을 품고 사람은 숲을 가꾼다. 도시의 소음 속으로 걸어 나오며 자꾸 마음이 거기 남는다. 숲의 그림자가 멀리까지 따라 나와 어깨 위로 길게 드리운다. 황성공원은 나무를 심은 공간이 아니라, 시간을 묻고 되새기는 장소다. 왕도의 북방을 지키던 인공의 숲에서, 민중의 삶을 품는 공공의 공원으로 이어져 온 길 위에서, 나는 작은 물음을 품는다. 우리는 얼마나 자주 무심히 스쳐 가며, 다만 이름만 기억한 채 그 자리에 깃든 삶들을 외면하고 있는가. 오늘 한 이름의 속살을 들여다보았다. 황성이라는 말 아래 겹겹이 쌓인 생의 결들을. 그 결이 가만히 내게 말을 건넨 하루다. 조용히, 그러나 오래 남는 말. 황성공원은 그렇게, 오늘도 하나의 시(詩)가 되어 경주 시민의 마음을 두드린다.

2025-07-09

500살 느티나무 노거수, 25년 만에 스승으로 우뚝

어릴 적 마을 당산목이라 하면 두려움과 함께 경외의 대상으로 함부로 손을 대면 동티가 나는 그런 근접할 수 없는 신령스러운 나무로 생각했다. 식물사회를 공부하면서 우연히 노거수와 인연을 맺고 노거수를 찾아 연구하고 공부하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25년이란 세월이 지나니 이제는 노거수가 나의 스승으로 자리매김했다. 노거수는 우리 전통 민속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친 민속 식물자원으로 귀중한 자연유산이다. 경북 경주시 현곡면 하구리 507번지 들녘에 계단식 논과 밭이 펼쳐지는 고요한 풍경 속에서 단연 돋보이는 하나의 생명, 그것은 바로 마을의 보호수인 500살 느티나무 노거수이다.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은 순간들마다 하늘과 땅, 신과 인간을 잇는 중간자로 동신목(洞神木)·당산목으로 뿌리내려 몸통엔 사철나무 의지해 자라고 있어 하나의 생명이 또 다른 생명 품은 경이 그 아래 서면 시간 멈춘 듯 장엄한 기세 살아 있는 민속박물관이며 자연 유산 수형의 아름다움 등 문화적 가치 충분 천연기념물 지정해 보호 관리했으면 처음 나무와 마주한 날, 나는 말을 잃었다. 잎 하나 흔들리지 않는 잔잔한 여름날, 4m 높이에서 공중으로 솟은 아름드리 가지는 하늘을 덮고 그 원줄기의 키는 가늠할 수 없었지만, 기록에 의하면 29m나 된다고 했다. 그의 몸 둘레는 6.7m, 앉은 자리 폭이 무려 키보다 4.6m 큰 33.6m이다. 큰 키, 굵은 줄기와 무성한 잎이 하늘을 덮은 둥근 수형은 마치 이 땅의 시간과 사계절을 품은 살아 있는 성소 같았다. 그 줄기 가까이 다가가면 이끼와 지의류가 덮인 거친 껍질에는 세월의 결이 흐르고 있었다. 살아오면서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던 순간마다, 마을 주민은 물론 찾아오는 사람에게 기대에 부응했을 것이다. 나무는 단순히 오래된 것이 아니다. 하늘과 땅을 잇는 중간자, 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상징물로, 우리 민속문화에 뿌리내린 동신목(洞神木)이자 당산목이다. 마을 사람들이 두 손 모아 치성을 드리던 나무, 재앙과 풍년을 기원하든 그 믿음이 지금도 이 울창한 가지 사이로 흐르고 있다. 실제로 나무의 주변에는 낮은 돌담이 원형으로 둘러쳐져 있고 제단과 나무에는 금줄이 쳐져 있어 그 신성함을 가늠하게 한다. 어떤 가지는 부러진 채로 남아있으나, 그것조차도 존엄의 일부다. 상처 입은 채로 꿋꿋이 자리를 지키는 모습에서 나도 모르게 고개를 숙이게 되고 뭔가 기대고 소원을 말하면 들어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느티나무가 뿌리 내린 자리는 마을 앞 들판, 뒷산 자락에서 흘러내리는 작은 개울이 있는 평탄한 곳이다. 주변에는 팽나무, 고욤나무, 뽕나무들이 함께 자라고 있다. 특히 느티나무의 몸통엔 사철나무가 의지해 자라고 있어, 하나의 생명이 또 다른 생명을 품고 있는 장면은 경이롭다. 이런 생태적 공존은, 마치 세대와 세대를 잇는 문화의 흐름처럼 느껴진다. 나무는 그저 한 그루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생물들과 함께 하나의 소우주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얼마까지 동거할지 모르지만, 영원했으면 하는 바람을 해 본다. 느티나무는 1982년 보호수로 지정되어 주민은 물론, 그로부터 경주시의 보호의 손길이 계속 이어졌다. 북쪽 가지는 바람에 부러졌지만, 동남쪽 가지는 왕성하게 뻗어 나간다. 그 긴 가지는 이제 땅으로 내려와 사람이 서서 거뜬히 손으로 잡을 수 있었다. 농로를 따라 조심스럽게 나무에 접근할 수 있으며, 그 길 끝에서 마주하는 나무의 기세는 참으로 장엄하다. 그 아래 서 있으면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하고, 내가 살아온 삶조차도 어느 결 하나로 스며들어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좁은 농로는 벼농사를 짓는 관계로 늘 질퍽하게 물이 고여 있어 다니기에 불편했지만, 그 불편한 과정을 겪고 만난 거대한 느티나무를 볼 때면 그 불평은 하얗게 잊고 만다. 노거수란 단지 오래되고 큰 나무가 아니다. ‘노(老)’는 세월이 깃든 존엄을 의미하고, ‘거(巨)’는 마을의 정신적 구심점을 뜻한다. 산업화의 물결 속에 많은 노거수들이 사라지고 있는 지금, 하구리의 느티나무 노거수는 살아 있는 민속박물관이며, 천년 고도 경주의 문화유산이고 자연유산이다. 나무의 생태적 가치와 더불어, 마을 공동체가 함께 지켜온 문화적 유산으로써 그 의미는 더욱 깊다. 경주는 신라 고도 문화 도시답게 나무 수형의 아름다움과 건강한 생태 그리고 민속문화적 가치로 보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했으면 하는 바람을 해 본다. 느티나무 앞에 서 있다. 새들이 가지 사이로 날아들고, 들판 너머로 바람이 불어올 때면 나무가 나지막이 말을 건네는 듯하다. “흐르되 머무르라.” 그 말은, 빠르게 흘러가는 세상 속에서도 지켜야 할 뿌리와 중심이 있음을 일깨운다. 500년을 버텨온 그 생명력은 단지 자연의 힘만은 아니다. 그것은 하구리 마을 사람들의 기억, 기도, 믿음이 어우러진 공동체의 숨결이다. 그래서 느티나무 아래 선 누구나 잠시 멈추게 된다. 나 또한, 이 나무처럼 굳건히 살아가기를, 뿌리를 잃지 않고 가지 넓히기를 바라며 마음을 다잡는다. 마을 나무 노거수는 주민과 밀접한 생활 관계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나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설 등 재미있는 일화도 있지만, 믿기 어려운 실화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지켜야 할 법적인 근거는 없지만, 주민들은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다양한 전설로 금지 사항을 정하여 서로를 감시하며 지켜오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위하여 제사를 지내는가 하며 개인적으로도 병을 낫게 해달라, 자식을 갖게 해달라는 등 마음속 품고 있는 갖가지 소원을 빌기도 한다. 민속 신앙의 기능을 노거수가 일조하며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거수는 마을에 여러 그루가 될 수 없다. 자연 부락 마을마다 한 그루가 되거나 여러 마을이 모여 한 그루를 선정하여 동목, 신목이라 하였다. 느티나무 노거수와 마을 주민과의 관계는 외관상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알았다. 주민들의 삶의 일부가 되어 오백 년을 함께하여 오고 있다. 앞으로 또 오백 년을 함께 살아갈 것이다. 노거수 조사 연구 발달사 최초로 일제 강점기 시대인 1919년 조선총독부 ‘조선거수노수명목지’를 발간했다. 거수(巨樹), 노수(老樹), 명목(名木)에 대한 66종 5,330개체의 수종과 소재지, 흉고 둘레, 수령, 종류 및 고사, 전설 등 임학상의 자료 및 그 보존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7가지 수목의 이용 유형별로 분류했다. 1972년 내무부에서 전국에 산재한 노거수 조사하여 ‘보호수지’를 발간했다. 보호수 지정 기준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된 천연기념물 이외의 나무로써 수령 100년 이상의 노거수이거나 수목 또는 풍치 경관 수림을 구성하는 개체 등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품격 분류를 위하여 수목의 수령과 진귀성에 따라 시도 나무는 수령이 500년, 시군 나무는 수령이 300년, 읍면 나무는 수령 200년, 마을 나무는 수령이 100년 이상으로 기준을 처음으로 채택하여 적용했다. 1984년 산림청은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노거수 관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노거수를 중요한 식물자원으로써 그리고 문화유산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1992년 경북 포항 지역에 발족한 ‘노거수회’는 ‘노거수’라는 잡지를 발행하고 현장에서 노거수 복원과 보존 시민운동을 오늘날까지 전개하고 있다. 현재 법적으로는 천연기념물 노거수는 국가 문화유산청에서 보호수는 산림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보호 관리하고 있으나 그 중심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마을 주민이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2025-07-09

소백산 산길 따라 절경·계곡·폭포··· 굽이마다 천년고찰

유·불 문화의 고장 영주시는 가는 곳곳마다 역사의 숨결이 담겨 있고 골골이 전해오는 이야기가 풍성하다. 영주시는 역사 유적, 관광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특산품 등 다양한 자원과 함께 소백산이란 우수한 자연 자원도 품에 안고 있다. 영주시의 많은 볼거리 중 소백산을 중심으로 이색적이며 풍부한 감성과 자연 힐링을 할 수 있는 곳을 중심으로 둘러본다. 2km 구간에 펼쳐진 죽계구곡 ‘절경’ 새로 복원된 죽령 옛길 탐방객 ‘러시’ 28m 희방폭포 웅장한 물줄기 ‘매료’ 부석사·희방사 등 천년고찰 ‘명승’ □ 소백산국립공원 하늘 아래 야생화의 천국 소백산 국립공원. 빼어난 절경과 웅장한 산세를 자랑하는 소백산은 국내 12대 명산중의 하나다. 1987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소백산은 한반도의 남단을 북동과 서남을 양분하며 비로봉을 비롯해 국망봉, 연화봉, 제2연화봉을 거느린 소백산맥의 모산이다. 소백산은 계곡, 능선, 탐방로 등 각각의 풍광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가운데 철쭉군락과 주목군락, 야생화 군락이 대표적 비경으로 꼽힌다. 소백산 정상부는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초본 식물의 분포가 높음에 따라 4계절 중 겨울을 제외하고는 야생 초본 식물로 뒤덮여 천상의 화원이라 불린다. □ 죽계구곡과 희방폭포 퇴계 이황이 빼어난 절경에 빠져 이름 지었다는 죽계구곡. 죽계구곡은 소백산 동쪽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에 위치하고 초암사 앞 제1곡을 시작으로 삼괴정 근처의 제9곡까지 약 2km 구간에 걸쳐 흐르는 계곡이다. 죽계구곡은 각 곡마다 이름이 명명되어 있다. 제1곡은 금당반석(金堂盤石)으로 금당은 석가모니불을 모셔두는 건물이나 크고 화려한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제2곡 청운대(靑雲臺)로 주세붕은 소백산 흰 구름이 비추는 곳이라 해 백운대라 했고, 이황은 소수서원 백운동과 구별할 수 있도록 청운대로 바꾸었다 전해진다. 제3곡 척수대(滌愁臺)의 척수는 이백의 `우인회숙`이란 작품에서 인용된 것으로 세속적 근심을 말끔히 씻어낸다는 뜻이다. 제4곡 용추비폭(龍湫飛瀑)는 용이 구름비를 뿜는 듯하다 해 붙여진 이름이다. 제5곡 청련동애(靑蓮東崖)는 청련암 동쪽에 위치했다 해 붙여졌고, 제6곡 목욕담(沐浴潭)은 선녀가 내려와 목욕했을 듯한 바위와 숲에 가려진 웅덩이에서 유래했다. 제7곡 탁영담(濯纓潭)은 초나라 굴원이 지은 `어보사`에서 인용한 글로 마음의 때를 맑은 물에 씻어낸다는 뜻이다. 제8곡 관란대(觀瀾臺)는 물의 여울목을 보면 그 근원을 안다는 뜻으로 근본에 대한 뜻을 내포하고 있다. 제9곡 이화동(梨花洞)은 주변에 배꽃이 많았다 해 붙여진 이름이다. 또, 희방폭포는 높이 28m로 수량이 많아 그 소리가 웅장하고 청량함과 상쾌함, 무게감을 줘 탐방객들의 발길을 묶어두기도 한다. □ 죽령 옛길 많고도 많은 애환을 간직하고 있는 명승 제30호 죽령옛길. 조선시대 부산에서 한양을 향하는 가장 중심이 되었던 옛길이다. 영남대로 중간에 위치하고 또 가장 넘기 힘든 구간이였다. 장원급제해 금의환향하기를 기원했을 선비들과 사람 많은 한양에 물건을 팔러 떠나는 장사치 등 수많은 사람들의 애환이 서려있다. 영주시는 죽령 옛길이 복원되자 탐방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복원된 죽령 옛길은 주변 경관이 아름답고 거리가 짧아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희방사역에서 소백산을 오르는 등반객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다. 죽령 옛길은 신라 8대 임금 아달라이사금이 영토 확장을 위해 소백산맥 넘어 북쪽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을 만들기 위해 죽죽에게 명령해 만들어진 길이다. 죽령 옛길은 우리나라 근대화 과정에서 도로, 철도 등이 건설되면서 사실상 통행로의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잊혀졌었다. □ 소백산 내 유명한 사찰 부석사(浮石寺) 신라 문무왕 16년(676년) 왕명으로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종찰로 화엄종의 근본 도량이며 이 절을 창건한 의상대사와 선묘낭자의 애틋한 창건 설화를 간직했다. 중요 문화재로는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인 무량수전(국보제18호)과 조사당(국보 19호), 소조아미타여래좌상(국보 45호), 조사당벽화(국보 46호), 석등(국보 17호), 3층 석탑(보물 249호),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 220호) 등이 있다. 비로사(毘盧寺) 680년(문무왕 20)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신라 고찰로 비로사 입구 좌측 위에는 높이 4.8m의 신라시대에 조성된 영주삼가등 당간지주가 세워져 있다. 비로사 경내에는 거북받침 위에 비신을 세운 진공대사 보법탑비가 있다. 이 밖에도 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영풍 비로사 석아미타 및 석비로자나불좌상과 석아미타불이 있다. 희방사(喜方寺) 643년(선덕여왕 12) 두운이 창건하고 호랑이에 얽힌 창건 설화가 전하고 있다. 1850년(철종 1) 화재로 소실돼 강월(江月)이 중창했다. 한국전쟁 때 4동 20여 칸의 당우와 사찰에 보관돼오던 월인석보 권1과 권2의 판본(版本)도 함께 소실됐으나 주존불(主尊佛)만은 무사해 두운이 기거하던 천연동굴 속에 봉안하였다가 1953년에 주지 안대근(安大根)이 중건한 뒤 대웅전에 봉안했다. 문화재로는 경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인 동종(銅鍾)과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는 높이 1.5m와 1.3m의 부도 2기가 있다. 성혈사(聖穴寺) 국망봉(國望峯) 중턱에 있는 성혈사는 원래 작은 암자였으나 계곡 일부를 다진 뒤 승방(僧房)과 나한전을 지형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해 사역(寺域)을 넓혔다. 보물 제832호인 나한전은 1984년 보수 당시 발견된 상량문에 따르면 1553년(명종 8)에 처음 지어졌고 1634년(인조 12)에 다시 지어졌다고 한다. 유석사(留石寺) 유석사에 얽힌 이야기는 두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신라 의상조사가 이 절 앞에 있던 느티나무 아래 반석에서 묵고 간 일이 있다고 해 유석사라 불리는 것과 인근에 있는 희방사를 희사한 경주의 호장(戶長) 유석(兪碩)이 두운조사와의 인연을 길이 기념하고자 세운 절이라는 뜻으로 유석사라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이 밖에도 조선시대 역사의 아픔인 단종 복위 운동과 관련 사사된 금성대군 신단, 우리나라 최초 사액서원인 소수서원, 천천히 걸으면 걸을수록 좋은 육지 속 섬마을 무섬마을과 외나무 다리, 소수서원 옆 선비촌과 선비세상은 빠쁜 일상속에서 쉬어가는 공간이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2025-07-09

이용자 위주 서비스·자연스런 환승 동선 ‘철도왕국’ 이름값

글 싣는 순서 1. 철도 왕국 일본에서 찾는 ‘지역 관광’의 미래 2. ‘당일치기 여행’ 맞춤 일본 철도 3. 관광으로 인구 소멸 위기 ‘호쿠리쿠’ 살리기 4. 일본 기차 여행의 꽃이 된 ‘도시락’ 5. 울산, 이제는 ‘유잼(U-재미) 도시’다 6. 철도 불모지 경북, 동해선 개통 후 새 역사 시작 7. 이번 역은 “천만관광 해양도시 삼척입니다” 8. 강릉, ‘철도 날개’ 달고 동해안 비상 오사카(大阪)는 메트로폴리탄이다. 한국이라면 부산, 인도라면 뭄바이, 중국이라면 상해, 미국이라면 뉴욕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야기. 메트로폴리탄의 특성 중 하나는 인근 중소도시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며, 주변 지역의 정치·경제·사회적 흐름까지 주도한다는 것이다. “일본 혼슈(개개의 일본 섬 가운데 가장 거대한 섬)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상업과 공업이 발달했으며 오래전부터 긴키(오사카, 교토, 나라 등 7개 지역) 지방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는 백과사전의 설명은 오사카가 가진 위상을 간략하게 이해하게 해준다. 일본의 철도 교통망을 보더라도 오사카는 크고 작은 인근 도시와 멀리 수도인 도쿄, 또 하나 일본의 주요 고도(古都)인 나고야 등을 신칸센과 선더버드(Thunderbird·일정 구역을 운행하는 일본의 열차명)를 비롯한 각종 형태의 기차로 연결하고 있다. 혼슈 중서부 위치한 긴키지방의 중심지 ‘오사카’ 도쿄~오사카 고속철도 110년 전부터 이미 계획 신칸센·선더버드 등 각종 기차들로 전국과 연결 ‘오사카∼나라’ ‘오사카∼교토’ 오가는 철도 노선 신칸센 15분·전철 40∼50분 등 당일치기로 충분 역 앞에는 각각의 관광지행 버스들 줄지어 대기 목적지 팻말 든 안내원이 처음 찾는 여행자 도와 외국여권 소지자 전용 ‘호쿠리쿠 패스’ 구입하면 별도 비용 들지 않아 장기여행자들에 ‘안성맞춤’ 일본은 이미 110년 전부터 도쿄와 오사카를 잇는 고속철도를 고민하고 계획했다. 한국의 고속열차 KTX가 2004년 4월 첫 운행을 시작한 것을 감안하면 한 세기가 더 빨랐다. 이에 관해 쓴 샬롬엔지니어링 최경수 고문의 논문 ‘일본 新幹線(신칸센)의 歷史(역사)와 고속철도 차량’의 서두엔 이런 대목이 등장한다. “1910년대에는 도쿄~오사카간 고속신선 ‘일본 전기철도’를 부설하는 계획이 민간으로부터 나왔지만 허가를 받지 못해 실현하지 못했다. 일본에서 현실적인 고속열차 개발은 만주를 횡단하는 남만주 철도(滿鐵)에서 처음 시작됐다. 당시 만철(滿鐵)은 전철화 이전 철도에 증기기관차가 견인하였지만 1435mm 국제 표준궤간(일본은 광궤라고 부름)을 사용한 고규격 노선이었으며, 보수적인 일본 철도성(鐵道省)과는 한 선을 그은 선진적인 시도였다.” ▲도톤보리의 관광객들 “여길 왔으니 교토와 나라는 가야죠” 포항에서 김해국제공항을 거쳐 오사카에 도착한 첫날. 계절 무관하게 관광객들로 축제장을 방불케 하는 ‘핫 스폿’ 도톤보리를 가지 않을 수 없었다. 불과 1km 남짓의 오사카 운하 양쪽으로 수백 개의 기념품점과 식당, 주점이 밀집해 있는 곳. 누군가가 농담처럼 “도톤보리 글리코 간판 앞에서 들리는 언어는 절반이 한국어, 절반은 중국어”라고 말한다. 가보면 알게 된다. 그건 농담이 아니다.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글리코 간판’ 앞에서 글리코를 흉내 내는 여행자들이 친구나 식구의 사진을 찍어주기에 바쁘다. 나 홀로 여행자는 카메라 렌즈를 제 얼굴 쪽으로 돌려 기어코 ‘셀프 컷’이라도 찍어야 오사카에 왔다는 실감이 나는 모양. 그렇다면 수만 명 관광객들에게 도톤보리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는 글리코 간판은 대체 뭘까? AI에게 물었다. 다음과 같은 대답이 돌아왔다. “글리코상(글리코 간판)은 일본 오사카 도톤보리의 상징적인 조형물로 1935년 설치된 마라토너 형상의 간판입니다. 일본 제과회사 글리코의 광고판으로 90년간 6번의 변화를 거치며 지금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차 세계대전 중 철제 부족으로 철거된 후 1955년 재설치되며 현재까지 이어졌습니다. 2014년 6대 글리코상은 LED조명과 이벤트 영상 송출기능을 추가했다고 합니다.” 글리코 간판 아래 늘어선 수십 개의 야외 주점엔 다양한 국적의 여행자들이 막 시작된 더위를 식히며 일본식 어묵과 타코야키(문어풀빵)를 안주로 생맥주를 마시고 있었다. 거기서 만난 프랑스인 커플과 친구 사이라는 영국인 남녀에게 물었다. “내일은 뭘 할 생각이야?” 구운 가지와 소고기 꼬치를 먹던 그들에게선 입이라도 맞춘 듯 동일한 답변이 돌아왔다. “교토와 나라에 가야지.” 아마 한국과 중국 관광객에게 같은 질문을 했더라도 비슷한 대답을 들었을 게 분명하다. 기자 역시 2년 전 짧았던 3박4일의 오사카 여행에서 두 도시를 갔었고, 거기로 가는 기차와 버스 안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중국인을 봤으니까. 그렇다면, 두 도시의 어떤 매력이 오사카를 찾은 외국인을 매혹하는 것일까? 신오사카역에서 JR 서일본이나 킨키 일본철도를 타고 40분가량 달리면 도착할 수 있는 나라는 과거엔 야마토(大和)로 불렸다. 여기에 ‘나무위키’의 부연이 따라 붙는다. “794년 수도가 교토로 옮겨질 때까지 고대 일본의 중심지로서 발전했고,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호류지가 있다. 시내엔 사슴을 풀어놓은 나라공원이 관광객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사슴공원 인근엔 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 불상이 있는 도다이지(東大寺)가 있다.” 교토는 그 도시 사람들이 가진 자긍심으로도 유명한 지역이다. 고대 일본의 도읍이었던 교토는 1천 년 이상의 시간 동안 일본의 정치·경제 중심지였다. 또한, 청수사를 필두로 금각사와 은각사 등이 가진 매력이 여행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선물하는 도시. 그러니, 교토는 때때로 천년왕국 신라의 중심지이자 예술적 완성도가 빼어난 미려한 사찰 불국사를 가진 한국의 경주와 비교되기도 한다. ▲오사카-교토·오사카-나라, 빠르고 편안한 기차로 일본에 도착한 둘째 날과 셋째 날. 각각 나라와 교토를 당일치기로 다녀왔다. 두 도시 모두 기차로 왕복했다. 가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일본어나 영어를 못한다고 해도 적지 않은 한국어 안내판이 역과 주요 관광지 곳곳에 있으니 나 홀로 여행자도 지레 겁먹을 필요가 없다. 신오사카역에서 교토로 가는 기차의 종류는 고속열차 신칸센부터 작은 간이역까지 모두 정차하는 낡은 전철까지 다양하다. 15분 만에 빠르게 교토에 도착하고 싶다면 신칸센을 타면 되고, 5000원 안팎의 저렴한 가격으로 느리게 달리는 기차에서 오사카 교외 경치를 감상하고픈 사람은 전철을 선택하면 된다. 전철도 40~50분이면 교토역과 나라역에 이른다. 만약 일주일 이상의 여행을 계획하고 오사카에 갔다면 서일본 여객철도주식회사가 판매하는 ‘호쿠리쿠 패스’를 구매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오사카를 출발해 교토와 나라를 오가는 쾌속열차는 물론, 오사카에서 1시간 30분~3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쓰루가, 도야마 등의 신흥 관광지로 가는 기차까지 약정된 기간 안이라면 별도의 비용 지불 없이 이용이 가능하니까. 호쿠리쿠 패스는 외국 여권 소지자만 살 수 있고, 한국에서 미리 구입해 일본에서 실물 티켓을 받는 게 가능하다. 나라역에 내리면 동대사와 사슴공원 등으로 가는 버스가 질서정연하게 정차해 있다. 일본인 특유의 빈틈없는 친절함(?)은 역 앞 버스정류장에서도 발휘된다. 관광객이 몰리는 휴일이나 휴가철이면 각각의 버스 목적지를 알려주는 팻말을 든 안내원이 처음으로 나라를 찾아온 여행자를 돕는다. 그들 중 일부는 한국말도 제법 잘한다. 팻말에 영어와 중국어가 쓰인 건 불문가지. 교토행 기차에서 내려 청수사나 금각사로 향하는 버스를 타는 것도 나라에서의 방식과 크게 다를 바 없다. 그저 팻말을 든 안내원을 따라 목적지로 가는 버스가 서는 곳으로 가서 줄을 서고 탑승 순서를 기다리면 끝이다. 오사카 외곽의 풍광을 즐기며 덜컹이는 기차로 짧은 시간을 달려가 역에서 내린다. 바로 코앞에서 관광객을 기다리는 버스로 유명 관광지를 돌아본다. 공원에서 귀여운 사슴에게 먹이도 주고, 교토 청수사 아래 일본식 가옥에서 시원한 녹차빙수를 먹으며 일상 탈출의 즐거움을 만끽한다. 오사카로 돌아갈 때는 역순으로 ‘관광지-버스-기차’를 이용하면 당일치기 교토 여행과 나라 여행이 마무리된다. 오전 11시쯤 신오사카역을 출발해 교토와 나라의 주요 여행지 1~2곳을 돌아보고, 지역 특산물을 재료로 만든 점심을 먹은 후, 오후 5시 이전에 오사카로 돌아오는 여정 속에선 흠 잡을 걸 찾아내기가 어려웠다. 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을 수밖에 없을 것 같았다. 축적된 시간 속에서 만들어진 시스템과 노하우의 차이 탓인지, 올해 초 방문했던 동해선 울진역과 삼척역에선 일본 철도여행이 준 만족감을 맛보기 힘들었다. ‘오사카-나라·오사카 교토 기차여행’에서 확인한 이용자 위주의 서비스와 물 흐르듯 자연스런 환승 동선은 동해선 철로가 지나는 지자체가 향후 철도관광 인프라를 조성할 때 참고해도 좋을 듯하다.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2025-07-08

혁신과 소통이 일상이 된 칠곡군, 군민 80% “계속 살고 싶다”

군민 80.2%가 “계속 살고 싶은 지역”으로 답했다. 칠곡군이 지난해 실시한 군정 만족도 조사에서 나온 결과다. 민선8기 3년, 칠곡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 변화는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이기도 하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취임 직후부터 관용차 대신 자전거로 출근하며 민생 현장을 누볐다.‘사람 정(情)류장’, 타운홀 미팅 등 주민과 직접 마주하는 소통의 자리를 만들었고,‘스마트 보고’시스템으로 불필요한 의전과 관행을 줄였다. 내부 조직문화는 더 유연해졌고, 행정은 더 기민해졌다. 형식보다 본질에 집중한 행정 변화는 빠르게 현장에서 체감되기 시작했고, 주민과의 신뢰는 점차 두터워졌다. 전담 부서 신설, 역대 최대 국도비 스마트팜 장려··· 미래 농업 본격화 트윙클 캠핑축제·꿀맥 페스타 등 문화·관광·힐링 콘텐츠 적극 개발 ‘30분 내 생활권 도시’도 곧 현실화 □ 소통에서 성과로… 전례 없는 국비 유치 공모사업 전담팀을 신설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국도비 공모사업을 따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사업비는 도시 인프라, 농업, 관광, 교육 전반에 고르게 투입되며 칠곡의 체질을 바꾸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 이 같은 세일즈 행정은 전국을 무대로 성과를 냈다. 대통령실과 국회를 직접 찾아다니며 사업 필요성을 설명했고,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 발전종합계획 반영으로 890억 원을 확보하고 할매문화관 사업비 190억 원도 따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법정문화도시 지정, 산업통상자원부 농기계실증랩팩토리 사업 등 굵직한 성과도 이어졌다. 이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칠곡이라는 도시가 정부의 정책과 예산에 있어 ‘우선 고려 대상’이 되었다는 신호다. □ 농업 대전환, 미래 경쟁력 확보에 속도 농업에서는 무인기기, 스마트팜 실증 플랫폼 등 미래농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병해충 방제,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농작업 대행 서비스 등은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참외 수매 조정을 통해 가격 안정을 도모하며 버려지던 농산물을 줄여 환경 보호 효과도 거두고 있다. 여기에 프리미엄 쌀단지를 조성하고, 소포장 ‘칠곡 할매쌀’ 브랜드를 개발해 고급 소비 시장을 겨냥한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농업대전환 들녘특구 조성사업을 통해 지역별 고소득 작물을 중심으로 공동 영농체계를 구축하고, R&D 기반 특화기술을 접목해 생산성과 소득을 동시에 높이고 있다. 미래농업복합지원센터는 미생물 생산시설, 리빙랩 기반 가공시설 등 농업의 6차 산업화를 실현할 핵심 공간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 경쟁력의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부터 유통, 가공, 기술지원까지 연결되는 농업 인프라의 다각화는 ‘지속 가능한 칠곡 농업’을 향한 초석이 되고 있다. □ 교육·관광·복지… 생활 속 체감 성과 교육 분야에 대한 김 군수의 관심은 특별하다. 칠곡미래교육지구사업을 통해 지역과 학교가 함께하는 교육 생태계를 조성했고, 서울 유명 인터넷 강의 업체를 유치해 수능 대비 온라인 강의도 지원하고 있다. 도내 최초로 신동·동명중학교를 중점학교로 지정받았고,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도 선정됐다. 칠곡 출신 대학생과 지역 고등학생을 연결하는 ‘호이클럽’도 탄생했다. 단순한 강의 지원을 넘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공동체의 연대감을 심는 시도다. 한발 더 나아가 대구 북구와의 학군 조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넓혔다. 관광 분야에서는 체류형 콘텐츠 확장이 눈에 띈다. ‘칠곡 제대로 페스타’, ‘트윙클 캠핑 페스티벌’,‘꿀맥 페스타’ 등은 젊은 층을 겨냥한 프로그램으로 호응을 얻었고, 칠곡낙동강평화축제는 시가지로 공간을 확장해 지역 경제에도 큰 보탬이 됐다. 205 힐링프로젝트, 칠곡할매 시화 홍보거리 등은 문화와 휴식을 결합한 콘텐츠로 거듭나고 있다. 칠곡문화관광재단이 중심이 되어 지역 문화유산과 자원을 관광자산으로 바꾸는 작업도 본격화되고 있다.재단은 출범 이후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이야기를 발굴하고, 관광 콘텐츠로 재해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재단은 출범 이후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이야기를 발굴하고, 관광 콘텐츠로 재해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앞으로는 지역 작가, 청년기획자 등과 협업을 확대해 주민 참여형 관광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미군부대 후문 일대에는 특화거리가 조성되고, 칠곡할매 콘텐츠를 활용한 시화 홍보거리는 왜관역과 동명수변생태공원 일원에 설치된다. 칠곡군청 앞 도로는 ‘칠곡 맛길’로 정비돼 먹거리와 관광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7월에는 가톨릭 문화와 힐링을 결합한 지역형 축제로 ‘홀리 페스티벌’이 새롭게 개최되어, 축제의 다양성과 세대 간 공감의 폭을. ‘찾는 칠곡’에서 ‘머무는 칠곡’으로의 전환은 이제 가시화되고 있다. 여기에‘건강담은 칠곡할매 ’농산물 공동 브랜드 개발, ‘럭키 칠곡’ 상표 등록, 친환경 도시 ‘에코 칠곡’ 등 새로운 도시 브랜드 개발도 이어지며 칠곡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이고 있다. □ 도시 인프라와 돌봄 복지 도시 인프라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왜관읍 행정문화복합플랫폼은 내년 준공을 앞두고 있고, 북삼도시개발과 공영주차장 조성, 도시계획도로 개통 등으로 정주 여건이 크게 개선됐다.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과 북삼역 신설, 국도33호선 연결도로 등은 대도시권 접근성을 높이며 ‘30분 생활권 도시’를 현실화하고 있다. 중리~구평 간 연계도로 개통도 석적읍의 교통 정체 해소와 국가산단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 4월부터 대구를 포함한 9개 지자체가 함께 시행한 ‘대중교통 광역 환승제’는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통행 효율을 높이는 획기적인 교통복지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칠곡 군민들은 시내버스와 도시철도를 보다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대도시권 생활권 확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복지와 돌봄에서도 공공의 손길이 세심하게 닿는다. 경북형 행복경로당사업은 밑반찬을 지원해 고령 어르신들의 식사를 돕고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도 확대돼 참여인원과 예산이 모두 늘었다. 24시 다함께돌봄센터와 ‘늘봄人 작은도서관’은 아이 돌봄과 독서문화 공간을 융합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실현 중이다. 그 외에도 파크골프장과 게이트볼장 확대, 국민체육센터 개관, CCTV 기반 스마트 도시안전망 구축 등은 군민의 건강과 안전을 동시에 책임지고 있다. □ 미래를 여는 성장 엔진 – 산업·교육·정주 기반 강화 앞으로의 항로도 분명하다. 첨단 농기계와 무인기기,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한 애그테크 융복합 실증 플랫폼 조성은 칠곡만의 미래 먹거리 산업을 준비하는 핵심 사업이다. 특히 북삼오평산업단지는 수십 년 동안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던 지역 숙원사업으로, 이번 민선 8기 들어 본격적인 추진에 속도가 붙었다. 향후 기업 유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인구 유입까지 연결되는 지역 성장의 새로운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교육과 인재 양성 역시 흔들림 없이 이어진다. 자유학군과 교육특구는 ‘교육도시 칠곡’의 기반을 더 단단히 할 전망이다. 단지 교실을 넘어 마을과 함께 배우고,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설계된 교육정책은 백년지대계를 위한 기반 다지기다. 김재욱 군수는 “혁신적인 교육과 체험형 관광, 특화 산업을 중심으로 칠곡군의 매력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며 “앞으로도 군민과 함께 새로운 칠곡시대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호평기자 php1111@kbmaeil.com

2025-07-08

“내 꿈은 내화물 분야의 명장 철강산업 발전에 기여하고파”

RH 설비 관리·유지보수… 쇳물 속 불순물 제거 과정 중요 역할 “설비 상태 꼼꼼히 점검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신속 대응 집중” - 자기소개를 해달라. △작년 7월, 오랜 꿈이었던 포스코에 입사해 노재섹션 RH파트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현준 사원이다. 서울 출신이지만, 대학 시절 금속 및 재료공학을 전공하며 ‘철’이라는 소재가 가진 무한한 가능성에 매료되었다. 특히, 세계 철강 산업의 심장부인 포항에서 직접 현장을 경험하고 싶다는 열망이 컸고, 그 꿈을 위해 과감히 포항행을 선택했다. 포스코는 나에게 단순한 직장이 아니라, 세계 최고를 향해 도전할 수 있는 무대다. 현장에서 설비를 관리하며, 작은 변화가 큰 혁신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직접 체감하고 있다. 앞으로도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해, 철강의 미래를 이끌어가는 핵심 인재로 거듭나고 싶다. -현재 맡고 있는 업무에 관해서 소개해달라. △RH 설비의 관리와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다. 철을 만들 때는 쇳물 속 질소, 산소와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 꼭 필요한데,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RH 설비다. RH 설비가 안정적으로 작동해야만 고품질의 강재를 생산할 수 있어, 평소에도 설비 상태를 꼼꼼하게 점검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 대응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최근 RH 설비에 사용되는 내화물의 축조부터 해체까지 전 과정을 직접 점검했던 경험이 있는데, 이때 체계적인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느꼈고, 작은 부분까지 세심하게 살피는 것이 전체 품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노재 업무는 단순히 설비를 유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생산 효율과 품질 향상, 그리고 조업의 안정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설비 점검과 관련된 일화를 들려달라. △입사 후 가장 인상 깊었던 순간은 버너(온도 상승 장비) 정기 점검 업무에 처음 참여했을 때다. 아직 현장 경험이 부족했기에 모든 것이 낯설고 긴장도 많이 했었다. 특히 버너의 가스 누출 여부를 점검할 때는, 작은 실수 하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에 손에 땀이 날 정도로 집중했던 기억이 난다. 현장의 뜨거운 열기와 기계음, 바쁘게 움직이는 팀원들 속에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점검에 집중했다. 당시 선배가 점검 방법과 안전 수칙을 차근차근 친절하게 설명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시범을 보여주며 실전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까지 세심하게 지도해 주었다. 덕분에 이론으로만 알던 내용을 실제 현장에서 몸소 체험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깊이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처음에는 많이 긴장했지만, 현장 백과사전 같은 든든한 선배들 덕분에 실무에서 꼭 필요한 기술을 많이 배울 수 있었다. 무엇보다 서로 도우며 함께 성장하려는 따뜻한 조직 문화를 직접 느낄 수 있어서, 지금은 그때의 경험이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다. - 업무를 하다 보면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되는 사람들이 많은지. △업무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여러 사람과 가까워질 수밖에 없다. 특히 노재 업무는 조업팀, 정비팀, 도급업체 등 다양한 부서와의 협력이 필수적이어서, 평소에도 담당자들과 자주 소통하고 함께 일하는 시간이 많다. 예를 들어, 조업팀과는 생산 일정에 맞춰 수리 일정을 조율하고, 정비팀과는 설비 점검과 수리를 함께 진행한다. 또한, 도급업체와는 내화물 납기와 관련해 지속해 연락하며 협력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부서와 협업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로를 이해하게 되고, 신뢰도 쌓이게 된다. 특히 현장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때는 서로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동료애가 깊어지고, 업무 외적으로도 식사나 대화를 나누며 정다운 관계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포스코는 이러한 유기적인 협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어, 업무를 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소속감과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분위기 덕분에 더욱 즐겁고 보람차게 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앞으로 꿈꾸는 미래가 있다면. △ 내화물 분야의 명장이 되는 것이 가장 큰 꿈이다. 포스코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인품을 갖춘 직원을 선발해 ‘포스코 명장’으로 선정하는 제도를 운용하며, 기술 발전과 인재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나 역시 이 제도를 통해 언젠가 명장으로 선발되어, 국내 철강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후배들에게 본보기가 되는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특히 앞으로 철강업계는 AI와 로봇 기술의 도입으로 큰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익히고,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앞장서는 기술 전문가로 거듭나고 싶다. 아울러,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루며 행복한 삶을 사는 것도 나에게 매우 중요한 가치다. 포스코는 육아몰입 기간, 동촌 어린이집, 신혼여행 지원금 등 생애주기별 가족친화제도가 잘 마련되어 있어, 앞으로 가정을 꾸리게 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일하며 꿈을 이룰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회사에서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일과 가정 모두에서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가고 싶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2025-07-06

“현장과 동료의 안전 지키고 생산성 향상 기여할 때 보람”

설비의 방탄조끼 역할을 하는 내화물이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점검 “현장 경험으로 더 나은 결과 위해 능동적으로 고민하고 성장할 것” - 자기소개와 함께 담당 업무를 말해달라. △포항제철소 노재섹션에서 근무하고 있는 강성엽 사원이다. 3년 전 포스코에 입사한 이후, 새로운 환경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전문성을 키워가고 있다. 현재 노재섹션의 스테인리스 파트에서 근무 중이다. 주로 스테인리스강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고온에서 금속을 녹이고 다루는 설비와 금속을 담거나 옮기는 용기를 관리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제철소는 용광로처럼 엄청난 열을 견뎌야 하는 설비들이 많은데, 이 설비들이 안전하게 오래 가동될 수 있도록 ‘내화물’이라는 특수 소재를 사용한다. 나는 설비의 방탄조끼 역할을 하는 내화물이 제때 잘 교체되고,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점검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포스코는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이며, 끊임없는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 문화를 가지고 있다. 현장에서 일하면서 설비 자동화와 데이터 기반의 첨단 시스템 개발에 매우 적극적인 조직임을 실감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업무를 배우며, 앞으로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도 기여하고 싶다는 목표가 생겼다. 업무를 하면서 설비가 안전하게 가동되고, 그 결과로 좋은 품질의 스테인리스가 생산될 때 가장 큰 자부심을 느낀다. 앞으로도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더 나은 결과를 만들기 위해 항상 능동적으로 고민하고 꾸준히 성장해 나가고자 한다. - 업무 중 어떨 때 보람을 크게 느끼는지.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은 현장과 동료의 안전을 지키고, 회사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때다. 입사 초기 담당 설비에 이슈가 생겨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는데, 당시 선배들의 조언을 구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노하우를 쌓을 수 있었다. 그때 전수받은 노하우를 토대로 사명감을 가지고 일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는, 주변 이해관계자들이 업무상 난관에 봉착할 때면 나를 찾기 시작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 지식을 더 적극적으로 넓히려 노력했고, 업무 경험이 쌓일수록 ‘내가 현장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라는 자부심과 책임감을 느꼈다. 특히 이러한 경험들이 QSS 개선리더 활동으로 이어지면서, 내게는 성장의 큰 전환점이 되었다. - QSS 개선리더 경험을 더 자세히 말해달라. △QSS(Quick Six Sigma)는 포스코 고유의 혁신적 업무 방식으로, 현장의 낭비 요인을 제거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이다. QSS 개선리더로서 팀원들과 머리를 맞대고 ‘어떻게 하면 생산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하다 보면, 혁신이 현실로 되는 순간들을 만나게 된다. 또 그 과정에서 팀원들과 서로에 대한 신뢰도 자연스레 두터워짐을 느꼈다. 이런 혁신 프로그램은 나와 동료들에게 성장의 발판이 되었다. 더불어 QSS 개선리더로서 이룬 성과가 그룹사나 협력사까지 알려져 벤치마킹 된다는 이야기까지 들으니, 기업의 동반성장 문화에 함께할 수 있음에 뿌듯함을 느꼈다. 그 경험은 자발적으로 품질 향상을 고민하는 끈기와, 팀원들과 끈끈한 관계 구축의 밑바탕이 되었다. 포스코 조직문화는 ‘혼자 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간다’라는 말을 실감하고 있다. -고온의 설비와 장비를 관리할 때, 중요한 점이 무엇인지. △고온의 설비와 장비 관리에 가장 중요한 점은 단연 ‘안전’이다. 안전은 작업자와 설비, 생산, 그리고 모두를 지키는 최우선 가치다. 나 역시 현장 위험 요소를 미리 점검하고, 개선 필요 부분은 즉시 피드백해 반영하는 등 안전 문화 정착에 앞장서고 있다. 포스코의 ‘안전 최우선 경영’ 방침을 현장에서 실천하며, 동료들에게도 안전의 중요성을 적극 알리고 있다. 이러한 안전 중심의 관리와 함께, 설비 관리 과정에서는 공장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긴밀한 협업이 필수적이다. 설비마다 정해진 설계도와 작업 표준을 꼼꼼히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비를 관리·인계하는 과정에서 관련 부서와 원활하게 소통하며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협력사와의 기술 교류를 통한 동반 성장 역시 포스코의 중요 문화 중 하나다. 협력사와의 정기적인 미팅을 통해 현장에서 얻은 노하우와 개선 사례를 적극 공유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상호 신뢰와 시너지를 높이고, 강건한 산업 생태계를 함께 구축해가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의 미래를 책임질 세대로서, 앞으로 어떤 변화나 발전을 기대하고 있는지. △철강업계가 지금처럼 도전적인 시기를 겪을 때일수록, 현장에서 직접 부딪히며 쌓아온 경험과 노하우가 더욱 큰 힘을 발휘한다고 믿는다. 실제 설비에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선배들과 함께 해결책을 찾아가며 쌓은 실전 경험은 위기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신속히 대응하는 역량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경험들이 쌓여, 변화와 위기에 흔들리지 않는 현장의 힘이 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는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설비와 안전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높여 현장의 효율성과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자 한다. QSS 개선리더로 활동하며 쌓은 문제 해결 역량을 바탕으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 등 구체적인 성과도 내고 싶다. 또,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에 맞춰 스마트 설비, 친환경 공정 등 새로운 기술을 적극 익히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현장에 적용하는 데도 주저하지 않을 생각이다. 특히, 데이터 기반의 설비 진단이나 자동화 시스템 도입 등 미래지향적인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해, 포스코가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갖추는데 기여하고 싶다. 아직 배워야 할 것이 많지만, 꾸준히 성장해 회사와 동료들에게 신뢰받는 포스코인이 되고 싶다. 현장의 작은 변화가 모여 철강업계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는 믿음으로, 책임감과 열정으로 새로운 도전에 나서겠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2025-07-06

10년 연구 끝에 해수온난화 걱정 없는 ‘돌김 종자’ 개발

갑작스런 해양 환경 변화와 김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경북도도 ‘돌김 양식’으로 컨셉을 잡고 사업화를 시도하며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영양류가 풍부하고 파도에서 비교적 안전한 남해안이 김양식으로 특화된 반면 파고(波高)가 높고 물이 맑은 동해안에서는 돌김 양식이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작년부터 경북도는 ‘돌김 양식장 사업 공모’에 나서며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은 발걸음이 더디다. 돌김 자체가 해류(海流)나 파고 등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아직은 지역 자치단체별로 해안 지형 특성과 과거 채취 사례를 들여다보며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어느 날 취재진의 검색망에 돌김 양식으로 특화된 일본의 한 양식장이 포착되었다. 일제 강점기 총독부는 구룡포 일대에 김 양식을 장려했던 사실이 있기 때문에 이 일과도 묘한 연결성이 감지되었다. 일본 오카야마현 카사오카시의 ‘세노수산’(妹尾水産)이란 김 양식장이었다. 작목 부문도 경북도가 육성하려고 하는 ‘돌김’ 이었고 대규모 양식장으로 사업화에 성공한 것은 물론 자체 생산 라인까지 갖추고 있어 경북도의 선도 모델이 되기에 충분했다. 세토내해의 돌김 양식장을 직접 방문해 동해안의 돌김 양식장 프로젝트가 나아갈 방향을 짚어봤다. 세토내해 한복판 위치 양식장 최적 50년 간 3대 걸쳐 독자적 종묘 개발 “김맛은 씨앗이 결정” 종자로 승부 난류에도 끄떡 없는 우량 씨앗 특허 독자 개발 ‘환자채’ 전국서 주문 쇄도 글 싣는 순서 ① 바다에서 육지로, 김 산업의 변화 ② 국내 스마트 김 양식장 현장을 가다 ③ 일본 김 양식장 세노수산 취재기 ④ 세노수산의 돌김 양식 성공 비결 ⑤ 경북도의 육상 김 양식 기술 개발 □ 최적의 양식장 조건을 갖춘 세토내해 대표적 해양국가인 일본도 일찍부터 김 산업에 나서 전국 각지에서 김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큐슈 아리아케해(有明海)를 중심으로 한 사가현이나 치바현의 이스미시 등에서 현재 대량생산이 이뤄지며 최고의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다. 특히 기후현 야마가타시에서는 강에서 자라는 민물김 ‘카와노리’의 양식이 성업해 독특한 식감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일본에서 김 양식은 연안 해역 정화라는 환경 차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바다 물속 이산화탄소와 영양염을 흡수하고 산소를 공급해 생태계에 유익을 끼치기 때문이다. 취재진이 방문한 오카야마현의 카사오카시는 세토내해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다. 동서의 조수 흐름이 부딪치는 위치인데다 영양이 풍부해 양식장으로써 최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세토내해 물빛은 보통 흐린 녹색을 띠고 있는데 이는 플랑크톤이 풍부하기 때문 이라고 한다. 김은 플랑크톤과 수중에 녹아있는 질소, 인, 규소 등을 흡수하며 성장한다. 오카야마현의 앞바다도 1970~80년대 산업화 시대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폐수로 인한 적조현상이 크게 사회 문제로 대두된 적이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수질 개선을 위해 1973년 ‘세토우치법’을 제정했다. 배수총량 규제, 하수처리장 증설 등이 추진되며 겨우 수질을 되찾을 수 있었다고 한다. □ 50년 역사 세노수산 독자적인 종묘 개발 카사오카시의 세노수산은 50여 년 전에 세노 타카유키(妹尾孝之)씨가 이곳에 정착한 후 가업을 일으켰고 현재는 3대 가힘을 모아 양식장과 식품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세노수산은 일본에서도 가장 어렵다는 돌김(일본에서는 岩海苔) 양식에 성공해 화제가 된 회사다. 무려 10여 년의 각고의 노력 끝에 거둔 결실이었다. 세노수산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돌김 종자는 ‘환자채’(幻紫菜 )라는 종묘다. 이 김은 가루나 조각으로 만들어 음식 위에 뿌려 먹는 ‘아오노리김’의 재료로 쓰인다. 야키소바나 센베이(전병)에 들어가는 김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듯하다. 세노수산의 주력 상품인데다 지명도가 높아 전국에서 주문이 밀려 든다고 한다. 이 돌김 종자인 환자채는 일반 양식 김 종자인 ‘수사비놀리’에 비해 종묘 과정이 훨씬 까다롭다. 기후나 수온에 따라 종묘의 관리가 힘들고 유묘(幼苗) 활착률도 낮기 때문이다. 더구나 수온의 조절이 힘든 양식장 환경에서는 종(種)의 부착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 때문에 직원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종자들의 활착 여부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김의 포자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 수준으로 너무 미세해 관찰에 큰 애를 먹는다. 세노수산은 이런 힘든 과정을 10년 넘게 반복하며 이곳 환경에 맞는 최적의 종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카사오카시에는 많은 김 양식장이 운영되고 있지만 독자적인 종묘를 개발해 양식에 응용한 곳은 세노수산이 유일하다. 종묘와 관련된 기술은 세노수산의 ‘영업비밀’ 영역이어서 접근이 까다롭다. 취재 전에 회사 측은 양식 전반에 걸친 개론(槪論)적인 영역은 협조해줄 수 있지만 ‘특허’와 관련된 전문 영역은 공개할 수 없다고 양해를 구해왔다. 다만 매년 종묘를 채취할 때 종자 중 난류에 강한 품종을 정교하게 블렌딩 하는데 이 과정에서 세노 만의 특별한 기술과 노하우가 축적되면서 오늘의 세노수산을 만들지 않았나 한다. □ ‘김은 씨앗에서’ 우량종자 개발 ‘김맛은 씨앗에서 결정된다’ 세노수산이 금언처럼 여기고 있는 말이다. 10~15μm 미만인 김의 씨앗은 육안으로 거의 보이지 않는다. 마이크로 영역인 씨앗들을 다루는 작업이 쉽지 않음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세노수산에서 쓰는 김 씨앗은 모두 혼합종이다. 결실(結實)한 씨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개량해서 쓰기 때문이다. 양식장에서 가장 활성화된 포인트에서 우량 종자를 채취하고 여기에 맛이 좋은 품종을 혼합해 개량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매년 블렌딩을 거듭하면서 최적 조합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타카유키 씨는 “매년 검증된 같은 종을 사용하면 수확은 안정되겠지만 바다의 환경도 매년 바뀜으로 그때마다 종자를 개량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통 김의 씨앗은 굴 껍질 속에서 배양한다. 패각에서 배양된 유엽(幼葉)은 수조에 담겨진 후 김망에 감긴 수차를 회전시켜 활착을 시도한다. 물레방아가 수류(水流)를 일으키면 물결을 따라 씨앗들이 그물에 달라붙게 된다. 이 과정 속에서 작업자들은 중간중간 회전을 멈추고 그물에 씨앗이 잘 달라붙는지 확인해야 한다. 유엽들이 망(網)과 그물에 정착 된 것이 확인되면 양식장으로 싣고 나가 정식으로 그물에 부착한다. 이렇게 3주가 지나면 세노수산은 비로소 수확철을 맞는다. 양식장에 김이 본격적으로 자라는 과정, 직원들은 이 과정을 ‘김과의 대화가 시작되는 때’라고 말한다. 매일 새벽 바다에 나가 생육을 관찰하고 성장을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다. 어부가 김을 사육하고, 재배하는 일방적인 과정이 아니라 인간이 김에 눈을 맞춰 다가가는 양방향 소통 과정이라는 것. 김에 대한 열정과 끊임없는 노력이 오늘의 세노수산을 만든 원동력이 아닌가 한다. 세토내해와 포항의 인연은? 3세기 근기국 유민 세토 진출 일제땐 內海 어민 구룡포 이주 규슈, 시코쿠, 혼슈 세 섬에 둘러 쌓인 세토내해는 한반도 특히 포항과도 많은 인연이 닿아 있다. 육지 속의 바다(內海) 특성과 리아스식 해안 지형 탓에 세토 내해에는 옛날부터 해적들이 들끓었다고 한다. 삼국시대부터 한반도 조정의 골칫거리로 등장하는 ‘왜구’(倭寇)는 대부분 세토내해의 출신들이었다. 임진왜란 때 이곳의 해적들을 해군에 편재해 조선 침략의 수단으로 삼았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개화기 대한제국에 한일 양국의 문물을 교환하던 통신사의 주 항로도 부산-대마도-세토내해를 거쳐 오사카-도쿄로 이어지는 라인이었다. 세토내해와 포항과의 인연은 3세기 근기국(勤耆國) 연오랑세오녀 설화 때부터 시작된다. 근기국 멸망 이후 망명길에 나선 이주민들은 주로 시마네현, 돗토리현에 정착했다. 이들은 다시 본토 동쪽으로 진출하였는데 이들 중 한 갈래가 내륙의 산맥을 너머 오카야마(岡山), 카사오카 지방에 정착했다. 이 근처엔 4000여 개의 고대 고분이 산재해 있는데 이 무덤의 출토 유물들은 신라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원삼국 시대 이후 뜸해졌던 포항과 세토내해와의 인연은 일제강점기 이후 다시 이어지게 된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뱃길이 열리면서 구룡포엔 일본 어민들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구룡포 이주민들은 대부분 세토내해 지방의 어민들이었다. 당시 내해의 연안 어장은 최악의 상황이었다. 공동어장이 좁고 열악한 데다 조합들이 특권을 독점해 핵심 어업권을 모두 장악했기 때문이다. 이런 어민들에게 구룡포는 신천지이자 기회의 땅이었다. 그물만 드리우면 정어리, 삼치, 오징어, 고등어가 산더미처럼 잡혀 그물이 찢길 정도였다고 한다. 1908년 ‘한일어업협정’이 체결되면서 구룡포에 세토내해 어민들을 위한 거주촌이 본격적으로 형성 되었다. 그중 특히 가와현 출신 어민들이 많았는데 이는 초기부터 어민 이주를 주도해 온 하시모토 겐기치(橋本善吉)가 그곳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구룡포는 물론 포항시 중앙동, 동빈정 등에 일본인 상가, 가옥 거리를 형성하며 포항 경제의 큰 축을 형성했다. 1945년 패전 이후 이들의 대부분이 고향 으로 떠나면서 포항과 세토내해와의 1500년에 걸친 긴 인연도 끝나게 된다. /일본 카사오카시에서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

2025-07-06

‘3대 핵심 전략’에 군정 역량 집중, 경북 중심도시로 ‘재도약’

“계란은 스스로 껍질을 깨야만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납니다. 예천군도 변화와 혁신을 멈춘다면 더 이상 도약할 수 없습니다.”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김학동 예천군수가 던진 이 말은 지난 3년간의 군정을 관통하는 핵심 메시지다. 예천군은 팬데믹과 기후재난, 인구감소라는 삼중고 속에서도 기회를 포착해 과감한 변화를 추진하며 경북의 중심도시로 재도약하고 있다. 예천읍 원도심·도청 신도시 상권 도시 재생·인프라 혁신으로 활력 12개 읍·면 균형 발전에도 역점 각종 경기장 구축 체육 도시 도약 임산부·태아 건강·보건사업 지원 “출산부터 진학까지 지자체 책임” □ 행정은 ‘공익 비즈니스’ 경영마인드로 무장한 공직사회 김 군수는 취임 직후부터 “행정은 공익을 위한 비즈니스”라고 강조하며 공직자들에게 경영 마인드로 무장할 것을 주문했다. 예산이 부족한 지방의 현실에서 예천군 공직자들은 국회와 정부 부처를 누비며 예산 확보와 공모사업 유치에 온 힘을 기울였다. 특히 경직된 수직 문화에서 벗어나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로의 전환을 위해 간부부터 솔선수범하며 공감과 소통의 리더십을 실천해왔다. “선거로 인한 편가르기를 없애고 공정하고 투명한 행정을 통해 군민 화합을 유도했다”는 김 군수의 말처럼, 행정 신뢰 회복을 바탕으로 군민 중심의 정책이 가속화됐다. □ 원도심과 신도시 두 축을 살린 도시재생과 인프라 혁신 도청 신도시 이전으로 공동화가 우려됐던 예천읍 원도심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활력을 되찾았다. 단샘어울림센터, 청년센터, 아이사랑 안심케어센터, 희망키움센터 등 주민 맞춤형 공간이 속속 들어섰고, 평생학습센터 구축으로 주민들의 여가선용과 역량강화 그리고 원도심의 경기활성화를 위해 교육지원청과 공공도서관 신축, 청소년수련관 스터디카페 리모델링 등 교육·문화 인프라까지 확충했으며, 전선지중화사업과 간판현대화사업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도심의 미관을 개선하고 안전성을 높였다. 군 관게자는 “도청 신도시는 빠른 시일 내에 완성하여 예천군이 경북의 중심도시로 우뚝 설 수 있도록 모든 열정을 쏟고 있다”며 “도청신도시 생활편의시설 확충을 최우선으로 신도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도시에는 다함께돌봄센터, 청소년문화의집, 건강증진센터, 공동육아나눔터 등이 입주한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세워 어린이들의 돌봄기능과 청소년 문화공간 등 주민들의 생활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범우리공원 숲속놀이터와 태교숲, 미세먼지차단숲, 실개천 정비, 패밀리파크, 파크골프장까지 이어지는 자연친화적 환경 조성은 도심 속에서 자연과 여가를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했다. □ 읍면별 기초생활거점으로 균형발전 이끌어 예천군은 신도시뿐 아니라 12개 읍·면에 걸친 균형발전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각 읍면 소재지에 복지센터를 조성해 주민들이 취미와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했으며, 감천면 수한리, 지보면 마산리 등 14개 오지마을에 생활여건 개조사업을 추진해 교통, 주거환경, 문화공간을 개선했다. 이렇게 지난 3년간 적극 행정을 추진한 결과, 2023년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군부 전국 1위를 차지했고, 2024년에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하는 전국 지역발전지수평가에서 주민 활력 분야에 10년 만에 153위에서 59위로 껑충 성장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민선8기 마지막 1년, 3대 핵심 전략 김 군수는 남은 임기 1년 동안 스포츠·관광, IT·첨단농업, 교육혁신의 세 가지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육상과 양궁 종목에 대해서는 이미 국제대회를 비롯하여 크고 작은 다양한 대회를 개최하고 있고, 전지훈련으로 예천을 방문하는 선수들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에 육상교육훈련센터 준공과 양궁훈련센터 착공으로 이를 더욱 더 공고히 하고 파크골프, 그란폰도, 국궁 등 다양한 생활체육대회도 적극적으로 유치한다. 특히 신도시 도시첨단산업단지에는 e스포츠 국가대표훈련센터를 건립해 미래형 스포츠 도시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관광 인프라는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을 위해 단계적으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권역별 관광지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삼강과 회룡포를 전동차로 연결하고, 대형 전망대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금곡생태공원 준공, 석송령 주변 개발, 곤충생태원 휴게카페 시설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권역별 관광객들이 예천읍과 신도시 방문으로 이어져서 체류형 관광이 되도록 예천읍에는 개심사지와 옛기찻길을 정비했고, 남산공원에 유료 야관경관단지인 벅스루미나와 명품정원을 조성하고 신도시에는 도립미술관 건립이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곤충축제, 활축제, 농산물축제의 콘텐츠를 강화하고 예천한우특화센터를 연계해 지역 대표 먹거리를 개발, 즐길거리와 먹거리가 풍부한 고장으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예천군은 산업 체질 개선으로 청년이 돌아오는 도시로 경제적 자립부터 결혼·출산·육아까지 단계별로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청년센터는 다양한 분야 모임과 행사, 취업·창업 교육, 정보 제공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희망키움센터는 청년일자리, 창업자금 지원 등 청년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하고 있다. 지난 5월 KT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준공과 함께 도시첨단산업단지와 임대형 지식산업센터는 IT 기반 청년 일자리 창출의 핵심 공간이 될 예정이다. 농촌 분야에서는 공동영농단지를 조성해 청년들이 어르신들의 농지를 경영하도록 하고, 디지털혁신농업타운에는 스마트팜, 수직농장, 곤충·양잠산업단지를 구축해 청년들이 첨단농업을 체험하고 성장의 주역이 되도록 지원한다. 미혼 청년들을 위한 커플매칭사업과 결혼 이후 임신·출산·육아까지 단계별 지원도 준비해 청년층의 안정적 정착을 돕고 있다. □ 출산부터 진학까지 책임지는 명품 교육도시 예천군은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보건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신생아와 산모를 보살필 공공산후조리원을 운영한다. 아이사랑 안심케어센터, 다함께돌봄센터, 공동육아나눔터, 24시간 돌봄센터 등을 갖추며 전국 최고 수준의 돌봄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경상북도 융합돌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되어 돌봄서비스의 질을 대폭 높였다. 또한 예천군은 명품 교육도시라는 슬로건으로 지역의 교육여건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군수와 예천교육지원청 교육장, 군 의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 예천교육발전협의회를 발족해 지역 교육문제를 함께 고민하며, 미래교육지구사업과 교육발전특구사업에 선정돼 방과후 프로그램, 영어원어민교육, 해외연수 등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고교생을 위한 희망아카데미와 1:1 입시카페 운영, 교육 여건이 열악한 면 지역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둥지배움터 조성과 더불어 미취학 자녀부터 고등학생까지 각 단계별 자녀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학부모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할 예천학부모대학을 개설하는 등 교육의 질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민선 8기 3주년을 맞은 예천군.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변화의 껍질을 깨고 지역발전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있다. 경북의 중심도시, 예천의 비상은 이제 시작이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