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광일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벤치마킹이란 어느 특정 분야에서 우수한 상대를 기준, 목표로 삼아 자기 기업과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의 뛰어난 운영 프로세스를 배우면서 부단히 자기혁신을 추구하는 경영기법이다.필자는 기업에서 강의할 때 ‘혁신활동의 왕(King)이 누구일까요’라는 질문을 하고 답은 바로 벤치마킹(Bench marking)이라고 한다. 그만큼 벤치마킹은 혁신의 지름길이다.필자는 주말에 지인들과 함께 가까운 청도 여행을 갔다. 청도는 다양한 볼거리가 있었고, 먹거리도 있었다. 청도 읍성에서의 성벽 거닐기, 곤장 맞는 풍경보기, 한재 미나리와 삼겹살 먹기 등 그동안 쌓였던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기에 참 좋은 날이었다.그러나 뜻하지 않게 감동을 받은 것은 청도 신도리 마을의 새마을 운동 발상지 기념관이었다. 기념관을 관람하고 느낀 점은 기업에서 전원 참여 혁신활동을 하는 모습과 새마을 운동이 참 많이 닮았다는 점이다.‘세상을 바꾼 43일-새마을운동 발상지 신도마을 이야기’ 책을 펴면 “1957년 여름, 43일 동안 1천810명이 품을 보태 폭4m, 총 길이 2.5km 농로 확장공사를 맨주먹으로 끝마쳤다. 길하나 뚫었을 뿐인데 동네가 달라 보였다” 라는 글귀가 나온다. 이 마을을 벤치마킹하여 1970년 대한민국 새마을 운동의 서막이 열리게 된다.새마을 운동과 혁신활동으로 성공한 기업에는 공통점이 많은데 그 중 2가지를 이야기하고자 한다.첫째, 전원참여의 협동정신이다.새마을 운동에서 강조하는 부분은 1+1=2가 아니라 1+1=2+ a라는 것이다. 여럿이 힘을 합치면 능률이 오르고, 자신감도 생기고, 단결심도 강해져 진정한 협력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매헌 박승직 선생은 “잘사는 비결은 모두가 합심하여 한마음으로 고민하고 움직일 때 비로 이룰 수 있다”라고 한 것처럼 기업은 직원이 한마음으로 고민하고 움직이도록 면밀히 살펴야 한다.둘째, 살아 숨쉬는 전략이다.새마을 운동으로 한번에 Jump Up한 것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마을을 발전시켰다.진행은 기반조성단계(1970~73), 사업확산단계(1974~76), 효과심화단계(1977~79), 체제정비단계(1980~89), 자율확대단계(1990~99)의 5단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진행하였고, 마을 수준에 따라 기초 마을, 자조 마을, 자립 마을, 자영 마을, 복지 마을인 5개 마을로 분류하고 단계별 인증을 해 주었다.기업도 혁신활동을 스텝(Step)활동을 추진하여야 한다. 학교를 다닐 때 1학년을 잘 보내야 2학년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는 것처럼 건너뛰지 말고 단계별로 제대로 추진하여야 한다.한강의 기적을 이끈 새마을 운동, 한국 경제력 발전에 시초가 된 새마을 운동, 개발도상국 벤치마킹 대상 ‘No1’인 새마을 운동을 기업이 제대로 벤치마킹 하길 기대해 본다.
202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