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혁신성공 조건과 기업문화

등록일 2023-02-05 19:54 게재일 2023-02-06 18면
스크랩버튼
정상철 포스코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정상철 포스코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꿈과 비전, 목표가 기업의 조직과 사람을 움직이게 한다. 비전과 경영목표가 직원들의 공감을 못 이끌어내면 실패하게 된다. 경영자가 미래를 내다보고 통찰력을 바탕으로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분석하고 비전과 목표를 잘 설정하지 않으면 대기업도 흔들리는 사례들은 볼 수 있다. 기업에서 혁신을 어떻게 보는가, 혁신은 경영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한정 짓는 것은 일시적인 지략이고 100년 지속하는 문화로 가는 혁신은 지속적인 전원 참여의 문제를 드러내고 개선하는 기업 체질개선에 두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어떤 기업은 비전과 경영목표를 현실적이지 못하고 과도하게 설정하다보니 실행전략에서 무리수의 연속이고 급기야 큰 적자를 초래하는 경우를 만들기도 한다. 혁신은 올바른 설정없이 실패하게 되면 고급 낭비가 된다.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3가지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첫째는 제도의 관점이다. 혁신 제도를 입안할 때 탁상공론적이어서는 실행 못하거나 실패한다. 대내외 변화에 맞는 경영전략과 경영방침에 따라 혁신전략기획을 하고 그 초안은 철저히 현업 활동여건과 실행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제도 입안 초안을 가지고 현업 의견을 충분히 듣고 반영하고 실행의 주체 입장에서 제도를 입안해야 실행력이 높아지고 살아있는 제도로 갈 수 있다.

두번째, 운영의 관점이다. 운영의 성공조건은 미래 비전과 목표 설정, 목표 달성을 잘 하기 위한 상세 실행안을 수립하는 것과 Top의 지속적인 스폰서십을 받는 일이다. 혁신은 조직의 힘으로 움직이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일의 속성과 생산프로세스의 특징을 파악하고 적합한 혁신기법을 도입하는 것과 기업문화를 분석하고 혁신지향형 조직개편과 토양을 개간하는 일이며, 혁신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그리고 제도를 시스템화 하는 것과 인재육성이다. 세번째 진화의 관점이다. 혁신활동의 진화의 요건은 도입 시 기법의 이해와 필요성, 적합성, 효과성, 전략과의 연계성이 되어야 하고 모델활동을 통한 특징과 장·단점 파악, 혁신의 토양과 적용성, 자사에 맞는 창조와 내재화를 통한 문화에 이르게 하는 일이다. 이렇듯 성공하는 기업과 문화로 가는 혁신이 세계가 인증하고 통하는 기업의 혁신웨이가 탄생하는 것이다. 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혁신에 웨이를 붙이지 못하는 것은 왜일까.

필자가 P사를 컨설팅 할 때 한 부서는 문화로 가는 혁신의 기반을 갖췄다. 그 열쇠는 부서장의 혁신 관심도와 스폰서십의 지속성이었고 현업에 맞는 운영제도와 철저한 전 직원 공감대 형성이 실행으로 이어져 성공에 이르게 하여 Clean Factory 문화를 만들었다. 혁신이 일부 조직에서만 성공하고 물거품처럼 되는 것은 기업문화로 가지 못한다. 특히, 전문경영인 체제에서는 혁신활동을 인사와 매칭, 제도화 및 시스템화하여 지속성을 토대로 한 기업문화로 가야 한다.

기업 혁신이 성공 요건을 갖춰 문화로 가는 길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제도·운영·진화 등 3가지 관점의 혁신 성공 조건과 원리를 이해하고 실패하지 않은 길을 선택하여 가는 것이다.

기업과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