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 중 마흔일곱 번째는 경술(庚戌)이다. 천간(天干)의 경금(庚金)은 금(金) 기운 가운데 가장 세며, 지지(地支)의 술토(戌土)는 불타는 평원이다. 동물로는 하얀 개다.경술일주는 자기 주관이 뚜렷하며 냉정하나 내면은 온화하며, 정신적으로는 강한 성격의 소유자다. 마치 산 위에 불쑥 솟아오른 흰 바위 봉우리 모습으로 기상이 높고 변절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집념과 투쟁심이 매우 강한 일주다. 타고난 리더십으로 독립심이 강하고,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여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머리도 좋아 공부를 잘하며, 몸이 건장하여 운동에도 소질이 있다. 지성미의 매력을 풍기기 때문에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어 인기가 높다. 명예와 체면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명분 없는 일은 하지 않는 성격이다. 하지만 평소에 잘하다가도 한순간 성질을 못 참아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어 경계해야 한다.경술일주는 보름달이 떠있는 물상으로 풍류를 즐기고 예술적 감각이 뛰어나며 감성적인 성격이다. 안으로는 힘든 상황에서도 자신감을 잃지 않고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동시에 성취욕도 강하여 성공한 경우가 있지만, 옹고집으로 독불장군이 되기도 한다. 그로 인해 만년에는 외롭고 고난에 빠지므로 자기성찰이 필요하다.이와 같은 사례로 미국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1961)의 ‘노인과 바다’가 있다. 늙은 어부 산티아고는 84일째 물고기 한 마리도 잡지 못한다. 그러나 오늘도 물고기를 잡으러 나간다. 긴 항해 끝에 청새치와 마주하게 되고, 며칠에 걸친 사투 끝에 잡게 된다. 하지만 상어 떼로 인해 뼈만 남은 물고기를 가지고 돌아온다. 그리고 노인은 사자의 꿈을 꾸며 잠이 든다.그는 “인간은 패배하도록 창조된 게 아니야. 인간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라고 말한다. 늙은 어부를 통해 최악의 상황에서도 절망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나이 들어 약해진 본인의 모습을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헤밍웨이다.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나 단편소설 ‘킬리만자로 눈’에 나오는 표범처럼 강한 노인상을 산티아고에게 투영하지 않았을까. 이 소설 내용은 어느 작가가 아내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우연한 사고로 괴저병에 걸려 다리가 괴사(壞死)해가는 이야기다. 죽음을 예감하며 느끼는 공포와 회한이 녹아 있다.첫 구절에 “킬리만자로는 5천895미터 높이의 눈 덮인 산으로, 아프리카의 가장 높은 산이라 한다. 서쪽 봉우리는 마사이어로 ‘신의 집’을 뜻하는 ‘은가예 은가이’라 불린다. 서쪽 정상 부근에는 말라 얼어붙은 한 마리 표범의 시체가 있다. 도대체 그 높이에서 표범이 무엇을 찾고 있었는지 아무도 설명해 주는 사람은 없었다”고 쓰고 있다.경술일주 남자는 추진력이 좋고, 독불장군 스타일의 지도자형이다. 관심이 많고 무슨 일이든지 혼자 해결하는 책임감도 뛰어나다. 여자는 남자를 건사할 만큼 힘과 욕망을 가지고 있다. 남자가 무능한 경우가 많으며, 착하고 조용한 사람을 선호한다. 남녀 공히 시원시원한 외모를 가진 사람이 많다.경술일주의 술(戌)은 동물로는 백구(白狗)다. 개 술(戌) 기운으로 보면 하늘이 경(庚)을 치는데, 겁 없는 개(戌)가 홀로 맞이하는 격이다. 개는 전투견이거나 경비견 등 살벌한 기운을 가졌다. 평소에는 얌전하다가 화가 치밀면 칼을 휘두를 정도로 아주 무섭게 돌변한다. 마치 부조리한 꼴은 못보고, 다 쓸어버릴 기세다. 그러니 건드리지 말고 그냥 풀어두어야 한다.평소 말이 없고, 힘들어도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슴에 품은 뜻은 아주 크다. 기본적으로 폭력성이 있어 끝내 재물도 얻고 성공도 하지만, 결국 상처뿐인 영광이다. 그러나 거친 인생을 살수록, 많은 경험 할수록 성장하는 타입이다.현대사회의 폭력성은 학교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소위 ‘학폭’으로 사회에 문제가 되기도 한다. 소설가 전상국(1940-)의 소설 ‘우상의 눈물’은 새로운 학교 폭력을 다룬다. 고등학교 2학년 재수생 최기표는 악마의 자식이자, 폭력의 화신이다. 그에게는 독재자의 모든 특성이 남김없이 구비되어 있다. 담임은 기표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공부 1, 2등하는 형우에게 반장을 맡기고, 기표는 달래어 부반장을 시킨다.한 사건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는다. 반장 형우가 자발적인 부정행위로 최기표를 도운 것이 발단이다. 달라고 하지도 않은 떡을 주어 자신의 비위를 건드렸다는 것이다. 전치 2주의 린치를 당한 형우. 이 일로 형우는 영웅의 길을, 기표는 몰락의 길을 걷는다.
류대창 명리연구자
형우의 복수는 겉으로 아주 감동적이고 아름답게, 속으로는 용의주도하고 치밀하게 전개된다. 담임선생의 침묵 하에, 기표는 가난 속에서도 지극한 효성과 뛰어난 의리를 지닌 것으로 묘사되면서 악마의 자식에서 졸지에 천사로 둔갑된다. 형우는 기표의 삶이 한 인간의 위대한 승리로 포장시켜 매스컴에 조명을 받게 한다. 이 미담이 영화로 만들어지는 단계에 이른다. 마침내 영화사 제작팀이 찾아올 무렵에 기표는 홀연히 사라진다. 여동생에게 “무섭다. 무서워서 못 살겠다”는 글을 남긴 채.여기에 두 개의 폭력을 다루고 있다. 기표의 폭력은 드러난 물리적 폭력이다. 형우의 상처는 2주 동안의 입원으로 치유될 수 있지만, 담임선생과 반장 형우의 폭력은 진실과 호의로 가장했기에 폭력성이 한층 절망적이고 치명적이다. 기표처럼 악랄한 존재도 무력화시킨다. 기표가 “무섭다. 무서워서 못 살겠다”고 절규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우리는 타인을 알아가고 가까이 사귀어 신분을 공고히 하는 것을 사교 혹은 교제라고 한다. 하지만 대다수 사람들은 사회 속에서 타인과의 교제를 통해 자신의 순수성을 잃어간다. 심지어 비열해지기까지 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강인해져야 한다. 타인의 주장이나 인간관계에 휘둘리지 않고, 본래의 자신을 지켜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언가를 버리는 단호함과 용기, 통찰력이 필요하다. 그런 자만이 고독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고독 속에서 자신만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