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 중 오십여덟 번째는 신유(辛酉)이다. 천간(天干)의 신금(庚金)과 지지(地支)의 유금(酉金)은 모두 금(金)의 성질로 정교하게 세공된 보석이며, 은장도 같은 형상이다. 동물로는 흰 닭이다.
신유일주는 완제품 보석처럼 정교하고 화려하지만, 위험한 아름다움이 내재해 있다. 섬세함과 잔인함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숙살지기를 품고 있다. 숙살지기는 가을의 쌀쌀한 기운을 말한다. 이는 만물의 성장을 멈추게 한다. 실제로는 성장에너지를 거두어 저장하는 행위이기에 열매를 만드는데 집중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살리는 기운이기도 하다.
건전한 사람이 많고, 자립심이 강하여 혼자 힘으로 성공하는 자수성가형이다. 고난이 찾아와도 굳센 마음으로 이겨내는 힘이 강하다. 하지만 자신에 대한 확신이 강한 만큼 타인의 의견을 듣지 않고 갈등을 스스로 자초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신경이 예민하고 냉정하기에 고요하고 평온한 것을 좋아한다.
특징으로는 직관력이 발달하고 주관이 확실하여 부지런하며 강직한 성품이다. 자기 판단이 맞다고 생각하면 다 믿어버리는 기질이 있다. 한 번 꽂히면 끝까지 가는 성질 때문에 크게 성공할 수 있지만 실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60갑자에 3대 고집(을묘, 임자, 신유)이 있다. 그 중에서 신유가 가장 강하다. 고집은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고치지 않고 꿋꿋하게 버티는 성미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조선시대 이광려(1720∼1783)는 벼슬이 참봉에 불과했지만, 덕행과 학식이 높아 존경을 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백성을 배고픔에서 구하려는 고집과 집념으로 고구마 재배에 뛰어들었다. 중국에 가는 사신이나 역관에게 종자를 부탁했으나 허사였다. 그래서 일본 통신사로 가는 조엄에게 부탁해 고구마 한 포기를 구해 집에서 시험 재배했으나 실패했고, 동래부사 강필리에게 부탁해 몇 포기를 구했으나 또 실패하고 말았다.
이광려는 실패했지만 그의 구민(救民) 노력에 감명을 받은 강필리가 뒤를 이었다. 따뜻한 남해안 지역에 고구마를 심어 성공했으나 북상하지 못했다. 이어 김장순이 등장하여 선종한이라는 사람과 합작해 서울에서 시험재배에 성공한다. 서경창이라는 사람은 아무 지위도 없는 선비였다. 그는 실학을 연구하면서 식량문제 해결에 노력하여 북쪽지방의 가난한 백성들도 고구마의 혜택을 받도록 하자는 주장을 펼쳤다. 다음 차례로 전라도 관찰사 서유구는 모든 자료를 종합하여 ‘종저보’를 저술한다. 그에 의해 고구마는 남쪽 거의 모든 지역으로 전파된다.
이런 숱한 노력의 결과로 1900년대 초 고구마는 전국적으로 재배되었다. 그나마 뜻있는 선비들의 수백 년에 걸친 고집스러운 노력 때문에 고구마 토착화가 이루어졌다. 고구마에는 이 땅의 가난한 백성들을 기아에서 구하고자 했던 이름 없는 선인들의 땀과 노력과 집념이 묻어 있다.
신유일주 남자는 재주가 있고 자립심이 있으며 인정을 베풀 때는 봄눈 녹듯이 다정하다. 허나 냉혹하고 잔인한 면도 내재하고 있다. 머리가 좋고 능력 있는 사람에게 매력을 느끼는 편이다. 결혼할 때 여자의 외모보다는 능력을 우선시한다. 여자는 자기를 보석처럼 빛나게 해주는 남자를 선호한다. 남편을 친구나 동료처럼 대하는 경우가 많고, 금전에 대한 집착이 강해 알뜰하며 낭비가 없는 편이다. 남녀 모두 고집으로 충돌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신유일주의 유(酉)는 닭이며, 12지지 중의 대장이다. 그래서 우두머리를 뜻하는 추(酋)로도 쓰인다.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이 온다라는 닭이다. 대단한 집념이 있는 싸움닭이며, 죽는 줄 알면서도 나름대로 정의감으로 외길을 가는 성격이다. 닭의 역할은 어둠의 시기에 새벽이 멀지 않았음을 알리는 혁명적 기운이다.
천간 신(辛)은 음(陰)에 속하는 여자다. 찬바람이 휙휙 부는 마지막 잎새처럼 앙팡지며, 추운 겨울도 끝까지 버티는 맵고 찬 보석 같은 여자다. 타인을 위해 대가없이 희생하는 구도자적 정신도 겸비하고 있다. 하지만 남들이 보면 어딘가 취한 것 같다고 해서 술 주(酒)에도 사용된다. 배우자를 끝까지 사랑하며, 사별하면 다시 배우자를 찾는 것도 닭 유(酉)의 성질이다.
남자에 취하건, 사랑에 취하건, 어딘가에 의지해서 취해야만 사는 사람. 남자가 그러한 여자를 만나거나, 여자가 그러한 남자를 만나면 정말 멋있는 일이다. 러시아 극작가 안톤 체호프(1860∼1904) 소설 ‘귀여운 여인’에 나오는 주인공 올렌카다. 올렌카는 누군가를 사랑해야만 살 수 있는 여자였다.
올렌카는 사랑스럽고, 귀여운 여인이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우울하던 때에 전형적으로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극장의 공연매니저 쿠킨을 만나게 된다. 그가 힘들어 하고 짜증내는 모습을 보면서 연민을 느껴 사랑에 빠지게 되고 그와 결혼한다. 그가 죽자 올렌카는 다시 우울해진다. 그러던 중 목재상 프스토발로프와 만나 사랑에 빠지고 결혼한다. 잉꼬부부로 소문난 그들을 죽음이 갈라놓았다.
그러나 올렌카의 사랑은 또 이어진다. 대상은 다르지만 사랑의 속성은 동일하다. 자기 집 별채에서 세 번째 사랑을 찾은 것이다. 세 들어 살고 있는 수의사 스미르닌은 군대를 따라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몇 해가 지나 수의사가 어린 아들 샤샤와 함께 돌아왔다. 올렌카는 자신이 낳은 아이가 아니었음에도 모성애의 기쁨에 빠져 행복해 한다.
올렌카가 귀여운 것은 그녀가 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의지해야 하고 누군가와 함께할 때 행복해 한다. 자크 라캉의 ‘타자의 욕망’이 자신의 욕망으로 둔갑하여 자신의 욕망이라 착각하고 있는 것처럼 자신의 견해라 믿었던 것들이 사실은 남편의 생각인 것이다. 혼자가 된 그녀는 늙어가지만, 어린 샤샤를 만난 후 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되면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게 되었다. 사랑하는 자는 자신의 모든 것을 상대에게 주려고 한다. 사랑받길 원하는 자는 상대가 자신을 다시 한 번 정성스럽게 포장하여 보내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