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서(大暑)와 명리 이야기

등록일 2024-07-10 19:34 게재일 2024-07-11 17면
스크랩버튼
이지안作 ‘coexistence of time’

24절기 가운데 열두 번째가 대서(大暑)다. 태양의 황경이 120도에 위치하며, 2024년에는 7월 22일(음력 6월 17일)이다. 음력으로는 6월의 절기다. 대서는 소서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다.

대서(大暑)는 ‘큰 더위’라는 뜻이다. 일 년 가운데 가장 더운 때다. 소위 찜통더위, 불볕더위라고 한다. 소서 때부터 장마전선이 우리나라에 동서로 걸쳐지기 때문에 큰 장마가 자주 발생한다. 장마가 끝날 무렵 고온다습한 무더위가 절정에 이르며, 밤에는 열대야 현상 때문에 잠을 청하기에 괴로움이 따르는 시기다.

농촌에서는 장마철에 부쩍 자라난 잡초를 베어 퇴비를 장만하고, 논밭에 무성한 김매기에 여념이 없다. 가을보리를 베어낸 터에 콩이나 팥 등을 심어 이모작을 하기도 한다. 속담으로는 ‘염소 뿔도 녹는다’가 있다. 즉, 무더위 때문에 염소 뿔도 대서 더위에 녹는다는 이야기다. 또 농사일로 가장 바쁜 때기에 ‘소서, 대서 하루 놀면 동지섣달 열흘 굶는다’는 말이 있다.

대서에는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고, 채소가 풍족하다. 참외와 수박 등 과실이 풍성하며, 과일이 가장 맛있을 때다. 한여름 태양 아래 단맛이 차오르지만, 비가 자주 오면 단맛이 희석된다. 수박은 가뭄 뒤에 제 맛을 낸다고 해 대서의 수박을 가장 좋게 쳤다. 저녁 땅거미가 내리면 박꽃은 하얗게 피어나고, 새벽 햇살에 호박꽃과 나팔꽃도 핀다. 또한 대추, 밤, 호두도 영글어간다. 산에는 으름과 다래가, 산길에는 산딸기가 익어간다.

명리학에서 대서는 미월(未月)에 해당하며, 소서와 대서를 포함하고 있다. 미(未)는 오행으로 토(土)이며 조토(燥土)다. 즉, 이글거리는 태양 아래 황량하고 메마른 땅이다. 미시(未時)는 화(火)기운이 정점에 달하고, 하루 중 가장 더운 때다. 양기가 왕성한 가운데, 음기도 서서히 일어나 만물을 생육하고 기르는 기간이다. 무더위가 기승을 떨치나 이미 가을을 향하고 있다. 음양의 극적인 대립으로 인해 장마와 태풍이라는 자연현상을 자주 보여준다.

사주에 미(未)가 있는 사람은 화(火)의 불타오르는 성질로 인해 남을 배려하는 마음과 희생정신이 있다. 뒷끝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기 방어적이고 민감한 성격으로 모성애가 남다르다. 자신과 가정을 위해 무엇이든 축적하려는 성향이 있다. 폭발력과 급한 성격으로 인한 자존심과 고집 때문에 피해를 입을 수가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사교와 화술이 뛰어나 구설수가 따른다. 또한 남의 간섭을 싫어하는 성격 탓에 외톨이가 될 수 있으니 자중해야 한다.

대서(大暑)를 전후해 민간에서는 햇볕에 옷을 말리고, 사찰에서는 경서를 꺼내어 습기를 제거하기도 했다. 무더운 낮에 갑자기 폭우가 내린 뒤에 미꾸라지들이 마당에 떨어지는 일이 종종 있다. 빗줄기를 타고 하늘로 치솟았다가 땅으로 떨어진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해먹으면 기운이 솟구친다는 속설이 있다.

대서 때에는 흙이 습하고 뜨거워지며 종종 큰비가 내린다. 이때부터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니 구석진 곳에서 귀뚜라미가 보이고, 매가 후려치는 연습을 하며, 썩은 풀이 반딧불로 변한다고 한다. ‘태평어람’에서 허신은 ‘풀이 음기를 얻으면 죽는다. 음(陰)이 지극해지면 그 가운데서 오히려 양(陽)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썩은 풀이 반딧불로 변하는 것이다’라고 풀이한다. 즉, 한대(漢代) 사람들은 썩은 풀 주변에 반딧불이 모여드는 광경을 보고 썩은 풀이 반딧불로 변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대서 기간에 백중(百中·음력 7월 15일)이 있다. 백중은 불교에서는 우란분절이라고 하며, 스님이 수행하는 하안거가 끝나는 날이기도 하다. 이때 영가들을 위한 천도재를 봉행하기도 한다. 이 무렵에 갖가지 과일과 채소가 많아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고 해서 백종(百種)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돌아가신 조상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음식, 과일, 술을 차려놓고 천신(薦新·철따라 새로 난 과일이나 곡식을 처음으로 신위에 올리는 일)을 하였으므로 ‘망혼일’이란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미(未)는 주역으로 보면 천산둔(天山遯)괘다. 위로는 양효가 4개 있으며, 아래로는 음효가 2개 올라오고 있는 모습이다. 흔히 소인의 세력이 자라나는 괘로 풀이한다. 소인이 아래로부터 득세해 올라오니 군자가 그 세(勢)에 밀려 스스로 물려나는 은둔의 괘라는 것이다. 그래서 ‘둔(遯)’이란 괘명이 됐다.

‘설문해자’에 의하면 둔(遯)은 착(辶)자와 돈(豚)자가 합쳐진 것이다. 집에서 기르는 돼지가 우리에서 뛰쳐나와 도망하는 것은 더 이상 갇혀 있다가는 굶어 죽게 생겼기 때문이다. 챙겨줄 주인이 없으니 스스로 살 길을 도모할 수밖에 없다. 원래 돼지는 가(家)의 상징이다.‘가(家)’란 글자는 돼지(豕)를 기르며 한 울타리(宀)에 모여 사는 혈연집단을 묘사하는 글자다. 둔(遯)은 국가가 허물어지는 모습을 돼지가 우리를 벗어나 도망하는 것으로 비유한 셈이다.

류대창명리연구자
류대창 명리연구자

천산둔괘는 하늘 아래 산이 있는 형상이다. 산은 높고 낮음이 있다. 그러므로 함께 나란히 서 있는 것은 인간사로 말하면 지위가 다른 사람이 함께 서 있는 것과 같다. 낮은 산이 높은 산을 보고 욕심을 낼 리야 없지만, 인간사는 그렇지 않다.

어차피 산의 높이가 같을 수 없듯 사람의 지위도 같을 수 없는 일이고 보면, 평화롭게 공존하는 방법 외는 다른 길이 없다. 그러나 권력에 대한 욕망은 파멸에 이르러서야 깨닫는 법이다.

주역은 인간사와 자연을 동시에 말하고 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다간 자칫 전체 맥락을 놓치기 쉽다. 인간사로 말하면 부부관계가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이 최상이지만, 자연에는 그런 것이 있을 수 없다.

자연에는 언제나 변함없이 제자리를 지킬 수 있는 것이 어렵다. 인간사에서도 시대의 부침에 따라 물러설 줄도 알아야 한다. 그것은 대서의 무더운 여름도 다가올 처서(處暑)에 자리를 비워줘야 한다는 이치를 알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류대창의 명리인문학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