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부산 금정산

등록일 2015-10-23 02:01 게재일 2015-10-23 12면
스크랩버튼
마음이 맑아야 보인다는 상서로운 코끼리, 보이나요?
▲ 금정산은 부산시민들뿐만 아니라 전국 등산객으로부터 사랑을 흠뻑 받고 있는 부산의 진산이다. 옛 성곽들의 흔적과 기암을 보며 자연 속을 걸어보는 재미가 쏠쏠한 산행코스다.
▲ 금정산은 부산시민들뿐만 아니라 전국 등산객으로부터 사랑을 흠뻑 받고 있는 부산의 진산이다. 옛 성곽들의 흔적과 기암을 보며 자연 속을 걸어보는 재미가 쏠쏠한 산행코스다.

`떡 본 김에 제사지낸다`는 말이 있다.

`우연히 얻은 좋은 기회에, 하려던 일을 해치운다`는 말인데, 지난 주말 부산에서 개최된 영호남수필문학협회 행사에 참가하러 갔다가 시간을 이용해 부산의 진산, 금정산에 올랐다.

국내 산성 중 가장 긴 금정산성… 숙종때 기록 남아

용으로 승천한 이무기 전설의 `미륵암` 신성함 가득

정상 고당봉 바위위 `금샘` 또다른 명소 입소문 자자

금정산에는 지난해 여름에 산행을 했고, 본지에 `빗줄기·안개에 휩싸인 적막한 자연 고독한 것은 사람이더라`는 부제로 게재(2014.8.1.자)한 바 있으나 이번에는 그 때 오른 범어사에서 정상인 고당봉을 오른 것이 아니라 가지 않은 코스인 서문에서 시작해 북문을 통해 원효봉과 의상봉에 올랐다가 하산하는 코스를 택했다.

금정산은 부산시민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는 산이다. 도심에 우뚝 솟아 있으면서도 옛 성곽들의 흔적들이 있어 주말뿐만 아니라 평일에도 시민들이 많이 찾아오는 산이고, 등산 들머리나 날머리가 곳곳에 많아 이용하기도 편한 곳이다.

금정산성(사적 215호)은 총 길이가 1만 8천845m로 국내에서 남아 있는 산성 가운데 가장 길다. 그동안 부산시와 금정구청이 `금정산성복원사업`을 추진해서 북문과 동문 등이 많이 보수됐고, 성벽, 암문, 장대, 망루 등의 시설물 복원과 함께 산책로가 정비됐으며, 연차사업으로 계속 정비계획 중에 있으며 2022년 쯤에야 이 사업이 완료되는 것으로 필자는 알고 있다.

어떠한 산성도 마찬가지지만 금정산성은 국방의 목적으로 쌓았다. 산성을 쌓은 시기는 문헌상으로는 확실하지 않으나 남해안과 낙동강 하류에 왜구의 침입이 심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신라시대부터 성을 쌓았다는 견해도 있지만 자료에 의하면 조선조 숙종이 1703년(숙종 29년)에 돌로 산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금정산 등산은 서문에서 시작해 전망대애 올랐다가 북문으로 해서 원효봉과 의상봉을 거쳐 4망루, 3망루로 해서 동문을 빠져나와 산성고개에서 산행을 완료할 계획인데 총 거리는 km로 5시간 정도 예상한다.

서문을 찾아가니 계곡에 세워져 있다.

이곳은 금정산성 성곽 가운데 가장 낮은 곳이고 다소 험하고 아직까지 길 정비가 잘 되지 않아서 등산객들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10시 반경 서문을 출발해 산행길에 나선다. 산행이라고 하지만 도심내 자리잡은 성곽을 타고 한 바퀴 도는 코스니 마음마저 가볍다. 길을 따라 걷다가 좌측으로 향해 도원사 안내판을 따라 직진하다가 좌측 방향으로 가니 갈림길이 나온다.

갈림길에서 좌측 성곽 방향을 틀어 진행하니 청소년수련원을 우측에 끼고 장골봉쪽으로 오를 수 있다. 암문을 지나 금곡동 갈림길에서 미륵사 방향으로 가는 길은 능선길이다. 이쪽 산행코스는 아직 본격적인 등산로 개발이 안 되어서 그런지 야산이나 다름이 없다.

▲ 4망루에 오르는 길. 주변 경관이 일품이다.
▲ 4망루에 오르는 길. 주변 경관이 일품이다.

금곡동갈림길을 지나 곧장 걸어가니 또 갈림길이 나오고, 가파르지 않은 길을 걸어가니 저 앞 바위암 밑에 자리한 사찰이 보인다.

갈림길에서 왼편으로 가면 고모당, 고당봉으로 가는 길이고, 오른편은 미륵사, 북문 가는 길인데 필자는 미륵사로 해서 북문으로 가기로 마음잡았다.

산속에 있는 사찰들은 대개가 경관이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는데 미륵사도 마찬가지다. 경내에서 보니 사찰 뒤편 암릉이 겹쳐진 바위 군들의 모습이 필자 같은 사람들은 잘 모르겠지만 마치 무엇을 형언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자료를 들춰보니 이야기가 나온다. 옛날 금정산 미륵봉(712m)을 병풍처럼 두른 바위굴 속 연못에 이무기가 살다가 용으로 승천하였다.

바로 그 자리에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미륵암`이라 이름 지었는데, 미륵암이란 염화전 법당 뒤 암봉이 마치 화관을 쓴 미륵불처럼 생겨서 사람들에게 신성한 기운을 준다고 해서 이름 지었다는 것이댜ㅏ.

이 암봉에는 코끼리 형상을 하고 있는 바위가 7개 있는데 코끼리는 상서로운 동물로 보는 사람들의 마음이 맑아야 이 바위에서 코끼리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필자가 아무리 쳐다봐도 코끼리를 찾을 수가 없으니 세속에 찌들었다는 것을 내심 알 수 있는데, 그래서 부지런히 산행을 하며 자연의 지혜를 배우고 인내를 배우는 것이라 생각하니 마음이 편하다.

미륵암에서 북문까지 거리는 900m 정도로 15분이면 당도하는 가까운 거리다. 송림이 우거져 조용한 길로 오솔길 같은 느낌이 드는데 도시근교에 이렇게 좋은 산이 있고, 사색하며 걸을 수 있는 길이 있다니 좋은 일이다.

북문에 당도하니 이곳에는 사람들이 좀 많은 편이다. 건너편에 있는 금정산 정상, 고당봉(801.5m)이 가장 눈에 먼저 들어온다. 이미 본지에 소개한바 있지만, 금정산은 낙동정맥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산으로 주봉인 고당봉은 화강암의 봉우리이다.

이왕 고당봉 이야기가 나왔으니 하나 더 추가해보면 `금샘` 이야기다. 정상에서 조금 위쪽에 높이 10m 쯤 되는 바위위에 물이 고여 있는 상태의 금샘이 있는데, 이 금샘은 금정산의 비경으로 소문나 있어 금정산을 오르는 사람들은 고당봉과 함께 필수적으로 들리는 곳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금정산 산정에 세 길 정도 높이의 바위가 있는데 그 위에 우물이 있다. 둘레가 10여척(尺)이며, 깊이는 7촌(寸)쯤 된다. 황금색 물이 항상 가득 차 있고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다`는 기록도 있다.

▲ 금정산 산행에서 만나는 암봉.
▲ 금정산 산행에서 만나는 암봉.

이제 원효봉으로 향한다.

그곳까지는 700m거리이나 가는 길이 오르막길이어서 20분 남짓 소요된다. 성곽정비 덕분으로 산행길은 잘 정비되어 있다. 고당봉에 올랐다가 하산하는 등산객들을 따라 걸어 가다보니 어느덧 원효봉에 도착했다.

원효봉은 금정산 동쪽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시야가 확 트인면서 동해바다가 내려다 보인다. 이 봉을 예로부터 `으뜸의 새벽` 원봉이라 불렀는데, 그것은 어둠을 헤치고 동해로 떠오르는 햇빛의 기운이 이 산 봉우리에 가득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을 것으로 짐작된다. 새벽은 아니지만 원효봉의 기운 속에서 가을날, 금정산의 서정을 노래해본다.

`한 마리 금빛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산 위/ 우물 속에 놀았다`는/ 금정산을 다시 오른다./ 평일이라 등산객은 적지만/ 가을 산길에서 만나는/ 풍경들은 하나같이 곱다./ 북문을 거쳐/ `으뜸의 새벽` 원봉이라는/ 원효봉에 올라서서/ 동해바다를 바라보다가/ 천천히 성곽 길 걸으니/ 한나절, 도심의 산은 내게/ 끝없는 위안을 안겨준다.`(자작시 `금정산 원효봉에서` 전문)

원효봉에서 주변을 조망하다가 다시 내려서서 원효봉과 4망루쪽으로 향한다. 저 아래보이는 4망루와 3망루를 지나 동문으로 가면 금정산 산행이 끝나게 되는데, 이제부터 나오는 길은 잘 정비된 성곽 길을 걷는 길이니 트레킹 수준으로 더 천천히 걸으면 힐링 길이나 다름이 없다.

의상봉을 지나 4망루에 도착했다.

여기에서 보는 풍경도 북문이나 원효봉에서 보는 거와 마찬가지 느낌이다. 통상적으로 필자가 성곽이나 유적지가 있는 곳을 탐방하거나 그 길을 걸으면 마음이 무겁게 다가온다. 그러나 이번 산행길은 지난번 금정산을 등산하면서 금정산성에 대한 내용도 알았고, 두 번째 오게 되니 걸음걸이와 마음이 가벼운 편이다.

▲ 금정산 성곽 주변의 암문 모습.
▲ 금정산 성곽 주변의 암문 모습.

망루에 올라 구경나온 사람들 속에서 이곳저곳을 둘러 보고나서 내려서서 3망루로 가면서 왼편으로 나타나는 동자바위나 부채바위의 괴암을 보면서 자연이 만들어준 조화 앞에 다시금 자연을 경외하는 마음을 가져본다.

화강암이 자연풍화작용과 곁들여져 만들어낸 부채바위, 수직으로 서 있는 암괴들이 마치 부채와 같은 형상으로 펼쳐져 있어 붙여진 이름인데, 이 명칭은 암벽을 즐기려 금정산 등산을 온 등반가들 사이에서 불려오던 명칭이 그대로 불러지고 있다.

3망루에서 동문으로 내려선다. 양편에 나무숲이 있는 잘 닦여진 흙길을 걸어 동문에 도착했다. 동문은 4개 성문 가운데 금정산에 접근하기가 가장 쉬운 장소다.

사대문 중 가장 크고 동래읍성이 있던 곳과 가까워 정문의 역할을 했던 문이다. 1806년(조선 순조 6년)에 동문을 새로 지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재의 모습은 1972년부터 91년 사이에 복원한 것이다.

동문을 지나 5분 거리에 있는 산성고개에 도착하니 오후 4시 반이나 됐다. 지금은 잘 정비돼 있지만 몇 년 전만 해도 금정구 장전동에서 금정산성으로 오르는 이 고갯길은 경사가 급하고 산허리를 휘감아 구불거리며 오르는 험한 산길이었다.

필자는 서문에서 시작해 6시간의 산행을 즐겼다.

주말의 다른 산에 오르는 등산계획이었다면 조금 더 빠른 행보로 산행을 마쳤겠지만 이번은 다르다. 모처럼 부산에서 평일 시간이 있어 지난번 금정산 산행 코스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오르는 북문에서 동문사이의 길을 산행했다.

▲ 손경찬/수필가·예술소비운동 본부장
▲ 손경찬/수필가·예술소비운동 본부장

부산사람들은 `역시 금정산이다`는 말을 한다.

부산시 행정구역 안에 있는 30여개 봉우리 가운데 가장 높고 도심에 자리한 자연 휴식처이기에 시민들이 좋아한다.

휴일이 되면 시민들과 함께 전국에서 찾아드는 산행객으로 등산로가 혼잡할 정도라 하니 인기를 가늠할 수가 있다. 산성 주변의 산책길 정비가 잘 정비되었다고는 하나 금정산이 워낙 큰 편이어서 아직도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숨은 산행 코스가 많다. 앞으로 금정산이 시민들이 바라고 있는 국립공원이 되면 산행로 개발이 더욱 잘 될 터이고, 금정산성도 잘 정비될 것으로 보이는데 기대가 크다.

기회가 생겨 지난번 금정산에 올랐지만 가보지 못한 코스로 다시 금정산에 올라 가을 속의 자연을 마음껏 탐닉하며 많은 생각을 하며 편안하게 산행했으니 이 또한 기쁜 일이 아니겠는가?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