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규 경북대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10년 전 고향의 후배이기도 한 이중기 시인에게서 자신의 시집 ‘시월’(삶창)을 전해 받으면서 늦은 시간까지 고향 영천을 이야기한 적이 있다. 그리고 잠시 백신애문학기념사업회 대표를 맡아 달라고 하여 1여 년 소통한 인연이 있다. 그는 참 아름다운 시인이라는 생각에는 늘 변함이 없다.지난 시간과 공간을 기억하거나 회상하는 과정에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그 공간에 유통되던 방언이 출연한다. 영천 농민 시인인 이중기의 시에는 유독 역사성, 특히 10월 항쟁의 이야기를 재해석하면서 방언이 낯선 얼굴을 내민다. 10월 항쟁의 증언과 진혼의 시편들이 역사적 궤적과 일치하느냐의 문제는 별개로 삼더라도 그의 시편 속에는 영천의 숲속에 살던 분노한 사람들의 영혼을 불러내는 제의성을 띄고 있다. 마치 공수하는 언어의 모습으로 방언들이 빛을 드러낸다. 시인이 민란이냐 항쟁이냐를 평가하거나 재단할 만한 이유를 찾는다거나 화북에서 150여 명이 죽고 이직골에서 300여 명이 처분되었다는 풍문인지 사실인지의 문제를 뛰어넘은 한 시인의 회상적 상상력은 독자들을 환기하기에 충분하다. 예술의 프로파간다적 미묘한 힘이 사회비판적 기능과 엮이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시문학은 직접적인 이데올로기가 될 수는 없다. 시는 깨끗하게 처리된 역사도 아니고 이념도 아니다.‘높게더기’, ‘한털뱅이’(서시), ‘깐깐오월’(가죽풍구), ‘생량머리’(밀수출), ‘질금’, ‘더꺼머리’(하곡수집령), ‘보쌀치기’, ‘쪼매만’, ‘쯔그렁’, ‘작달비’(도정 금지령), ‘노굿이’, ‘힘아리’, ‘가무살이’, ‘가치배미’, ‘전나귀’, ‘찔끔’, ‘아갈잡이’(공출량조사), ‘참지름’(영천아리랑), ‘중뜸’(옥장이 아버지), ‘성걸어’(배내기 소), ‘살결박’(새벽 북소리), ‘되직’(면죄부 장사), ‘살결박당한’(입산)과 같은 신선하고 아름다운 토속어가 시 곳곳에 묻혀있다. 그러나 시인의 작품은 대구, 경주, 포항으로 확대된 10월 항쟁이라는 사건을 친일파와 미군정이 빨갱이를 단죄하는 과정에 피를 흘렸던 민중들의 시각을 대변하기 때문에 다소 격렬하고 견강부회의 장면들이 나타나 작품의 예술적 심미의 충격을 줄인다. 역사를 주관적 차원에서 해석한 것이어서 객관적 차원의 사회과학적 진실과는 격리될 수도 있다.“성질대로 한다면 그 새끼들 다 때려죽인 뒤/ 나는 그만 칼을 물고 팍 엎어지고 싶지만 그러나 우짜겠는기요, 성님/아 새끼들이 배고프다고 징징거릴 때마다/ 죽은 어무이 생각보다 먼저 성님 얼굴 떠오르니더/ 그러이 이 판국에 우짜겠는기요/ 배급은 두당 두 홉 네 작으로 즈그들이 정해놓고/ 다섯 식구 목구녕으로 곡기 넣어본 지가 언젠데/ 아나 여깄다. 쌀 한 동가리 안 주니더/ 씨팔, 이게 무신 나란기요.”(이중기의 ‘두형제’) 10월 혁명의 배경을 설명하는 대목과 연결된다. 작자의 상상이 감정을 폭발시켜 시 정신을 멈추게 한다. 너무 배가 고프다고 할 때나, 너무 추워도 옷을 헐벗어 분노할 때, 시는 사라진다. 잔인한 당시를 간접 체험으로 상상력을 자극할 경우 더욱 격렬해져 보편성의 한계를 좁히고 있다. 그 사이에 향토 방언이 섞여들면서 예술적인 소재주의의 한계를 좀 뛰어넘도록 도와주고 있다. 정경묘사를 위해 방언이 토속의 일부가 되고 오리무중으로 엷어진 시인의 의식을 이데올로기의 손이 닿지 않는 곳으로 굴절시켜주기도 한다. 이렇듯 방언은 저항적 시작품에서 사회성에서 일탈하여 심미성으로 물줄기를 돌려주는 효과를 발한다.이중기 시인의 ‘시월’(‘삶창’, 2014)은 고향을 지켜온 농민이자 시인으로서 듣고 보아온 10월 항쟁의 생채기를 시의 힘으로 폭로하고 싶다는 목적의식이 다분하다. 역사의 리얼리티 문제와 해석의 문제 이상으로 문학의 예술성의 깊이가 더 중요하다. 사회성의 문제나 정치적 이데올로기 문제보다 더 강력한 충격을 전달하기 위해 그가 동원한 것은 현장의 시어다. 이중기 시인이 질서의 붕괴를 노린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사회비평의 일부로 시의 예술적 지위와 질서를 붕괴시키지 않는 유효한 장치가 되었다. 그의 시에 일관하는 서사적 구조와 사투리의 토속적 분위기는 사실성 문제의 시비를 줄여주는 장치가 되었다. 다만 이런 고발적 문학 작품의 사실성과 시적 정직의 문제는 별도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2024-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