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윤호 시인은 강원도 정선에서 출생했다. 1991년 현대문학에 시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한다. 2002년 시와시학 젊은 시인상을 수상한 후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현대시인협회에서 간행한 방언시집 ‘요엄창큰비바리야냉바리야’(서정시학, 2007)에는 강원도 정선 방언으로 쓴 시‘마바리’를 발표하였다. “머이 우태 내게 사랑이란 건/ 마카 뺑때에 걸린 골낭구처럼/ 춥고 적적해서/ 단최 가까이하기 어렵드라/ 니는 당장에야 나가 좋다고/ 착착 달라붙지만/ 까마구 얼어 죽는 겨울이 지나면 / 갱물도 풀려 흘러가는 법/”(전윤호‘마바리’)와 같이 입에 착착 달라붙는 정선방언이 쏟아진다. ‘마바리(멍청이)’, ‘마이 우태(결국)’, ‘뺑때(절벽)’와 같은 방언 낱말의 맛깔은 강원도 사람이면 다들 머리 끄덕이며 발화하고 싶은 강원도 토박이말이다. 뿐만 아니라 “등신처럼 울어 쳐대는 나를 떠나”와 같은 구절에는 정선아리랑의 가락이 실려 있다. 그의 9번째 시집‘정선’에는 오직 시인의 고향인 정선만을 을 주제로 한 60여 편의 시가 고향을 노래하고 있다. 시인의 고향 정선에 대한 그리움과 추억과 사랑이 오롯하게 녹아 있다.
시에서 방언이 힘을 발휘하는 이유는 고향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인을 비롯, 모든 이들이 꿈꾸는 이상향이요, 모두가 그리워하는 기억 속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지나간 시간과 공간의 교점에 남아있는 존재들은 이미 사라졌거나 아니면 희미한 기억 속에 묻혀버린다. 객체의 소멸과 함께 주체 역시 그리움을 남겨두고 사라지고 있다. 지난 시간과 공간의 기억을 호명하는 열쇠는 그 시공간에 유통하던 언어 곧 방언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 삶은 시간과 공간 속에 이루어지는 만남으로 구성되나 그 삶은 유한하다. 유한하기 때문에 인간들은 과거로 향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서 만난 사람들의 관계를 희미한 기억 속에서 꺼내고 반추하면서 영원히 간직하려 한다.
전윤호 시인은 ‘고향’이라는 시로 시작해 ‘정선을 떠나며’라는 시로 마무리한다. 그 공간과 시간 속에 나누었던 기억들의 별빛이 바로 향토색 짙은 언어들이다. ‘아우라지, 곤드레, 아라리, 여량, 동강할미꽃, 정암사, 구절리, 운탄고도, 민둥산, 화암약수, 만항재, 정선시장, 용마소, 수리취떡, 용소’ 등 고향 주변의 장소와 사물과 음식들은 시인의 기억 속에 간직되었다가 시라는 배경으로, 그림으로, 냄새로 그대로 그려져 나온다. 전 시인의 문학의 산실은 바로 고향인 정선일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시인의 동료이자 선배인 최준 시인은 시집의 발문을 통해 “이 시집은 이별과 서러움과 같은 전통적인 정한(情恨)의 정서가 전편을 누비지만, 들풀처럼 무성한 그의 고향 사랑이 행간마다 절절하게 녹아들어 있다”고 평가했다.
고향을 떠난다는 것은 더 넓은 장소로 그리고 다 빠른 시간성을 경험하는 것이다. 그럴수록 지난 시간 속에 잠겨 있는 고향의 전경은 더욱 그리워진다. 문명의 빛이 더디게 쪼이는 미명의 두메산골이지만 그 삶의 공간이 아름답게만 느껴지는 이유가 뭘까? 남이야 뭐라고 하든 ‘마바리’같이 일에만 죽자고 매달린 삶인 ‘일바보’이자 ‘밥장군’인 초부의 삶에 매달린 이유는 자유다. 세상의 끄나풀에 엮이지 않고 어느 누구가 관심을 두지 않아도 그냥 내버려둬도 오순도순 잘 살 이상향이다. “정선은 사람 수보다 산봉우리 수가 많은 곳”이라고 했지만 그곳은 귀한 사람이 제대로 대접받을 수 있는 공간이다. “영하 십칠 도의 아침/ 29억 톤짜리 악모에서 깨어/ 서리꽃 핀 산을 바라본다/ 123미터도 부족한가/ 평생을 가둬놓기엔 자갈과 모래로 다진 530미터 벽 아래/ 여전히 얼지 않는 저 거대한 슬픔/ 강으로 흘리는 눈물 천 리를 가는데/ 후회로 묶여 흔들리는 배 한 척/ 이제는 알겠다 사랑하는 사람이여/ 평생을 돌아오지 못한다 해도/ 슬픔도 깊으면 힘이 세진다.”(전윤호 ‘소양댐’) 고립된 정선의 경관 속에서는 외로우니까 더욱 슬퍼지고 슬퍼지니 더욱 힘이 세어진다는 역설의 시편들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전윤호 시인은 ‘슬픔도 깊으면 힘이 세진다’라는 시집을 출간하고 또 그 시집으로 제30회 조병화 문학상도 수상하였다.
고향 정선을 떠나 대처인 춘천으로 떠난 시절에 쓴 시이다. 거주 장소의 이동은 추억어린 감성을 그 근원적인 장소로 쏠리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