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해라, 항상 취해 있어야 한다. 모든 게 거기에 있다. 그것이 유일한 문제다. 당신의 어깨를 무너지게 하여 당신을 땅 쪽으로 꼬부라지게 하는 가증스러운 시간의 무게를 느끼지 않기 위해서 당신은 쉴 새 없이 취해 있어야 한다. 그런데, 무엇에 취하려는가? 포도주든, 시든, 덕이든, 그 무엇이든 당신 마음대로다. 그러니 어쨌든 취해라. (…) 이제 취할 시간이다. 시간에 학대받는 노예가 되지 않으려면 쉬지 말고 취해라. 술이든, 시든, 덕이든, 그 무엇이든 당신 마음대로.”(샤를 보들레르, ‘취해라’)19세기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한 보들레르는 현대시의 시초로 불린다. 1830년대에 프랑스 정부는 포도주에 대한 새로운 과세법을 제정했는데, 이 과세는 도시민으로 하여금 값싼 포도주를 찾아 시외에 자리 잡은 상점으로 가게 만들었다. 그곳에서 파는 세금 없는 포도주는 노동자와 하층민, 가난한 예술가들에게 허용된 유일한 쾌락이었다. 보들레르에게도 술은 정신을 위안할 수 있는 기쁨이었는데, 대표 시집 ‘악의 꽃’에서 그는 ‘술의 넋’, ‘넝마주이들의 술’, ‘살인자의 술’, ‘외로운 자의 술’, ‘연인들의 술’ 등 술 연작을 통해 술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보들레르는 포도주 뿐 아니라 흑맥주를 애호했다고 한다. 보들레르는 현대인들에게 “취해라”라고 말한다. 이는 무분별한 알콜릭이나 쾌락 추구, 방종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19세기 파리는 전근대의 농경사회에서 근대 도시문명으로 전환한 시기다. 불문학자이자 평론가인 고 황현산 선생은 “농경사회에서 시간에 대해 얘기할 때 물처럼 흐른다고 표현하는데요. 보들레르한테 시간은 물 흐르듯, 바람 불어오듯 하는 시간이 아닙니다. 1분, 1초 분할된 시간, 시간 그 자체가 물체화 되어 계속해서 쫓아오고 있는, 이런 시간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또 압박이 사라지면 마음이 편안하느냐, 그것은 아닙니다. 시간의 압박이 사라지면 권태 속에 들어가게 되죠. 바로 이게 산업사회의 시간,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입니다.”라고 설명했다.보들레르가 취할 것을 권면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 있다. 현대적 시간의 중력에서 벗어나라는 것! 인간을 불안하게 만들고 초조함과 신경쇠약, 권태와 우울감으로 몰고 가는 도시적 시간으로부터 자유로우려면 그것이 술이든 아니면 음악이든 무엇이든 간에 몰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보들레르 문학과 근대성의 상관관계를 평생 연구한 발터 벤야민은 이렇게 말한다. “위고가 현대 서사시의 영웅으로 대중을 예찬하는 순간, 보들레르는 영웅의 피난처를 대도시의 대중 속에서 찾고 있었다. 시민으로서 위고는 군중 속에 섞여 든다. 보들레르는 영웅으로서 거기에서 떨어져 나온다”라고.벤야민은 빅토르 위고의 작품들을 대중과 함께 호흡한 ‘민중문학’으로 읽은 반면 보들레르의 문학은 대중성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홀로 솟아오르려는 영웅적 행위로 보았다. 보들레르가 대도시의 군중에서부터 스스로를 분리시키기 위해 채택한 방법은 바로 걷기다. 보들레르는 술만큼이나 걷는 걸 좋아한 ‘거리산보객(flanuer)’이었다. 산보객이란 대도시의 거리 곳곳을 정처 없이 거니는 사람을 뜻한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목적을 가지고 분주히 움직이는 군중과 완전히 대비된다. 일상은 지루하고, 현실원칙의 중력은 무겁기만 하다. 1분, 1초 단위로 등 뒤에서 달려드는 현대적 시간에 쫓기면서 몸도 마음도 피폐해져만 간다. 현실에만 충실히 복종하면 강박주의자가 된다. 누군가와 교류하는 것이 피곤해지고, 타인에게 엄격해지기만 한다. 그렇게 점점 혐오와 갈등, 분리의 감각에 익숙해진다. 일상의 무게를 벗어나려면 꿈을 꿔야 한다. 꿈이 있는 곳으로 가야 한다. 현실의 속박이 없는 시간과 공간에서 마음껏 취하고 걸어야 한다.취하는 사람은, 취해서 걷는 사람은 꿈의 파랑 속에서, 환상의 리듬 속에서 생을 긍정하고, 세상을 아름답게 보며, 타인들과 넉넉히 어울리는 방법을 배우는 중이다. 평범한 도시인으로 살 때, 시간에 쫓기며 압박당하는 군중의 한 사람으로 살 때 도시는 각박하고 권태로운 곳이지만, 무언가에 취해서 산보객으로 살 때 도시는 감동과 도취, 새로움으로 가득한 역동적 세계가 된다. 2024년을 사는 우리에게 1800년대 보들레르가 말한다. “취해라 그리고 걸어라!”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