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김치찌개와 파스타

등록일 2024-08-05 18:12 게재일 2024-08-06 17면
스크랩버튼
인간에겐 누구나 영혼을 울리는 음식이 있다. /언스플래쉬
인간에겐 누구나 영혼을 울리는 음식이 있다. /언스플래쉬

‘오늘 뭐 먹지?’

많으면 세 끼, 못해도 두 끼는 꼭 챙겨 먹어야 하는 내게 이것은 꽤 중요한 문제다. 이른 아침부터 고열량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 인간으로 내가 가진 지론은 바쁜 날엔 더욱 든든하게 챙겨 먹어야 한다는 것. 이렇게 욕심을 부리다간 속이 더부룩해 종일 끙끙거릴 게 분명하지만, 힘이 빠지고 머리가 어질어질한 것보다야 낫다. 피치 못할 이유로 한 끼라도 거르게 되는 날엔 회의감에 빠진다. 나를 잘 돌보지 못했다는 죄책감이 들기도 한다.

먹는다는 행위는 우리 인생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일이다.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인데.’ 혹은 ‘먹고 살기 참 힘들다.’는 말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이는 단순히 영양가 있는 덩어리를 위장에다 모으는 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우리는 얼마든지 문학적인 이야기로 넘어갈 수 있다.

생각해 보면 매 끼니를 그렇게 잘 챙겨 먹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세끼를 근사하게 차려 우아하게 먹는 호사스러운 시간은 우리의 일상에 늘 있는 일은 아니다. 하지만 아무 맛도 나지 않는 음식으로 허겁지겁 주린 배만 채우는 것처럼 슬픈 일은 또 없다. 식사 자리에는 기쁨과 슬픔이 함께 자리한다. 그런 면에서 위장과 영혼은 서로 맞대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각자에게 영혼을 울리는 음식이 있을 것이다. 나의 소울 푸드는 김치찌개와 파스타다. 살면서 가장 많이 먹은 음식을 꼽자면 이 두 가지다. 전국 방방곡곡의 김치찌개 맛집을 찾는다든가, 새로운 파스타 조리법을 유튜브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 또한 나의 소소한 즐거움이다. 내가 가장 즐겨하는 요리 또한 이것인데, 집에 손님이 찾아오면 자신 있게 내어놓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필살기이기도 하다.

김치찌개는 김치가 맛있는 것이 핵심. 앞다리살 대신 등갈비를 넣으면 조금 더 고급스럽게 변하고 참치나 스팸을 넣으면 더 캐주얼한 맛이 난다. 새우젓과 두부만 넣어 칼칼하게 끓이는 것도 일품이다. 육수도 중요하다. 멸치로 내느냐 사골로 내느냐에 따라서 맛이 천차만별이다. 무엇보다 김치찌개는 오래 끓이면 끓일수록 맛이 깊어진다. 한 솥 가득 끓여놨다가 다음 날 아침에 비척비척 일어나 후루룩 떠먹는 김치찌개야말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

파스타는 말해 뭐하겠는가. 오일, 토마토, 크림을 베이스로 두는 이 요리는 무엇을 넣고 어떤 식으로 조리하는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음식이 된다. 봄에는 제철 나물로, 여름은 방울토마토와 치즈로 산뜻하게 만들면 한 계절이 내 안으로 고스란히 들어오는 기분이다. 날이 쌀쌀해지면 여러 가지 해물로 육수를 만든 다음 토마토소스에 고추장을 섞어 맛을 내는데, 한 입 떠먹으면 혈관에 뜨거운 기운이 돌면서 몸이 따뜻해진다. 이것은 해장에도 제격인데, 숙취로 괴로워하는 나를 몇 번이나 구원해 준 아주 고마운 녀석이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음식은 지극히 사적인 영역과 닿아 있다. 밥을 먹으려고 입을 크게 벌리는 순간이 어쩐지 민망해지는 것처럼. 이에 관해 구태여 말하는 게 머쓱할 때도 있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우리를 쉽게 감동하게 한다. 말 한마디 통하지 않는 외국에서 한식당을 찾았을 때의 기쁨을 떠올려보자. 고된 여행에 지쳤을 때 먹는 김치찌개 한 입처럼 아름다운 것이 또 있을까. 묘하게 달짝지근하고 심심한 것이 아쉬워도, 이 정도면 괜찮아, 얼추 비슷한 맛이야, 하며 관대해진다. 은은한 감동이 뭉근하게 퍼지면서 마음 어딘가가 풀어지는 기분이다.

유럽 여행을 계획하면서 가장 기대했던 것도 본토의 파스타를 맛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물론 맛있긴 했지만 내 입맛에 딱 맞진 않았다. 마늘과 페페론치노가 넘치도록 들어갔으면 좋겠고, 고춧가루 팍팍 넣어 느끼한 맛을 잡고 싶고, 아니 여기에 굴소스 한 스푼을 넣으면 감칠맛이 더 돌 것인데… 그런 불온한 생각을 하는 손님이 있다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종업원은 음식이 맛있느냐고 물어왔고 나는 엄지를 척 내밀며 거짓 웃음을 지었다.

그러니까 내 부엌에서 내가 만든 음식이 내 입에는 가장 맛있다는 결론이다. 그날의 기분에 따라 땡초도 실컷 넣고 짠맛도 단맛도 마음껏 조절해 가면서 내 맘대로 만드는 김치찌개와 파스타. 여기에 시원한 맥주 한 잔 곁들이면, 그래, 이 맛에 사는 거지, 소리가 절로 나온다. 누군가가 먹고 너무 싱겁다고, 맵고 달다고 미간을 찌푸려도 뭐 어떠한가. 내가 만들고 내가 먹는 것인데. 다른 곳에선 몰라도 식탁의 주도권만큼은 내가 쥐고 있다. 그게 중요한 거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