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 않는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 한 업체로부터 공연 섭외 요청 연락을 하나 받았는데 돈 얘기가 빠져있었다. 그래서 나는 최대한 정중하게, “연락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혹시 책정된 출연료가 있나요?”하고 물었다. 그 이후로 답변은 오지 않고 있다. 이런 일은 종종 있는 일이라 당황스럽지도 않고 화도 나지 않는다. 그저 조금 성가실 뿐이다.
나는 창작을 직업으로 삼은 사람이다. 글과 음악을 팔아 돈을 벌고 그것으로 나와 가족의 생계를 꾸려나간다. 갈빗집 사장님이 갈비를 팔고 휴대폰 대리점 사장님이 휴대폰을 파는 것과 마찬가지로 나도 나의 창작물을 파는 것이다. 그런데 내가 파는 것들을 공짜로 내어 달라고 당당히 요구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갈비나 휴대폰을 공짜로 달라고 점포 문을 여는 사람은 아주 드물 것이다. 내 창작물이 갈비나 휴대폰 보다 위대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그 값이 공짜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누군가는 ‘예술인은 돈을 밝히면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런데 나는 누가 돈 주는 게 제일 좋다.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가 필요하다. 좋은 사람, 자아실현, 화목한 가정, 건강 등등.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 중에 내게 가장 넉넉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그게 바로 돈이다. 예술인들은 흔히 이런 상황에 놓인다. 차고 넘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 중 무엇을 먼저 추구해야 하는가를 생각해보면 예술인은 당연히 돈을 밝혀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물론 그런 논리와 무관하게 선심을 쓰는 차원에서 공짜로 노래도 부르고 글도 쓸 수 있다. 그런데 나는 이것이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한다. 자칫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짜로 쓰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그것이 유료화 되면 성을 내곤 한다. 대표적인 것이 음악이다. 한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법다운로드 프로그램으로 음악을 다운받거나 무료 스트리밍 사이트를 통해 음악을 듣던 시절이 있었다. 그게 너무 당연해져서 음악을 유료로 들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났을 때 수많은 대중들이 반발했던 기억이 선명하다.
그럼에도 내가 비영리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먼저 사회를 향해 던지고 싶은 메시지가 있을 때, 같은 생각으로 기획된 무대가 있다면 금전적인 부분과 관계없이 달려가기도 한다. 사회적인 올바름을 추구하는데 나의 창작물이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기꺼이 내가 가진 무형의 재산을 빌려주기도 하는 것이다. 그런데 간혹 이런 경우들이 있다. 내가 공연을 함으로써 발생되는 수익을 기부 할테니 와 달라는 것인데 그 수익 기부를 자신들의 이름으로 하겠다는 것. 이건 반칙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신세를 진 사람이나 가까운 지인들의 부탁으로 나의 능력을 무료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식으로라도 신세를 갚을 수 있다는 것은 오히려 기쁜 일이다. 가까운 지인들 같은 경우 나의 호의를 기억해두고 밥이나 술이라도 살 테니 여건이 되고 상황이 맞으면 부탁을 들어줄 수도 있는 것이다. 간혹 모르는 사람이 밥을 살 테니 도와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내가 모르는 사람과 밥을 왜 먹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을 돌려주고 싶다.
그외 너무너무 재미있을 것 같은 일이라거나, 나에게 커다란 영광인 일 같은 경우에는 무료로 움직이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급적 무료로 나를 사용하도록 하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이 나의 원칙이다. 간혹 재능을 기부하게 되는 경우이더라도 가급적 거마비 수준의 돈은 받으려고 한다. 재능 기부는 말 그대로 재능을 기부하는 일. 재능 기부를 바라면서 거기에 드는 비용을 책임져 주지 않는다면 그것은 재능에 금전까지 얹어서 기부하라는 말이 된다. 나는 재능 외에 차비나 식대 같은 비용까지 기부하겠다고 한 적은 없다.
예전에 라디오에서 한 연예인 진행자가 어느 청취자와 전화 통화 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비영리 단체에 있다는 청취자가 진행자에게 기회 되면 재능기부를 해 달라고 부탁을 하자 진행자는 말했다. “재능이 너무 커서 기부할 수가 없어요.” 나는 무릎을 탁 치며 공감했다. 나 역시 내가 가진 재능으로 십수 년째 먹고 사는 사람이다. 결코 그 재능이 작다고는 할 수 없다.
기다리던 답장이 왔다. ‘죄송하지만 저희가 신생 업체라 책정된 출연료는 없습니다. 하지만 향후…’ 나는 이런 상황에 향후를 기약하는 말을 믿지 않는다. 나를 존중한다면 여건 안에서 적은 금액이라도 제안했어야 했다. 보수가 적은 것과 없는 것은 엄연히 다르기에. 나는 공짜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