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그렇게 있어 줘, 빛나는 별처럼

등록일 2024-08-19 18:34 게재일 2024-08-20 17면
스크랩버튼
무언가에 흠뻑 빠져 하루를 보내는 건 즐거운 일이다. /언스플래쉬

‘킹 오브 프리즘’이 개봉할 것이라는 소식(이 글이 지면에 실릴 때면 이미 개봉한 뒤겠다)을 들었다. 평소라면 무심히 지나쳤겠지만 어쩐지 관련 내용을 진지하게 들여다보게 되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애니메이션은 내게 ‘응원상영’이라는 흥미로운 문화를 알려준, 일종의 스승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극장에 모인 사람들이 응원봉을 흔들며 함께 호흡하는 모습. 스크린에 명시되는 배급사를 향해 “감사합니다” 인사하고 엔딩곡이 끝나면 “앵콜!”을 외치는 장면을 보며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저런 식의 관람도 가능하구나. 저렇게 즐거울 수도 있구나, 하고.

극장은 오랫동안 우리에게 정숙을 요구해 왔다. 나 또한 예민하기론 둘째가라면 서러운 사람으로 극장의 침묵을 중요시 생각한다. 이러한 뾰족함은 영화가 시작하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는데, 옆자리 사람이 팝콘을 먹기 위해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거슬리고 타인의 불규칙한 호흡 때문에 작품에 몰입하는 것이 힘겨울 정도다. 가끔은 벌떡 일어나서 소리치고 싶다. 이봐요. 당신의 숨소리가 매우 크다는 걸 알고 있어요?

응원상영은 다르다. 노래를 따라 부르거나 소리를 지르고 응원봉을 흔들면서 영화를 관람하는 것이 당연하다. 작품의 세계에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는 것은 물론, 적극적으로 참여하라고 권하기까지 한다. ‘킹 오브 프리즘’에는 여자 캐릭터의 대사를 관객에게 넘겨주는 부분이 있으니. 남자 캐릭터가 자신의 사랑을 고백하면 목소리 높여(그리고 진심을 가득 담아) “좋아!”하고 대답하면 되는 것이다.

나는 오랫동안 이 애니메이션이 인기가 많은 이유가 궁금했다. 그리고 찾아온 꿀 같은 공휴일, 나는 마음먹고 이 작품을 정주행하기로 했다. 전작인 ‘꿈의 라이브 프리즘 스톤’을 감상하는 것부터 시작, ‘킹 오브 프리즘’의 극장판과 애니메이션을 차례로 독파했다. 꿈을 향해 달려가는 인물들의 서사가 어찌나 감동적이던지. 어떤 부분에서는 눈물을 찔끔 흘리기까지 했다.

한동안 나는 ‘프리즘 스타’들에게 빠져 지냈다. 방 청소를 하다가 “작사, 작곡은? 신도하!”라고 외친다든지, 강아지가 나를 향해 폴짝 뛰어들면 “미안, 난 모두의 것이니까” 하고 너스레를 떨고, 운전 중에 채우리의 ‘Blowin’ in the Mind’를 튼 뒤에 신명나게 따라 부르기도 했다. “양자택일 극단적이야 넌 너무 긴장하지 마라, 냥냥 냥냥냥 냥냥!” 이 모습을 누군가 본다면 정말이지 수치스럽겠지만, 나도 나를 제어할 수 없었다.

내가 이 애니메이션에 관심을 가지자 가장 기뻐한 사람은 또한 내 동생이었다. 그녀의 2D 사랑은 아주 오래되었는데, 국적 불문, 장르 불문, 모조리 섭렵해 내는 2D계의 척척박사나 다름없었다. 그녀는 나를 앉혀 놓고 ‘킹 오브 프리즘’의 역사를 차근차근 설명해 주었다. 내가 감흥 없이 건성으로 듣자 맥 빠진다는 얼굴로 고개를 저었다. “언니는 이 장르를 진심으로 즐기는 게 아니잖아. 다만 신기한 것뿐 아니야?”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그럴지도. 오랜 기간 나에게 있어 2차원의 존재는 ‘진짜’가 아니었다. 그리고 그러한 생각이 얼마나 편협한 것인지 깨닫고 있는 요즘이다. 소설이나 영화를 보며 현실보다 더 현실다움을 느끼고 그 안의 인물이 떠나갈 때 알 수 없는 상실감을 느끼지 않았던가. 하나의 캐릭터가 빚어지는 데는 무엇보다 정교하고 섬세한 조물주의 손길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오히려 너무나 완벽하게 거기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니까 “좋아하는 사람이 생겼어”와 “좋아하는 2D 캐릭터가 생겼어”는 충분히 같은 층위에 놓일 수 있다. 좋아하는 마음은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무어라 형용하거나 가늠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만 같다. 그것은 ‘나’를 넘어서 ‘너’로 향하는 일. ‘너’를 떠올리는 것만으로 ‘나’의 하루가 맑아지는 일. 마음이 멀리 뻗어나갈수록 세계는 확장되고 혼자서는 절대 볼 수 없었던 영역까지 가닿을 수 있다.

어쩌면 나는 그러한 마음을 동경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무언가에 흠뻑 빠져 하루를 보내고 자신 있게 “좋아해!” 하고 외칠 수 있는 용기를. 그 힘이야말로 우리가 삶을 이어 나갈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하니까. 그것은 불행을 피하기에 급급한 것이 아니라 행복을 향해 걸어가는 태도에 가까워 보인다. 그래, ‘덕질’은 삶을 윤택하게 하지. 좋아하는 마음은 함께 나눌수록 커지는 것이고. 물론 그 세상이 늘 기쁘기만 할 순 없겠지만, 그럼에도 애호의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며, 계속 그렇게 있어 주면 좋겠다. 빛나는 별처럼.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