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직원들 처음엔 불만, 경영진 솔선에 인식 바뀌어

고세리기자
등록일 2014-06-26 02:01 게재일 2014-06-26 12면
스크랩버튼
포스코 QSS혁신 성공사례 <bR>대신메탈라이징

▲ QSS 혁신활동 킥 오프(Kick off)와 함께 `낭비타파`를 다짐하는 직원들.
▲ QSS 혁신활동 킥 오프(Kick off)와 함께 `낭비타파`를 다짐하는 직원들.

포항철강공단에 위치한 대신메탈라이징은 용사(溶射·THERMAL SPRAYING)와 하드페이싱(HARDFACING) 전문업체로 지난 1983년 대신공업 설립을 시작으로 포스코와 특수용접 하드페이싱 협력업체로 성장해 왔다. 1990년 한국에서는 불모지였던 용사코팅 기술을 제철 설비에 접목시켜 표면처리분야 기술개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 현재 본사가 있는 포항을 비롯해 광양, 구미, 천안 등 4곳에 사업장을 두고 있으며 지난 2012년 3월 광양공장에 이어 그해 12월 포항공장도 QSS혁신활동을 도입했다.

동선 고려해 설비 재배치

물류 이동률 70% 감소 효과

QSS혁신활동 명소 인증받아

□직원들의 부정적인 인식 뿌리뽑기

QSS 혁신활동 도입 초기에는 현장 직원들의 반발 및 불필요한 일들을 왜 하냐는 불만이 터져나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고경영자 및 전직원의 참여 하에 QSS 혁신활동 킥오프를 하고 매주 금요일마다 임원 및 사무실 직원들이 먼저 현장 정리활동을 실시했다. 특히 엔지니어 집단은 자신들이 일하고 있는 설비와 작업공간에 타인이 개입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분위기가 강했으나, 포스코 혁신지원그룹의 QSS 혁신활동에 대한 관리교육과 지속적인 벤치마킹을 통해 활동의 필요성이 점차 인식됐다. 활동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계획을 세워서 단계적으로 현장의 낭비를 줄이고, 녹슬고 기름때로 얼룩졌던 설비를 하나씩 바꾸기 시작하자 스스로 설비를 청소해야겠다는 반응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직원들의 참여가 이뤄졌다. 설비가 새것 같은 모습으로 바뀌고 기존의 작업환경이 개선되기 시작하는 것이 보이자 방관하던 현장 직원들의 태도가 적극적으로 바뀐 것이다.

□솔선수범팀·혁신리더 활약으로 조직력 향상

도입 초기 대표이사 및 임원들로 구성된 솔선 수범팀은 현장 취약개소를 중심으로 한 정리·정돈 등 솔선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생산현장의 5S(정리·정돈·청소·청결·습관화)활동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사외 전문강사를 초청해 생산성 향상, 원가개선, 준비교체 등의 교육으로 혁신활동의 성과를 창출하는 활동을 펼쳤다.

매일 아침 QSS 혁신 리더들이 참여해 그날의 업무와 개선 계획표를 점검하고 업무 협의를 통해 역할을 분담해 하루 일과를 시작했고, 이로 인해 직원들의 업무에 대한 이해도와 협력 체계가 구축돼 조직력 향상에 큰 기여를 했다.

▲ QSS혁신활동 이전과 달리 공장내부가 몰라보게 깔끔하게 달라진 모습.
▲ QSS혁신활동 이전과 달리 공장내부가 몰라보게 깔끔하게 달라진 모습.

□정리·정돈을 통한 공간활용 및 효율 증대

작업 현장 선반의 위치를 변경하고, 사용하지 않는 설비를 매각했다. 포항공장에서 활용도가 낮은 설비는 사용 빈도가 높은 광양 공장으로 옮기는 등 작업의 동선을 고려한 설비 재배치를 실시했다. 이후 물류 이동률이 70%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불필요한 설비 매각으로 여러곳에 중복해 설치된 창고를 통합 개선해 공장의 여유 공간이 증가했고, 작업장 내의 물건 이동시 지게차로 옮겨 발생되는 낭비를 개선하기 위해 설비 자체에 소형크레인을 설치했고 작업을 위한 준비교체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었다.

QSS 혁신활동 중 특히 신경을 썼던 부분은 작업자가 자주 사용하는 공기구는 공기구 보관 창고에서 설비주변에 재배치한 것으로, 작업자의 이동의 낭비를 감소하고 작업자의 피로 감소 및 능률을 향상시킨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용사 작업장내 용사 전용 작업 공간을 재배치하고 용사 작업성을 개선해 능률이 오르는 효과가 있었으며 현장 근로자들의 편의가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낳았다.

□포스코로부터 QSS 혁신활동 명소 인증

QSS 혁신활동 기간 동안 포스코로부터 생산성 향상에 대한 교육, SMART WORK, 원가개선, 준비교체 교육을 받으며 원가에 대한 이해, 공장의 정리·정돈, 깨끗한 환경에서 좋음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30년정도 된 낡은 현장이 몰라보게 달라져 있어 이후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돼 회사의 이미지가 많이 개선됐고 안전·환경팀을 별도로 조직해 올해 초 무재해 5배수를 달성하고 6배수 달성을 향해 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포스코의 QSS 혁신활동 성과공유회를 통해 활동 성과를 공유하고, 2차 개선사항 계획수립과 표준서 작성 등 유지관리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포스코 조달지원그룹(구 자재지원그룹)으로부터 QSS 혁신활동 명소 인증을 받았다. 또한 대신메탈라이징 창립 30주년이 되는 해를 맞아 혁신을 통해 재도약 기회의 발판으로 삼고자 노력하고 있다.

▲ 박영서<br /><br />대신메탈라이징 대표이사
▲ 박영서 대신메탈라이징 대표이사
30년 된 낡은 현장 개선

안전강화·매출증대 연결

-QSS 혁신활동 도입후 직원들의 변화는.

△자발적인 활동이 아닌 외부에서 지도하는 동반성장 활동이라는 인식때문에 직원들의 반발과 불만이 많았다. 이를 극복하고자 경영층과 사무실 직원들이 솔선수범으로 시작했다. 이후 포스코의 혁신 교육과 우수업체의 벤치마킹을 통해 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며 긍정적인 마인드로 변했다.

-QSS 혁신활동으로 회사가 변한 것은.

30년 정도 된 낡은 현장이 우리가 봐도 몰라보게 달라져 있다. 이제는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돼 대외적인 이미지가 많이 개선됐고 안전, 환경, 품질, 매출 증대 등으로 이어졌다. 올해 초 무재해 5배수를 달성하고 6배수 달성을 향해 가고 있으며, QSS 활동과 연계한 제안제도 활성화와 분임조 활동 강화, 자주관리 활동, 개인별 성과 차등 보상제 등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 대신메탈라이징 전경.
▲ 대신메탈라이징 전경.

-직원들의 교육은 어떻게 해 왔나.

△그동안은 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부분에 역점을 두었고 실질적인 현장 활동은 피로 누적을 감안해 6개월 정도 집중적으로 활동했다. QSS 활동과 더불어 포스코로부터 생산성 향상과 원가에 대한 교육을 받아 낭비를 이해하고 생산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함께 넓혔다. 앞으로는 QSS활동과 연계한 안전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예정이다.

-향후 QSS 혁신활동에 대한 추진 방향은.

△개선하고자 하는 분야에 과제 등으로 참여해 활동을 확대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에 자사의 표면처리 기술이 확대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21세기는 무한경제 국제화 시대로 오직 기술력만이 초인류 국가로 발돋움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수년간 쌓아 온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임직원 전원이 혼연일체가 돼 기술혁신과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치겠다.

/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